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현남 오빠는 싫어할 법한 장소지만, 나는 매우 좋아하는 장소 티룸에서 읽었던 현남 오빠에게


페미니즘 소설을 많이 읽고 공부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잘 안 읽게 되는 상황은 읽으면서 느끼는 불편함 때문이다. 그 불편함은 불쾌함과는 다른 불편함이다. 읽다 보면, 공감이 가는 상황들이 너무 많은데, 그때마다 불편하다고 이야기하지 못했던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이 가장 크다. 
관련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불편함은 과거의 자신이 당했던 사건을 다시 한번 떠올리면서 마주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놀라는 점은 과거보다 불편함에 대해서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도, 별로 달라지지 않은 현실이다. 관행처럼 넘어가고 침묵했던 상황들이 이런 상황을 더 키워온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책을 읽기가 힘겨울 때가 많다. 
하지만 그럴수록 이런 책을 많이 읽어줘야, 여성이 현재 처한 상황, 남성이 처한 상황에 대해서 더 똑바로 알기 쉽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편하지는 않았지만 읽게 된 현남 오빠에게.
7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이 소설은 조남주, 최은영, 김이설, 최정화, 손보미, 구병모, 김성중 주목받는 작가들이 써서 화제가 된 작품이다.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한 여성들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다시 주체적인 삶을 살아나가려고 하는 내용들을 공통적으로 담고 있다. 때로는 인생을 재시작하는 여성으로 모습으로, 때로는 딸의 모습으로, 경년기에 접어든 엄마의 모습으로 등등. 누구나 한 번쯤은 접해봤을 그런 상황들이다.
아마도 읽으면서 이게 왜 예민하고 불편한 상황인 건지 의문을 가지실 분도 물론 있을 것이다. 아주 예전엔 나도 이해하기보다는 의문을 제기하는 편에 속했었기에. 하지만 타인의 시점은 나의 시점과 전혀 같지 않다는 건 알고 나서는 의문을 제기하기보다는 어떤 점이 불편할까 한번 더 생각해보게 되었다.
페미니즘 책을 읽는 분들은 아마도 어떤 점이 불편하게 느껴지는 건지 한 번쯤 타인의 입장에서 고민하는 분들이라고 생각한다.
단편들 중에 가장 공감이 크게 갔던 작품은 조남주 작가의 "현남 오빠에게"와 최은영 작가의 "당신의 평화"였다. 대학시절이나 사회 나와서 이성과 사귀었을 때 한 번쯤은 만나봤을 현남 오빠. 
꼭 이성적으로 사귀지 않았어도 주변에 참 많았던 동생, 남자 사람 친구들에게 보아왔던 불편한 점들이 하나둘씩 보여서 매우 공감 갔다.


싫다고 이야기해도 모르는 척하는 것인지 여자친구의 취향에도 관심이 없는 남자. 

의견을 물어는 게 아니라 혼자 결정하는 남자.

단편 말미에 나오는 속 시원한 이 문장으로 답답했던 가슴이 뻥 뚫렸다.


당신의 평화를 보면서는 화제의 웹툰 며느라기가 생각났다.
한 사람, 한 사람 두고 그 사람의 사정을 보면 누구도 못된 사람이 없고,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이 참 안되었고 이해가 간다. 하지만 웬일인지, 같이 놓으면 생지옥이 그려지는 아이러니한 상황. 
한번쯤 내 상황이라 생각하면 충분히 불편할 텐데 마치 관습처럼 그렇게 악순환되는 과정이 그려져서 갑갑한 웹툰.
당신의 평화는 평생 시집살이로 고생하고 아버지에겐 사람 취급받지도 못하는 어머니가 결혼을 앞둔 남동생의 여자친구에게 대하는 태도를 보는 딸인 주인공의 관점으로 그려진 글이다.
어머니의 사고방식과 시집살이는 결국 딸인 주인공과 남동생의 여자친구에게로 대물림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어머니는 할머니와 시어머니, 남편으로부터 받은 불편함과 스트레스를 딸에게 하소연한다. 

그러나 가장 큰 위안은 아들로부터 받는다. 


정말 사랑하는 엄마지만, 가끔씩 저런 이야기를 들을 땐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물질적으로 가난해서 싫은 게 아니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이 싫다.

 딸인 유진이 감내해야 하는 일은 싫은 가부장제가 만들어놓은 틀안에서 시작되어 멈추지 못하고 있는 여성들의 악순환이다. 우리는 그 악순환의 고리를 어떻게 끊어야 할지 진진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며느리에게 시집살이를 시키려는 시어머니 뒤에는 시어머니를 혹사 시키는 시아버지와 시할머니가 있다. 며느리에게 전가되지 않은 시집살이는 딸에게 또 한번 전가되기도 한다. 딸에게는 친정 아닌 시댁에서의 시집살이가 기다리고 있다. 결코 끊기지 않을 악순환의 고리는 어떻게 끊어야 할까.
이런 문제들을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페미니즘 소설을 읽는다.
서로가 행복한 세상을 위해서 우리는 서로를 이해해나가야 하고 때론 새 출발을 해야 하기도, 독립적인 사람이 되려고 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불편함에 대해서 더 이야기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얻은 명쾌한 결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