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인구론 - 세계적인 인류학자 폴 몰런드의 사라지는 인류에 대한 마지막 경고
폴 몰런드 지음, 이재득 옮김 / 미래의창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서평 협조를 제공받은 책이었는데,

정독은 사흘 전에 마쳤으나 몇 가지 고민해볼 점이

있어서 망설이다 서평을 이제야 올린다.


 https://blog.naver.com/hopeater/223744585378에도 올림. 


 

https://blog.naver.com/hopeater/223466843390 

의 후속작인 서적인데, 주욱 읽어본 결과, 훌륭한 책이었으나

인구가 바꾼 역동의 세계사와 마찬가지로

한국에 대해서는 이 저자가 대단히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출산율이 낮은 걸 한국 남성들의 가부장성 및 낮은 가사 참여도라는

대단히 근거 없는, 극단적인 여성지상주의 단체가 제공하는

일각의 편향된 통계로만 보고 대단히 잘못된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게 상당히 거슬렸다.

실제로는 세대별 가사 기여도를 보면 그렇지 않고, 한국은 그보다 더 가부장적이었을 때

출산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밖에 인구 동향에 대해 대단히 쓸모 있는 여러 이론과 현황을 알 수 있게

되어 유익했다.

우선 이 책을 읽고 알 수 있게 된 점은

1. 세계의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는 건 제3세계를 포함한 후진국들 또한 경제가 발전하고 가부장제가 전반적으로 후퇴하면서 보이는 보편적인 현상임,

2. 그리고 그런 낮아지는 출산율로 인한 인구 감소가 지구 환경 보전에

그다지 큰 도움은 되고 있지 않음이다.

2-1. 현재 지구의 과학 기술력으로 현재 인구보다 넘치는 인구쯤은 환경을 보전하면서도 충분히 부양할 수 있음

2-2.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가 진행되면 진취적 활력이 떨어지고 문명 발전도가 떨어져 환경에 대처할만한 인류의 과학 기술력 자체가 퇴보할 수 있음

----> 인구와 인구 구성이 한 문명의 과학 기술력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임은

저자의 이전 저작과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저서들이 입증한 바 있다.

이 서적에서 그것을, 폴 몰런드는 20세기 초에서 이때까지 진전된 사례로 다시 입증한다.

3. 이민이란 편법이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경청할만 했다.

3-1. 선진국이 후진국의 고급 인력을 착취하는 21세기판 제국주의인 데다,

3-2.이민온 후진국 인력도 불과 한 세대 혹은 그만도 못되어 선진국의 낮은 출산율에 동화되고

만다는 통계적 입증이 아주 인상적이었다.

여기서 나는 확실히 알 수 있었다. 출산율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반출생주의적 사상에 있음이 그것이었다. 현재 심각한 한국의 낮은 출산율 문제의 근간은 결국, 적지 않은 남혐 단체가 외치는 반결혼주의 남혐 사상에 있음이 그것이다.

물론 한국 경제 자체가 크게 봐서는 발전했어도 배우자감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져,

그걸 충족하지 못하는 젊은 남성들이 결혼할 수 있는 대상에서 탈락함도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단 대단히 독소적인 주장도 있음은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4. 저자는 한국이 혼외출산을 용인하는 사회가 되어야 출산율을 극복할 수 있을거라

주장하는데...... 이는 한국 남자들이 집안일 안 도와준 결과로 한국 여자들이 결혼을

안해줘서 출산율이 낮아진다는 저자의 황당한 한국 남혐 주장보다는 그럴싸하지만,

정말이지 어처구니가 없었다.

한국 사회에서 이렇게 태어나는 아이들은 대부분 하층민을 면치 못하거나,

결혼 대상에서 탈락할 일이 잦을텐데, 그런 부작용을 출산율 때문에 감수해라?

아마 한국 사람들이 생각을 고치면 될거라고 그렇게 말하겠지만

이런 식의 가정 해체 이데올로기는 서구 사회에서도 최근 대안 우파의 반발 때문에

설득력이 줄어가는데, 그걸 한국 사회도 되풀이해야할까?

대단히 비현실적인 권고가 아닐 수 없다.

때문에 전반적으로는 양서고 충분히 소장가치도 있으나, 치명적인 오류가

두 군데나 있어 부득이하게 별은 세 개만 준다.

확실히 서구 지식인들이 한국 역사에 대해서는 두말할 것도 없고,

한국 사회의 현실에 대해 매우 잘 모르고 있는 현상은 여전했다.

이들과 연계가 있는 지식인층이 매우 협소한데다 편협하며,

중근세사나 한국 사회 최신 동향에 무관심한 특정 연령층, 특정 성별이 대다수라

그런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 언어학자와 떠나는 매력적인 역사 기행
김동섭 지음 / 미래의창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역개루

https://cafe.naver.com/historyarchive/

까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 협조 건으로 책을 받아 읽게 되었다.


