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 대를 위한 교실 밖 경제학 - 경제 교과서를 뒤집는 7가지 질문 ㅣ 생각하는 돌 27
서재민 지음 / 돌베개 / 2025년 6월
평점 :
우리는 매일매일 소비를 한다. 우리의 소비는 자본주의 경제가 살아남기위해 만든 것인데
중요한 것은 그 안에서 나의 소비력을 키우는 것이다. 어떻게 나는 나의 소비력을 키울 것인가?
우리 사회(국가)는 어떻게 도울것인가!
새롭게 알게 된 것 & 기억할 것
공리의 정의 - 공리란 '개인의 업적에 따른 이익'으로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이 인간의 이익과 행복, 쾌락을 늘리는 데 얼마나 이바지하는가 하는 유용성에 따라 결정된다' p.20
행동경제학(p.24)
노동가치론p.55
시장 경제체제와 계획 경제체제(p.86)
흥미로웠던 것 & 기억할 것
1) 금융 생애주기 그래프 p.193
생애주기 그래프를 보면서 노후 생활에 불안감과 두려움이 생겼다. 지금이라도 투자를 해야할까? 조바심이 생겼다. 요즘은 돈이 돈을 낳는다고 하던데, 그런데, 계속 읽다보니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금융시장에서 황금 알을 낳는 거위는 없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바로 노동자의 손이라고 말한다.
그럼 우리는 '안전한 노동 환경, 임금과 복지'(p.204)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질문을 하고 사회에 질문을 던지고 정부와 국가가 역할을 잘 하도록 주시를 해야겠다.
교과서속의 경제와 현실의 경제 사이에 있는 큰 틈을 메우기 위해서는 '논리 뒤에 감춰진 것들을 들여다 보고 그 논리를 넘어선 질문 - '정말 그러한가?-'을 던지는 시도'(p.21)를 해야겠다. 그래서 우리는 '자본이 낳은 괴물인 자낳괴'가 되지 않고 새로운 눈으로 경제를 바라보고 '경제 시민'으로 향해야 한다.
2) 소비자는 가격을 복 상품을 선택할까?
아니다. 즉 '티셔츠의 가치는 각자 다르게 여기고 있어서 다양한 선택이 이루어진다.'(p.46)
3)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점에서 가격이 결정되는데, 왜 종이컵과 자동차는 다른 가격대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수요와 공급이 만날까?
'상품의 가격은 노동 가치에 의해 정해지는데 그 가격 근처에서 수요 또는 공급의 변화에 따라 가격이 올랐다, 내렸다 하는 것'(p.56) 이처럼 경제는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우리는 경제를 배워야한다.
4) 경제문제 3가지 (p.80-81)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
저자는 여기에서 세번째 질문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를 누구에게 정당한 몫이 돌아가는가 혹은 돌아가지 못하는가'(p.81)라는 질문으로 대체 되어야 하지 않겠냐고 말한다.
5)로봇과 AI의 활발한 활동은 우리의 실업은 더 증가할텐데 이 실업 문제를 어떻게 보고 해결 해야 할까?
2~3번은 읽고 질문을 만들고 토론하기 좋은 책이다.
돌베개에서 책을 받고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