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이 듦을 받아들일 때 얻는 것들
나카무라 쓰네코.오쿠다 히로미 지음, 박은주 옮김 / 북폴리오 / 2023년 9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09/pimg_7136721364043799.jpg)
특정 나이를 지나면서부터 나는 초조해지기 시작했다. 이뤄놓은 것도 없이 나이만 먹어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자꾸만 나 자신이 불행하다는 생각에 휩싸였다. 지금 나이쯤이면 무언가 해냈거나, 어떤 인생을 살고 있을 거라고 막연한 상상을 했었다. 생각해 보면, 어릴 때는 지금보다 더 불안했다. 보이지 않는 막막한 미래의 내 모습이 어떨지 상상이 가지 않았다. 요즘에서야 뒤늦게 얻은 깨달음은 삶이란 원래 불안한 거고, 미래가 어떨지 알 수 없다는 것이었다. 모든 걸 완벽하게 다 해낼 수는 없다는 걸 받아들이고, 나 자신에게 좀 더 여유를 주기로 했다. 더 잘할 거라는 생각을 버리고, 꾸준히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세우니 한결 수월해졌다. 100세 시대라고 하는데, 아직 반도 살지 못했고, 겨우 반을 향해 갈 뿐이다. 타인을 롤 모델로 삼지 말라던 배우 윤여정 선생님의 말씀이 있었지만, 때론 인생 선배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을 때가 있다.
그렇게 읽게 된 <나이 듦을 받아들일 때 얻는 것들>은 정신의학과 전문의인 90대 나카무라 쓰네코와 50대 오쿠다 히로미, 두 사람의 대담으로 이뤄져 있다. 5장으로 이뤄져 있는 책들은 나이 들어가면서 겪는 인생의 가볍지 않은 질문에 대한 대화를 200페이지에 담아놨다. 무겁다고 생각할 수 있는 주제지만, 두 분의 대화를 따라가다 보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최근 그림을 그리면서 내 삶의 속도를 되찾아가는 깨달음을 얻은 상태에서 읽게 돼서인가. 읽으면서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다.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느낌은 마음이 한결 편안해지고 부담을 덜게 된다는 점이다. 최근 내가 느끼고 있는 상황들과 너무 잘 맞아떨어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09/pimg_7136721364043810.jpg)
© 구글 검색
오쿠다 히로미, 나카무라 쓰네코
50대의 오쿠다님이 90대의 나카무라 선생님의 말씀을 좀 더 정갈하게 다듬어서 전달하는 느낌이다. 90대가 바라보는 세상에 대한 시선은 뭔가 통달한 느낌이다. 전쟁을 겪은 세대로 가난함 속에서 자라야 했던 시대를 겪은 나카무라 선생님은 오히려 젊은 세대가 받을 스트레스를 걱정한다. 오히려 경쟁과 비교를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에서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힘든 세대겠다고.
책을 읽기 전까지는 나이 듦을 부정적으로 바라봤었다. 노인에 대한 시선이 일단 긍정적이 아니었고, 나이 들면서 세상으로부터 서서히 버림받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생각하기 시작하니 더 불안해졌던 것 같다.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면서 다른 사람의 상황과 내 상황을 비교하기만 했다. 나의 삶의 속도는 다른 사람과 다를 뿐인데. 그걸 인정하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에 집중하기로 했다. 무엇을 좋아하는지, 하고 싶은 건지 나 사용 설명법을 찾아가고 있는 중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09/pimg_7136721364043812.jpg)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평생 스트레스를 받아왔지만, 이제는 어느 부분 포기를 했다. 원래 친구가 많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렇게 살지 못할 것이라는 걸 받아들이니 더 이상 슬프지 않았다. 오래된 친구들과 연락을 많이 하지 않고, 거의 보지 못하지만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 물론 먼저 연락을 해서 만나도록 노력해야겠지만, 우린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이니까. SNS에서 차단을 당하거나, 친하게 지냈다고 생각했던 인맥과 하루아침에 연락이 되지 않아도 이젠 그러려니 한다. 친한 친구의 말처럼 그럴만한 사정이 있겠다고 생각한다.
스쳐 지나가는 인연에 대해서 더 이상 연연해하지 않는다. 이제는 그런 고민을 할 시간에 날 위한 시간을 내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하니까. 나이 들면 어차피 사람은 혼자가 된다. 혼자에 익숙해지는 게 더 중요하다. 요즘은 하루를 짧게 드로잉 하는 것으로 마무리하면서 나에게 더 집중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09/pimg_7136721364043813.jpg)
함께 살고 있는 부모님이 예전 같지 않은 모습을 보면서 마음 아파질 때도 있지만, 요즘은 마음을 고쳐먹는다. 주변에 나이 드신 부모님과 함께 산책을 하거나 영화를 보러 온 모습을 볼 때마다, 나이와 체력이 허락하는 한 무리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즐거운 추억을 만들고 싶다. 두 분의 모습은 내 미래의 모습이기도 하기에, 부모님을 보면서 삶에 대한 태도를 배우기도 한다. 최근 안락사와 연명치료에 대한 주제를 다룬 영화들을 많이 봐서인지, 마지막 장인 <웃는 얼굴로 마지막을 맞이하기>를 집중적으로 읽었었다. 누구나 나이 들어서 언젠가는 타인의 신세를 져야 하는 상황이 된다. 그때를 최대한 늦추기 위해 노력해도 돌아오는 상황에서 주변 사람보다 자신이 편한 선택을 한다는 것. 그 선택을 존중하는 시선이 많이 와닿았다.
나이가 든다는 건, 연말에 새해를 기다리는 심정과 같다고 생각한다. 온갖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생각들로 가득할 때도, 내년에는 뭔가 좋은 일들이 있겠지 택배를 기다리는 심정으로 기대한다. 오지 않은 미래를 걱정하고 불안해하면서 시간을 보내기보다 하고 싶은 걸 찾아서 하나둘씩 도전해 보길 바란다. 너무 상투적인 말이지만,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은 것보다 하는 게 낫다. 기회도 정보도 사람도 뭔가 할 때 다가오고 열린다. 아직도 내 삶에서 가장 젊은 건 지금이니까 늦지 않았다.
이 글은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