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정체(政體) - 개정 증보판 헬라스 고전 출판 기획 시리즈 1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 / 서광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바름이 무엇인가에 관한 이야기다.

초반에 시모니데스라는 노인이 각자에게 갚을 것을 갚는 것이 올바른 일인거 같다는 말에 소크라테스가 되물으며 논의가 진행이 된다.

올바름이 무엇인지에 대해 좀더 쉽게 논의해보고자 개인보다는 좀 더 큰 개념인 그들의 "국가" 를 세워본다.

어떤 젊은이가 소크라테스를 나무라며 올바르지않음이 올바름 보다 낫다고 하며 올바르지 못함의 긍정적인 면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좀 지나 소크라테스의 열의를 부추기고자 젊은이 두명이 올바르지 않음의 장점을 열거한다. 이 부분들을 읽으며 지금과 다른게 별로 없구나 란 생각을 떨치지 못했다.

그러면서 젊은들이 제발 올바름이 올바름 자체로 옳다는 것을 증명해주기를 간청한다.  읽는 나도 같은 심정이 되어 열심히 읽어봤으나 후....힘들었다.ㅋㅋ

 

읽는 동안 내 목표는 단 하나, 올바름이 무엇인가 였다.

근데 국가는 600쪽이 넘어가는 동안 그 올바름이 왜 올바름인지 증명해내는 과정의 책이라 할 수 있는데 글자 하나 하나 신경 쓰며 읽을라니 참 호흡이 긴 책이었다.

그리고 난  왜 이 책이 이렇게 읽기가 힘들었었는지. 그동안 읽기 쉬운 책만 읽고 있었음이 절실히 다가왔다.

 

 

소크라테스는 올바름이란 제 할일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이유는 올바름이란 일종의 혼의 건강이요 아름다움이며 좋은 상태. 나쁨은 혼의 질병이며 추함, 허약함을 의미한다.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권력이나 부를 갖는것보다 중요! 건강을 잃고서는 의미가 없다.  고 나름 열심히 읽긴 읽었는데 맞을지...

여튼 올바름은 자기 외부의  명성이나 부, 권력을 위해서 가져야 하는 무엇이 아니라 자기 자신, 내면, 혼을 위해서 지켜야 하는 그 무엇이라고 일단 나름 정리했다.

 

 

서양철학사를 알려면 플라톤을 읽어야 한다고 해서 국가를 읽어보긴 했으나, 그 유명한 이데아 라 든가 동굴, 선분의 비유? 태양? 요런거는 따로 공부해야 할성 싶다.

읽는동안 도대체 '그것 자체' 라고 하는 인식이란건 어떻게 해야 알 수 있는건지...

내가 흥미를 갖고 읽있던 부분은 앎과 의견의 차이였다.

언제나 아리송해왔었는데 참 오래된 생각이었구나..란 깨달음. 

소크라테스를 만났다면 무참히 깨졌었겠다란 상상들. ㅋㅋ

고전은 고전이다. 내가 궁금했었거나 염증나했던 것들에 대한 생각들이 고스란히 이 책 안에 있었다.

인간을 꿰뚫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도 읽히지 않나 싶다.

언제나 느끼는 거지만 보이는 현상에 연연하지 말자. 

 

 

 

나의 밑줄

http://blog.naver.com/icewitch1/2201850579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명 앞에서 주역을 읽다 - 삶의 역풍도 나를 돕게 만드는 고전의 지혜
이상수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명이 돌처럼 날아온다, 눈을 떠라."

 

'돌' 이란 글자를 보니 내가 전에 운명을 짱돌에 비유했던게 생각이 났다. (뒷통수에 갑자기 날아온 짱돌)

만약 내가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 하면 아마 주변에서 바로 비난 여론이 빗발칠 것이다.

물론 나도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뭔가 피해갈 수 없는 일들이 닥치는 것만은 사실인 것 같다.

언제나 철학관에 사주 보러 가면 물 기운이 부족하다고 하여 학문과는 거리가 멀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데 책을 좋아하는 나로선 참...슬프다.

인성! 그놈의 인성이 없다고 하면서 말이다.

그런면에서 보면 사주명리학은 운명은 정해져 있다고 보는것 같기도 하고 말이다.

오행을 얼마나 갖고 태어났느냐가 관건 처럼 보인다. 보통은 한개 정도씩은 안갖고 태어나는것 같은데 그럼 모두의 인생은 절름발이란 말인가. 에휴

물론 오행의 배치가 중요하지만 말이다. 책 안에서도 저자가 사주명리학에 쓴 소리를 하는 페이지가 있었는데 읽는 내가 조금 걱정이 되었다. ^^; 반발들이 있을 것 같아서 말이다.

암튼 이 책은 주역에 관한 책인데 사실 난 주역이 뭔지는 잘 모른다.

이 책을 읽다보니 주역이 사주명리와는 다른 좀 더 열려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주역은 단지 상황에 대해서만 얘기한다.  그 길을 가면 이럴텐데 갈래 말래? 요런 느낌?

선택은 내 손에 있는거다.

그리고 해석이 무궁무진하다. 주역은 절대적인 신의 말씀은 아니다. 인간 중심주의랄까.

길함속에도 흉함이 있고 흉함 속에도 길함이 있다는 이런 사고방식이 마음에 들었다. 어차피 인간사는 행 불행으로 나눌 수 없는거 아닌가.

한쪽 문이 닫히면 다른 쪽이 문이 열리는 것처럼 언제나 모든 일에는 양면이 있고 배울 점이 있다는 것을 나이가 들수록 점점 알게 되었다.

길함 속에서 흉함을 대비하고 흉함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고 살라는 뜻이 아닐까 싶다.

