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월에 읽은책] '불편해도 괜찮아'

불편함이 바로 인권감수성의 출발이니까 






책 제목에 붙어있는 '영화보다 재밌는' 이라는 수식어가 

민망하지 않을 정도로 재미있게 읽었다.

자칫 지루하고 딱딱해 질 수 있는 '인권' 에 관한 이야기를

 '영화'를 예로 들어 정말 잘 풀어낸 것같다.

책을 읽다보면 보고싶은 영화, 읽고 싶은 책이 많아진다 ^^ 

 


 

 책 앞부분 두 세장을 읽었을 때, "이거 재밌겠는데"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  앞부분에서 '지랄총량의 법칙', '찌질이부모' 라는 단어를 본 순간 바로 구매했다. 

(딱딱한 인권책이 아닌것 같아서)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그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있어보이게 어려운 말만 늘어놓는게 아니라  쉽게 '인권'에 대해 이야기해주는게 좋았고,

읽는 사람으로부터 '편견'을 깨주려고 하는 저자의 마음이 느껴져서 좋았다.

 

나도 꽤나 '편견없는', '깨어있는' 사람이라 생각했는데,

읽다보니 나도 모르게 가지고 있는 '편견'이나 '선입견'이 많다는 것. 

그 사실에 조금 뜨끔하고 놀라기도 했다...

(장애인이 아니라 장애우라는 단어에 별다른 불편을 느끼지 못했던 것,

영화에서 정당하지 않은 차별이야기가 나오더라도 별 거리낌없이 넘겼던 것. 

이미 그런 것에 익숙해질대로 익숙해져 그게 차별이라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했던 것.)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반성도 많이 되더라.

뭔갈 배웠다는 이유에서 고상한 척, 매너있는 척, 깨어있는 척.

척이라는 척은 다해놓고 정작 스스로 편견에 갇혀서는 

그게 편견인지조차 알지못하는 꼴인 것 같아서.

 


 

 너무나 유명한 영화'300'이나 문학 책  '앵무새죽이기'에도 

인권에 대한 한계점이 있으니, 저자는 그 한계를 인식하고 감상할 것을 권하고 있다.

히어로물 영화를 안좋아하는터라 '300'을 아직 안봤는데,  

이 책을 읽기전에 영화를 먼저 봤다면 나는 그 인권의 한계에 불편함을 느꼈으려나?


 

노동자 인권부분에서는 크게 공감. 또 공감.

직장인이기도 하고 정규직, 비정규직, 무기한 비정규직, 파견직을 

모두 다 겪어 봤기때문에

(^^ 웃고있지만 눈물이 난다...) 

누구보다 마음에 와닿았다.

 

 

장애인,동성애,노동자,인종,성차별,종교, 영화검열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인권에 대해 재미있게 풀어 낸 것 같다.

청소년 권장도서지정은 도대체 어디서 담당하는거지? 

그 기관에서는 도대체 뭘하고 있나 ㅠㅠ 이런 책 선정안하고!!

학생들의 인권문제도 다루고 있으니 중고생이 읽으면 더더더더 좋을 것 같다. 

 


한가지 읽으면서 아쉬웠던건 외래어 표기. 읽다보면 가끔씩 신경쓰인다.

메시지 - 메씨지

대처리즘-새처리즘

에피소드-에피쏘드

픽션-팩션

 

 

그것 외에는 뭐... 진짜 재밌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