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의 딜레마 - 제7회 한낙원과학소설상 작품집 사계절 1318 문고 130
임서진 외 지음 / 사계절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나 우주의 이야기가 너무 거시적이고 복잡해서 읽기 힘들었다면 적당한 미래와 적당한 과학기술로 익숙한 것이 낯설어지는 이 책을 추천한다.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여러 단편들은 안드로이드나 우주인이 등장하는 SF소설인데 굉장히 낯설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매력이 있다. 과학이 발전한 어떤 미래에는 사람들은 어떻게 될까? 정말 이런 일이 생긴다면 나는? 이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들어 SF소설을 처음 읽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다.

 

수록작품인 「달 아래 세 사람」, 「외계에서 온 박씨」은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전래동화와 역사 속 소재를 다루고 있다. 「달 아래 세 사람」은 시간 여행과 관련된 내용인데, 흔한 소재이지만 흥미롭게 풀어내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외계에서 온 박씨」는 흥부전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흥부전이 우주적인 관점에서 이렇게 재탄생된다는 점이 너무 재미있고 신선하다. 흥부전을 읽으면서 '아니, 저 제비는 왜 자꾸 다리를 다쳐서 온 동네를 쏘다니는 거야!'라고 생각했다면 조금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표제작인 「항체의 딜레마」는 코로나19 시대에, 그리고 『스위트홈』, 『해피니스』처럼 치명적인 전염병을 다룬 영화나 드라마가 많아진 요즘 낯설지 않게 읽을 수 있다. 해결방법이 없어 '논'이라 불리는 바이러스로 '웨일'을 착용하고 생활하는 이 세계는 마스크가 생활화된 우리 시대와 별로 다르지 않다. 항체가 있어 실험실에 갇힌 A 또한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자주 만났다. 그는 아마 치료제를 만들기 위해 온갖 실험을 당했을 것이고, 치료제 만드는 게 어려웠던 만큼 더 많은 실험을 당했을 것이라고 어렵지 않게 유추된다. 그런 A가 금덩이를 주며 탈출하게 도와달라고 한다면?

 

요즘 많은 의약품은 식물, 동물의 성분에서도 추출하지만 인간이 본래 갖고 있던 유전자를 가지고 만들기도 한다. 인간의 유전자를 추출하는 것, 그 유전자를 이용하는 것, 그 유전자 정보를 배포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괜찮은가, 또 그러기 위해서 그들의 삶을 통제해도 되는가, 그 대가로 얼마를 치러야하는가, 인간이 아니라 다른 생명체의 유전자는 그렇게 해도 괜찮은가

 

또 개인의 고통을 목격하고도 그 개인의 희생으로 다수가 행복할 수 있다면 우리는 그 고통을 외면해야 하는가, 다수를 위해 개인의 희생을 지지해야 하는가- 짧은 소설에서 어떤 것이 윤리적인지,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 그 선택이 맞는지 계속 생각하게 한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이브 씨는 트라우마에 갇혀 있어요. 그래서 무엇이든 ‘잊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는 거예요. 요즘도 잠드는 게 두렵나요? 이브 씨, 하나부터 시작해요. 조금씩 잊기로 해요. 시도는 하고 있나요?"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태도가 과학적일 때
이종필 지음 / 사계절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책을 읽는 것을 부담스럽게 생각했던 사람에게 추천한다. 과학이 어려운 건 원래 어렵다며, 외국에서 들어온 외계어가 쉽겠냐며 내 마음을 시원하게 긁어준다. 그 누구도 나에게 이런 말을 해준 적이 없었다. "수학, 과학 어려워요"하면 공부를 열심히 하라거나, '문과'를 가라거나 위로도 대안도 1도 안 되는 말만 들었는데, 무려 과학자가, 근거를 들어가며 과학이 어려운 이유를 진지하게 설명해주는데 이런 친절, 처음이다. 첫인상이 이렇게 좋은 책이 있었을까 싶을 정도다.

목차를 봤을 땐 이 책 어렵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일상적인 이야기로 시작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출력, 스캔, 팩스가 모두 되는 복합기와 아이폰을 비교하면서 아이폰은 시대의 아이콘, 혁신의 아이콘이 되었는데 복합기는 왜 그렇게 되지 못했는지 설명한다. 아니 어떻게 아이폰이랑 복합기를 감히 비교해?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읽으면서 '어, 그렇지, 그렇지' 하며 읽게 되는데 이렇게 끄덕끄덕하면서 읽다보면 디지털 지능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러서도 '어, 그러네, 그럴 수도 있네'라며 이해하게 된다. 이 책은 과학을 공부해라! 라는 부담스러운 결론을 주지 않는다. '과학적인 태도, 과학적인 생각'을 할 것을 제안한다. 이 책의 매력은 여기서 발한다. '과학적인' 그 어떤 것이 어렵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학교 안에서 사계절 1318 문고 129
김혜정 지음 / 사계절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우연히, 공교롭게 어쩌다 학교에 갔다가 갇혀버렸다. 학교에 누가 폭탄을 설치했다며 학교에서 누구라도 나간다면 폭탄을 터뜨려버리겠단다.

