-
-
나무 속의 나무 집 ㅣ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75
존 클라센 그림, 테드 쿠저 글, 공경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21년 1월
평점 :
처음에 책을 받고는 아이가 나무 위에 나무집이 있다고
수상가옥 같은 모양인데
집이 큰데 나무에 가려진 것도 같고 무슨 그림이지? 하며 궁금해하더라고요.
나무속의 나무 집
색과 그림에서 쓸쓸함이 묻어 나오는 느낌이었다고 할까요?
네버랜드 세계의 걸작 그림책 시리즈 275번 리뷰를 시작해볼게요.
대부분 그렇지 않을까 생각해요. 아이들이 어릴 때는
산과 들이 있는 자연이 좋다고 그 속에서 마음껏 뛰어놀고 살게 하고 싶은 마음.
여기 그런 마음을 아버지가 행동으로 옮겼네요.
처음에 이사 온 집일 때는 주변에 아무것도 없이 휑한
잔디말고는 나무 한 그루도 없는 그런 곳이었어요.
집을 짓기 위해 나무를 모조리 잘라버린.
집 양쪽 떨어지는 숲에는 온갖 나무들이 자라고 있지요.
나무 덤불 아래는 비밀공간도 있어
아이들은 놀이터 삼아 지냈어요.
숲속이 친구가 되어 살수 있는 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뛰어도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겠죠?라고 하는 아이를 보니
뛰지 말아라 잔소리하는 엄마가 미안해지더라고요.
엄마는 왜 없을까요?
여자아이 남자아이아버지 셋이 가족이었거든요.
두 아이는 나무 사이 속에서 노는 걸 좋아했고
멀리서 아버지가 일 하시는 걸 바라 보기도 했어요.
숲에서 날아온 씨앗이 집 앞 잔디로 날아들고 싹이 돋고
아버지는 잔디를 깔끔히 정리하느라 기계로 계속 깎았지요.
몇 해가 지나고 아이들은 성장해서 세상에 나갈 준비를 하고
어릴 적 재밌게 놀았던 추억을 가끔 바라보기만 했어요.
아이들이 집을 떠날 날이 가까울수록 아버지는 더 부지런히 잔디를 가꾸었어요.
"엄마 아버지는 왜 잔디만 가꿀까요?"
애들하고 같이 놀아주면 더 좋을텐데 아쉬워해요
아이들이 떠나고 집에 남겨진 아버지는
혼자 살다가 집과 마당 가꾸는 일이 버거워지고
아이들 근처에서 살고 싶어서
도시로 이사하기로 마음을 먹고 떠나버렸어요.
아버지도 같이 가셨으면 좋았을껄.
혼자 괜찮다 하시며 쉬고싶다고 그랬을것같아요.
그래도 자식은 보고싶으실텐데..
아버지는 감정표현을 그리 안하시는지...
돌아가신 아버지 생각이 나는 장면이였어요.
어느날 갑자기 훌쩍 작아져버린 아버지의 뒷모습이 참 마음이 아픈..
아무도 찾지 않는 집은 페인트가 갈라지고 지붕이 빠지고
나무가 자라고 참새들만 사는 곳이 되었어요.
어린나무가 집 벽면에 붙어 자라고
군데군데 빗물이 고여 썩다가 집이 주저 앉고
건들건들해지는 집을
어린나무들이 지켜주고
나무는 점점 튼튼해지고 커져서 나무 가지 위로 집을 들어올렸답니다.
나무의 집처럼 공중에 떠있는 집
나무들이 힘을 모아 떠받친 집.
흩날리는 작은씨앗들, 흔들리는 듯한 무성한 나뭇잎까지
숲속을 거닐듯한 느낌을 주는 그림으로
내용이 더 풍성해진 느낌이 들기도 했고
아이를 돌보고 아이가 커가고 부모를 떠나고
시간이 흐름이 한사람의 일생을 보는 듯했어요.
아무도 없는 집을 지키는 나무들이 고맙다고 느끼는 아이를 보니
자연속에 사람이 있다는걸
한번 더 깨닫게 되기도 하네요.
*출판사로 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