니체의 Amor Fati 와도 연결이 된다.

'물극필반' 이라고 저자가 여러번 설명하는데 아놔~~~ 막상 그 부분 찾아서 적을라니깐 도저히 못찾겠다.

 

 

" 점친 결과가 좋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

 주역에 이런 말이 있다던데 나도 그런 경지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항상 눈뜨고 있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책을 읽으면서  주역점 치는 법을 꼭 배워야지 생각했다.

점을 치는것은 어렵지 않은데 그것을 해석하는게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양 철학은 왠지 나이가 들어갈수록 더욱 깊게 공부할 수 있는 학문인거 같아 좋다. 허나 난 인성이 없어서!! 못할거라고들 하는데...ㅠㅠ 나이가 들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ㅋㅋㅋ 꾸준히 하다보면 되지 않을까 싶다.

앞뒤 꽉 막히고 답답할 때 다른 프레임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주역은 분명 두고두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인것 같다.

 

 

 

 

나의 밑줄

http://blog.naver.com/icewitch1/2201839964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이 얼마나 잘하는가는 문제가 아니다 얼마나 잘하고 싶어 하는지가 문제다 - 폴 아덴의 전 세계적 베스트셀러
폴 아덴 지음, 권혜아 옮김 / 크리스마스북스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책이 정말 작다. 그냥 소책자 느낌이다. 당연히 얇다.

그리고 큰 글씨여서 잘 읽힌다.

난 제목이 마음에 들어서 샀다.

언제나 사람의 능력은 의지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본문 중에서 -

 

" 부자와 권력자 대부분은 눈에 띄게 재능을 타고났거나 학식이 있거나 매력적이거나 잘생긴 사람들이 아니다.  그들이 부와 권력을 가지게 된 이유는 부와 권력을 원했기 때문이다. 당신은 어떤 곳에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이 비전이야말로 당신이 가진 가장 큰 자산이다. 목표 없이는 이룰 것도 없다."

 

 

 

"유행을 쫓아가느라 애쓰지 마라. 주제에 진실하게 접근하면 세월이 흘러도 변치 않는 작품을 창조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예술이다."

 

 

 

"가볼 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라면 그곳까지 가는 지름길은 없다.      - 비벌리 실스- "

 

 

 

"행복은 평범함에 대한 특별한 인센티브다.     -미셸 몽테뉴 -"

 

 

 

" 정신이 온전한 사람을 데려오라. 내가 고쳐주겠다.   -칼 구스타프 융- "

 

 

 

 

 

광고와 창의성에 대한 이야기다.

궁하지 않아서 그런지 나에겐 임팩트가 없었던거 같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 - 개정2판
모티머 J.애들러 외 지음 / 멘토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오직 읽기만 하는 바보' '책수련' 을 읽다보니 독서법에 관해 정통으로 이야기한 책이 궁금해졌다.

이 책 개정판이 나와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난 도서관에서 이 책 전 버전으로 읽었는데 상당히 읽기 힘들었다는...

별로 다르진 않지만 이 책이 훨 읽기 편했다.

독서의 기술을 알아야 할까 싶지만 이 책은 기본적으로 두번 이상은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을 타겟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흥미를 위한 독서도 다루지 않고 있다.

 

 

보통 다들 그렇겠지만 재미로 책을 처음 시작하지 않나 싶다.

나도 물론 그랬는데 몇년전부터 과도기인것 같다.

뭔가 의식을 확장하는 책읽기를 해야하는데 어려워서 읽기는 싫고...다른 책들은 지루하기도 하고 별로 감흥도 없고 말이다.

앞에 얘기한 두 책들을 읽으며 그냥 다독으로 돌아갈까 했다.

'리딩으로 리드하라' 나 ' 오직 독서뿐' 보면 다독을 할 수가 없다. ㅋ

그런데 역시 이 책을 읽으니 내가 건너야 할 강은 눈 앞에 있는 것 같다.

나의 머리를 넘어서는 책 붙잡고 내 의식을 확장시켜야 할 때인가부다.

 

 

책을 잘 읽고 싶은 사람들, 의식을 확장시키고 싶은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그에 대한 방법이 자세하게 나와 있는 실용서적이다.

앞서 언급했던 책들보다 명쾌하게 설명이 나와 있어서 구체적이다.

실천을 한다면 금상첨화겠지. ㅎㅎㅎㅎ

 

 

 

나의 밑줄

http://blog.naver.com/icewitch1/2201450478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기 전에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여행 - 나를 꿈꾸게 하는 세계의 절경 64
시호 지음, 김현희 옮김 / 시공사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책의 파란 표지가 너무 이뻐서, 내가 가보고 싶은 곳이어서 끌렸다.

요즘 여행에 관심이 급증 했는데 이 책은 세계 절경을 담았다고 해서 궁금했다.

책은 좀 얇고 절경 사진이랑 어떻게 가는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들이 나와 있다.

 

 

이 책은 일본 사람이 쓴 책으로 페이스 북에서 처음 시작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책에 아쉬웠던 점은 우리나라는 한군데도 없다.

예외로 페이스북에서 투표한 '죽기 전에 가보고 싶은 세계의 절경 105 ' 안에 74위로 내장산이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는 없을 수 있는데 저자가 일본 사람이어서 그런지 일본 장소는 몇군데 들어가 있었다.

그래서  별점 3개 줬다. ㅡㅡ; (뭔가 주관적인 책이라는 느낌이 들어서) 

 

 

사진들을 보니 정말 가보고 싶은 곳이 많았다.

이런 곳들도 있구나, 다는 못가도 몇군데라도 가보자 이런 생각을 했다.

사진들만 봐도 설렌다.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