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 기담 수집가 : 두 번째 상자 헌책방 기담 수집가
윤성근 지음 / 프시케의숲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관심을 끊은 지 몇 달이 됐다. 글쓰기 없이 살 수 있다는 말도 했다. 그래도 친구가 책 얘기하는데 무관심한 게 민망하여 느릿느릿 알라딘에 들어왔다가 기담집 2편이 나온 것을 보았다. 1편에 이어 의리로 샀다라고 하기에는 책표지가 너무 좋았다. 어쩜 이렇게 섬세하면서도 성실하게 책 분위기를 담아냈을까. 나무 상자에 밀실 분위기로 표현된 책방 모습이 마음에 들었다. 책방 주인장이 열어 준 이야기 상자 안에는 주인장과 의뢰인의 거래가 이미 시작되었고, 이야기 상자의 뚜껑을 잡고 있는 주인장의 손은 의뢰인의 이야기를 알고 싶으면 책 안으로 들어오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주인장의 저 손이 상자를 닫고 다시 열 때면 또 어떤 인물이 나타나고 무슨 장면이 펼쳐질까. 책표지만 보고도 이건 단순히 인기작에 이어지는 속편이 아니라 또 하나의 완벽한 헌책방 기담집이라는 판단이 들어버렸다. 2편의 부제는 두 번째 상자이다.

 

2편은 1편보다 더 기담에 어울리는데 기이하게 연결된 책과 사람, 사람과 사람의 인연뿐 아니라 이계異界와 연결된 듯한 기담도 있다. 작가 스스로도 책과 사람의 인연이 얽힌 이야기를 수집하려 했다지만 어떻게 이런 오묘한 이야기들이 작가의 데이터 박스에 들어왔으며 그 이야기들을 어떻게 이렇게 잘 풀어냈는지 난 그저 신기하다. 책을 받고 나서도 무덤덤했다가 본문을 한 번 펼친 뒤에는 밤이 늦도록 계속 읽었다. 본격 기담인 3부를 읽을 때는 연심 소름이 돋았다. 그러면서도 내려놓지는 못했다.

 

1편에서도 그렇지만 2편에서도 나는 여전히 작가가 만난 인물들과 그들의 이야기가 오묘해서 혼란스러울 정도이다. 지금 느낌으로는 2편이 더하다. 현실인가, 가상인가. 이런 느낌이라면 작가는 환상문학도 무척 잘 쓸 것 같고 그가 쓴 이 이야기들도 상당 부분 환상문학을 읽을 때와 같은 느낌을 공유한다. 분명 에세이 작가로 알고 있고 이 이야기들도 실제 에피소드를 적은 것인데 이야기꾼으로서의 문장력도 탁월해서, 난 이 작가가 쓴 추리소설이나 환상문학을 너무 읽고 싶다. 이제는 헌책방 주인장이라고 부르기보다 작가라고 부르는 것이 더 맞을 것 같다.

 

*

이 책을 읽고 나서 내 작은 가게가 하고 싶다는 생각이 아주 많이 들었다. 이 작가처럼 이야기를 수집하고 이야기를 완성하기 위해 전국을 찾아다닐 자신은 없다. 내가 부러운 부분은 작가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사람과 삶에 대한 생각을 끊임없이 수정하고 배워가는 모습이다. 내가 있는 공간에서 사람들을 진심으로 대하고 사람과 삶에 대해 생각하고 깨달아가는 경험을 하고 싶다. 가장 생동감 넘치는 시절의 내 모습이 그렇지 않았을까. 오랜만에 책을 읽으며 마음의 더께가 사르르 씻겨져 가벼워지는 것을 몇 번이나 경험했다. 그렇게 세상을 보는 눈에, 마음에 쌓인 먼지를 걷어내고 세상을 대하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이 작가의 책을 읽을 때마다 신선한 자극을 받았다. 그에 감응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고 내 바운더리를 넓히기 바랐지만 그가 몇 권의 책을 내고 나는 몇 번의 감응을 받았으면서도 여전히 내 세상을 내가 바라는 만큼 확장하지는 못했다. 그가 다음 책을 낼 때쯤이면 나도 오롯이 나의 일을 하며 살고 있을까. 이제는 좀, 그러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