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 뺏기 - 제5회 살림청소년문학상 대상, 2015 문학나눔 우수문학 도서 선정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92
박하령 지음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자 뺏기> 책을 미래M&B 출판사로부터 받고 작성합니다.

 읽으면서 웃음도 있고 눈물도 있었고, 콩닥콩닥 가슴 떨림도 있었다. 서지오, 서은오, 승미, 우빈(선집)의 우정과 아픔과 성장이야기에 나도 모르게 박수를 보냈다. 

지오와 은오는 일란성 쌍둥이다. 그런데 초등학교 5학년때 은오는 부산 할머니댁에서 지내고 지오는 엄마 아빠와 서울에서 살았다. 처음에는 엄마의 임신으로 둘은 힘드니까, 한 명은 외할머니댁에 있으면서 엄마를 도와주라고 했다.  한 명을 고르는 소리를 우연히 밤에 들은 은오는 부모님의 "은오" ,"지오"할 때마다 가슴이 뛰었고 입이 말랐다. 부모님은 성격이 온순한 은오를 데리고 서울로 가자고 마무리했는데, 다음날 아침에 생선 가시가 목에 걸린 지오가 병원에 다녀온 뒤로 인생이 바뀌었다. 부모에게 선택받지 못했다는 사실은 은오를 힘들게 했다.


지오는 서울에서 하고 싶은 피거스케이트를 했고 성형 수술을 했고 학원에 다니면서 우수한 성적을 유지했다. 은오는 할머니댁에서 혼자서 바깥으로 돌아다니면서 선집이랑 놀았다. 선집은 지오와 먼저 만났고 은오를 지오로 착각했다. 장난기가 발동한 은오는 지오가 죽었다고 하면서 저번에 네가 본 것은 귀신이라고 했고 선집은 그 말을 믿고, 지오 가라 세이~ 하면서 은오가 하고 싶은 것을 지오가 하고 싶다면서 선집을 데리고 다녔다. 


K장녀 은오가 이야기를 하고 있으면 안쓰럽다가 답답했고 짜증이 났다. 그런데 자신의 몫을 챙기는데 당당한 지오를 보면서 시원했고 두 팔을 벌려서 응원 해 주었다. 둘이 쌍둥이라고 했지만 어쩌면 한 사람을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우리 안에는 또 다른 내가 있으니까. 의자를 뺏어서 앉은 내가 밖으로 표현되는 나다.  의자에 앉은 나에 따라서 다른 행동과 말을 한다. 은오 같은 내가 의자에 앉으면 "아이엠 오케이"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아쉬움을 다 받아주고 지오 같은 내가 의자에 앉으면 "암튼 난 자느라 아무것도 몰랐으니까 맘대로들 하셔! 경찰에 신고하든지."(P.10)



지오와 승미가 실랑이를 하고 있을 때 어영부영 숭미편을 들어준 은오는 " 어떤 식으로든 혼자가 되고 싶지 않'(P.11)다.  어릴때 부모님과 떨어서 혼자 지내던 은오의 입장을 생각하면 충분히 이해되지만 잘못을 덮으면서 승미편에 서는 것은 옳지 않다. 그 상황에서만 벗어나기 위한 은오의 대처는 또 다른 문제를, 더 큰 문제를 일으킨다. 지오처럼 맞서야 한다. 다행이 뒷부분에 은오가 결심을 한다. "이번엔 내 차례야." (p.119)물론 은오안에 있는 큰 상처를 회복하는데는 많은 시간과 아픔이 있을 것 같다. 그런데 그 상처를 '어떻게 처리했느냐'(p.134)에 따라서 은오 가슴속에 있는 불씨를 잘 다룰수 있다. 마음에 없는 '아이엠 오케이'는 말하지 않는 은오를 기대해본다. 


나의 한 문장

나의 삐뚤어짐은 성장의 전진이다 p.107


나의 밑줄

엄마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당당하게 뻗대는 편이었다 p.23

그건 일종의 포박이었다 p.25

지오보다 더 믿음이 간다는 말에 나는 족쇄처럼 옭아 맸다 p.26


순간 울컥 했다. '우리'라는 말이 이렇게 정겨울 수가 없다 p.35

후렴구처럼 반복되는 믿는다는 말은 부드럽게 몸을 내리누리는 무거운 솜이불이 되어 p.25

왠지 무서운 마음에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p.48

요즘 들어 자꾸만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싶은 욕구가 생겼다 p.85


덮기만 하는 게 과연 좋은 일일까 p.85

분노란 감정은 사람을 적극적으로 만드니가 p.93


또다시 마음에도 없는 아임 오케를 외칠 수는 없었다. 의자 뺏기를 해야 한다면 그렇게 할거다. 나도 이제는 앉고 싶으니까 p.94


잘해야 한다는 강박감과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쌍곡선을 이뤄서 내 몸을 조였고 p.109


이번엔 내 차례야 p.119

누구 때문이든 내 안의 상처는 어차피 내 꺼잖아. 그러니 어떻게 처리했느냐도 내 몫이야 p.134


2015년 출간된 책과 내용은 같은 것 같고 단어에 변화가 있는 것 같다. 좀 더 순화된 단어로 바꾼 곳도 있고

오히려 

" 씨발, 좆같이. 지들이 간수를 잘했어야지."(p.17)하면서 리얼하게 표현해서 실감나게 진행하는 부분도 있다.

어떤 기준으로 단어를 선택했는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