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진화심리학 - 데이트, 쇼핑, 놀이에서 전쟁과 부자 되기까지 숨기고 싶었던 인간 본성에 대한 모든 것
앨런 S. 밀러.가나자와 사토시 지음, 박완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사람에게 관심이 많고, 인간 내면의 심리가 항상 궁금했었던 사람인지, 대학시절 가장 재미있게 들었던 교양 수업 중 하나는 심리학 개론과 아마도 인지심리학이었다. 심리학 개론의 경우에는 교수님이 워낙 강의를 재미나게 하셔서 인기있는 과목이기도 했지만, 과제로 내주는 리포트를 작성해가면 그것을 분석해주시던 내용이 너무나도 정확해서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언젠가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에 대해서 써오라는 리포트를 과제로 내준 적이 있었는데, 그 과제들을 다 읽어보시고 나서 하시던 교수님의 한마디. "자기자신만이 이런저런 어려움 겪으면서, 힘겨웠을 꺼라 생각하지만, 결국에는 다 비슷비슷하다."는 말씀.
다른 듯 하지만, 결국에는 비슷한 인간들의 삶과 선택들 그 너머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그리고 그런 선택을 하게 된 배경에는 어떤 근본적인 이유가 있는지 파헤쳐 주리라 생각했던 것이 내가 "처음 읽는 진화심리학"을 읽게 된 계기였다.

목차의 내용만 봐도 사회에 이미 통념이 되어버린 고정관념이 많았기에 그 이면에 있는 뭔가를 속시원하게 밝혀주겠지 하고 바랐던 것이 사실.
조금은 가볍고, 여태껏 읽었던 심리학책과 뭔가 다르겠다고 생각했던 건 나의 섯부른 판단이었다.
가볍게 읽기에는 꽤나 전문적인 용어가 많이 등장하는 책이었고, 심리학책이라기엔 딱딱한 내용에 속독하기는 조금 어려웠던 책이었음을 밝힌다.
과학적 관념과 이론을 중시하는 진화심리학이라서 그런지, 아니면 진화심리학 자체에 대한 이해부족이라 그런지(진화심리학은 말 그대로 진화하는 심리학이라고 생각했지만, 웬지 여기서의 진화는 다윈의 진화론에 따른 심리학같은 느낌이다. 과학적인 이론에만 치우친다면, 그보다 더 복잡한 인간내면의 문제들을 풀어내는데 있어서 오류가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읽으면서 좀 많이 불편한 심정이었던 점이 솔찍한 심정이다.

더군다나 진화심리학 쓰여졌던 시기가 이미 2000년대 초반이니 이미 비약적인 인터넷의 발달로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는 정보화 사회 상황에  어찌보면 뒤떨어진 듯한 느낌이다. 급격히 변해가는 현대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진출로 인해 경제적인 부를 쌓을 수 있게 되어 나타나게 된 다른 현상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물론 서론에서 그 한계를 이미 인정하고 넘어가긴 하지만, 책 대부분의 쓰여진 내용들을 읽으면서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물론 누구나 궁금하고, 언제나 알고 싶은 테마는 남녀의 문제겠지만 그 문제에만 집중한 듯 하여 아쉬웠던 것이 사실이다.
고정관념 그 이면에 숨겨져 있는 인간 내면의 또다른 생각을 깨우쳐 줄 것이라 생각했지만, 의외로 그런 고정관념은 실은 이미 예전의 경험이 쌓이고 쌓인 결과다라는 식으로 끝맺고 있으니 책을 읽으면서 많이 답답해졌다.

처음 읽기에는 조금 어려운 책이 될 수도 있겠고, 진화심리학이라는 용어자체가 어떤 것인가를 어느 정도 사전에 알고 들어가지 않으면 이 책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떨어질 수도 있겠다. (본인이 그런 경우) 
개인적으로는 진화심리학에 대해서 여성의 시각으로 본 책을 한 번 읽어보고 싶다.
그러면 좀 더 균형적인 이론이 도출되지 않을까.
많은 궁금증을 안고 책을 접했지만, 더 많은 의문만 생기게 된 책인 처음 읽는 진화심리학.
시간날 때, 찬찬히 시간을 두고 정독하면서 좀 더 차분히 읽어봐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