수도가 어떤 기능을 하며 어떤 방식으로 있게 되는지, 각 나라마다 어떤 차이를 보이는

상세하면서도 간략하게 설명하여, 저자가 역사에 별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게 썼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유럽 각국에 수도 설명이 분량 많은 건 보는 입장에 따라 유럽 중심주의라고

섵부르게 비판할 수도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지금 현대 문명에 비중이 많은 게 유럽이고, 

유럽이 각 나라로 더 잘개 분열되어 있는 이상 유럽 수도들을 중점으로 하면


 국가와 수도 사이 관계 설명도 비중이 큰 이 저서의 목적에 더 크게 기여할 수 있기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보인다. 


 각국의 수도 집중도가 문화나 역사에 의해 꽤 달라지며, 상당히 많은 국가의

수도들이 경제적, 문화적 비중은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고 행정적 비중만 높으며

국가 균형 발전도에 기여가 큰 양상이 보인다. 게다가 그런 선택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불리한 곳을 보완하거나 지형적 위치를 배려해서 이뤄졌다는 게 의미가 크다. 


 여전히 세종시 무용론에 통일한국의 수도로 서울만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적지 않은

일각의, 거의 집착에 가까운 서울 집중론을 반성해야 할 대목이다. 통일신라가 어째서 망했던가?

수도 이전으로 대구시마저 거부할 정도인 강박적인 경주 애호론자들 때문이었다. 

이 부류들이 수도를 대구로 옮기는 걸  추진했던 무열왕계를 끝장내고 원성왕계를 옹립하여

경주 제일주의만 외치다가, 각 지역 중심지들의 한결 같은 불복종으로 국가를

산산조각낸 한국사 초유의 사태를 초래한 것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하나 더 크게 평가해야 할 것은, 이런 유의 전반적 세계사류들 책들을 보면 퀄리티 자체도 매우 낮을 뿐더러 자기가의 전공한 분야가 아니면 흔한 인터넷 역덕만도 못한 저질스런 내용을 보여

매우 눈살이 찌푸려지는데, 저자는 자기 전공 분야가 아닌 부분도 충실하게

공부한 흔적이 나타나는 점이다.  


 단적인 예가 바로 후기 로마사와 동유럽사 부분인데, 

적지 않은 서적들이 후기 로마사를 잘 모르고 비잔틴사는 더 모를 뿐더러 

동유럽사도 모르기에, 비잔틴 제국이 로마 제국이 아니라는 이상한 개인 편견에

1453년도에 망한 로마 제국에 대해 로마가 기독교 믿어서 망했다, 정신이 퇴화해서

476년도에 망했다 따위 괴이한 얘기만 해대서 아쉬웠었다.  얼마 전에 터키사 전공자가 낸 

비잔티움-터키사도 정작 비잔티움사 파트는 아예 역사전공자도 아닌 본인이 봐도 

이건 아니다 싶은 내용이 많아 기함했는데 이 책은 그 부분도 충실하여 안도했다. 


 보면 로마 후기사 부분을 흔한 로마인 이야기나 로마 제국 쇠망사에만 의존하는, 아예 역사 관련 저자라 할 자격도 없어보이는 자들이 많은 현실에, 이렇게 훌륭한 저자는 거의 없을 것 같다는 게 진심이다. 풍부한 자료 조사를 하였다는 좋은 흔적이다.


 다만 딱 한 가지 약간 아쉬운게 다름아닌 한국 수도 서울에 대해 얘기하면서 

초기 한성백제 - 고구려 - 신라 - 통일신라 영유기에 대해 서술이 꽤 부족하다는 것인데....

 누군가는 자료가 없다는 이상한 이론을 제기할지 모르나, 서울이 그간 거쳐온 궤적은

이미 고고학 및 추가 문헌 연구에 의거해 대단히 많은 부분이 밝혀져 있다. 

 그러한데 그런 부분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건 꽤 아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소위 말하는 586 세대들의 경우 앞서 언급한 로마 후기사에 대한 전반적 무지는

당연하고 한국 고대사에 거의 관심이 없는 게 공통적인 특징인데, 저자는 로마 후기사, 동유럽사에 대해서는 이런 부분을 극복했지만 한국 고대사 부분은 어쩔 수 없었던 것 같다. 


 하기야 나말여초 대가인 임용한 박사마저 고대사 파트는 상당 부분 미흡한 게 현실이니

어쩔 수는 없겠지만..... 이 부분이 아쉬워 별 다섯에서 하나는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경은 과연 믿을 만한가? - 성경을 믿어야 하는 일곱 가지 이유
어윈 루처 지음, 프리셉트성경연구원 엮음 / 프리셉트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조설의 오류와 성서비평학이 반영되지 않은 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리커버)
대런 애쓰모글루 외 지음, 최완규 옮김, 장경덕 감수 / 시공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현대사 외에 고중세사는 대부분 틀린 지식에 기반을 둬서 설명하며, 비영어권 국가들의 역사에 대한 무지함도 아프리카사나 아메리카사 외엔 돋보인다. 사볼 가치는 없고 도서관에서 한 번 보고 몇 개 참조하면 그만인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Vision Divine - When All The Heroes Are Dead (Digipack)(CD)
Vision Divine / Scarlet records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쉴 새 없이 교차하는 강력한 멜로디와 맛깔나는 배치. 최고의 앨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