 

1학년은 수련회를 가고, 2학년은 체험학습을 가고, 3학년은 모의고사가 있어 5시 전에 귀가하는 날이었다. 그리고 학교에서 그 사실을 제일 먼저 알게 된 사람은 계약 만료로 그 학교를 그만둔, 전 기간제교사였다. 선생님이긴 했지만 지금은 선생님이 아니라 외부인인데 학생들도 경찰도, 심지어 그 학교의 교감선생님도 학생들을 잘 통제하고 '잘 있기'를 바란다. 불편했던 동료에게 굳이 연락해서 알아낸, 마주칠 사람이 거의 없을 날을 고르고 골라 왔는데 다시는 마주치고 싶은 않은 구남친 같은 학교와 구질구질하고 지독하게 엮어버린 것이다.

 

이 책은 프롤로그 전에 "이건 학교에 관한 이야기다. 학교 문이 닫힌 후, 학교의 진짜 이야기가 시작된다."라고 시작한다. 폭탄 테러 예고로 학교 문이 닫힌 후, 학교 밖을 나오기까지의 이야기가 어떻게 학교의 진짜 이야기인지 궁금해하면서 책을 읽게 된다. 이 소설의 소제목 중 하나인 '학교에 가지 말았어야 해' 그랬어야 했는데 학교에 와서 이 상황을 겪어야 하는 등장인물들은 특별하다기보다 학교다니면서 마주쳤을 것 같은 사람들이다. 수련회를 가지 않았으면서 학교에 늦게까지 남아있는 1학년, 체험학습을 갔다가 굳이 집에 안가고 학교로 돌아온 2학년,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눈을 피해 전 직장에 잘못 배송된 택배를 가지러 온 전 선생님이라는 이상한 사람들이지만 어디엔가 있을 법하다. 문이 닫힌 학교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우연히 모인 인물들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어떻게 이 상황에 대처하는지 따라가다보면 각자가 가지고 있는 학교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내의 뜰
강맑실 지음 / 사계절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좋아하던 만화 중에 「검정 고무신」이라는 만화가 있다. 사실 배경이 되는 시대가 옛날이라 교복값이 없어 교복을 못 사입는 학생이 나오거나 선생님이 집에 찾아왔는데 컵이 없어 대접에 커피를 대접하는 장면이 나오고, 귀한 바나나를 먹으며 행복해하는 장면도 나온다.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경험인데도 즐거워하면서 본 이유는 주인공의 유년시절이 즐겁고 행복하게 투영돼서 보는 사람도 즐거웠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의 배경도 사실 내가 경험한 과거보다 더 먼 과거지만 막내가 태중에 있을 때부터 이사갈 때마다의 기억이 정감있고 공감되게 서술되어 있다. 막내가 언제나 행복한 추억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게 기억하고 있다. 우리들의 유년시절도 그럴 것이다. 노상 행복하진 않았지만 돌이켜 보면 좋았던 그날들에 대한 기억들이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전달된다.


지금은 보기 힘든 '적산가옥'에 살았다거나 다다미방이 있는 집은 신기하기도 하지만 오빠들 방, 언니들 방을 같이 쓴다거나 마당에 핀 과꽃은 나의 추억 어딘가와도 맞닿아 있다. 아파트에만 살아본 어린이들도 집을 그리라고 하면 마당이 있고 굴뚝이 있는 단독주택을 그린다는 말을 어디선가 들었는데 마당 한 켠에 나를 위로해주는 나무가 있고, 마당을 빙글빙글 돌며 오빠와 술래잡기를 하고, 대문 앞에서 돌아오는 아빠를 기다리는 추억은 아파트에서 갖기 어려운 일이다. 그런 기억을 가진 막내를 부러워하다보며 책장을 넘기다보면 막내가 어느새 초등학생이 되고 언니에게 '고등학생이면 다냐'며 심부름을 하기 싫다고 할 말을 다 할만큼 커가는 것도 볼 수 있다.


나도 어린 시절에 이사를 자주 다녔는데……, 오늘은 왠지 내가 살았던 집과 마당을 그려보며 추억에 젖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공지능 시대, 십 대를 위한 미디어 수업 사계절 1318 교양문고
정재민 지음 / 사계절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공지능이란 말이 자주 들리는 시대가 되었다. 스피커도 인공지능을 탑재해서 나오는 시대에 인공지능의 한 부분인 머신러닝을 소재로 다룬 드라마도 등장했다. 인공지능이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현재의 기술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인공지능과 미디어를 십 대 청소년에게 이해하기 쉽게 써있다.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콘텐츠가 무엇인지부터 차근차근 설명한다. 어떤 미디어를 자주 사용하는지-보통 스마트폰일 것 같지만-생각하게 하고, 어떻게 활용하는지, 미디어를 사용한 대화와 그렇지 않은 대화의 양을 비교해보게 된다. 사실 책이 전달하는 내용이 쉽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일상의 일은 진지하게 생각하기 전까지는 너무나도 일상적이라 잘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루에 얼마나 걸으십니까?”라는 질문을 받고 생각해보면 얼마 되지 않듯이 미디어 활용도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잊혀질 권리, 사이버불링 등 미디어와 관련된 이슈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언론이 뉴스를 선별하여 매체를 통하여 제공하고, 이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도 설명한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이 책은 기술이 생각보다 발전했고, 기술을 지혜롭게 사용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함을 알기 쉽게 설명한다. 기술의 공학적인 면이 아니라 사용하는 사람에 초점을 맞춘 설명서로서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