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바이러스 - 그 해악과 파괴의 역사
헤르만 크노플라허 지음, 박미화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흔히 우리가 매일 살아가면서 지나치게 되는 존재, 없으면 좀 불편하다고

느끼지만 있으면 편리하게 자신의 훌륭한 이동수단이라고  여길 수 있는

그런 것으로 바로 무엇을 떠올릴 수 있을까?
나 역시도 누구와 다를거 없이 <자동차>를 제일 먼저 꼽아볼 것이다.

충분한 기름을 넣고 내가 엑셀을 밟으면 원하는 그 어디 곳이든지  데려갈 수

있는 자동차는 늘 누구에게는 로망이 되기도하면서 위시리스트에 앞장서서
올라서고만 존재가 되어버렸다.


그럼 현대를 살아가는데 있어 우리는 이 편리한 수단을 이용하면서

어떤 시각과 견해를 가져볼 수 있을까?

이 책의 저자는 바로 바로 눈부신 과학과 기술의 성장속에 탄생한

그 자동차가 우리 생활에서 가까이 인식하지 못하는 다양한 폐혜와

지속적이고 도발적인 문제제기를 멈추지 않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던 이 자동차는 어느덧 늘 거리 곳곳을 다니면서 그 수는

인구수 이상으로 급격하게 늘어나버렸고 매일 수많은 사람들이 이를

이용하면서 사고로 죽음을 맞이하는 교통사고의 주범이 되고만 것은

엄연히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의 현실이 되버렸다.

 

더군다나 늘 시달리게 되는 갖가지 소움과 환경음 오염시키고 파괴하는데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기가스의 배출도 결국 우리가 누리는
자연뿐만아니라 우리 자신도 그 많은 것을 마시고 있는 형국이라는 것을

한 번더 실감하게 된다.

또 하나 내용에서 자동차가 가져다주는 폐해로 우리 사회속 인간 소외와

착취를 언급해주고 있다.
자동차는 우리의 이동거리를 늘려주면서 폭넓은 생활반경을 갖게 해주는

좋은 혜택을 주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뿔뿔이 소규모로 흩어지는

개인들로 인해 지역 커뮤니티의 붕괴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자동차의 교통의 주체가 될 수 없는 노인과 어린 아이들은 그 중심에서

겉으로 내몰리고 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니 이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도 꼭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함께 하고 나누는 공동체가 아닌 철저한 개인주의의 이기적인 단면으로

치닫을 수 있는 하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 하나의 집착이 되어버리고만 자동차의 다양한 바이러스들을 우리 스스로

어떻게 바꿔나가고 끔찍한 난제를 몰고온 자동차를 바라보는 시간을

달리할 필요와 이유가 충분히 생기고 있다.
그 이전의 시대에 자동차가 없이도 우리는 그 오랜 세월의 변화속에

잘 지내온 시간들이 있음을 기억하고 있다.
바로 우리 눈으로 직접 발견하고 피부로 느끼고 있는 자동차의

생활 공간 파괴, 다양한 재난의 결과 들에 대한 문제점을 직시하면서 보다

우리의 삶이 인간다운 인생의 얼굴을 찾아 원래의 진정한 행복을 찾아갈 수
있도록 의지와 노력을 기울일 때라는 것은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필수품인 자동차 하지만 우리 생활 속의 중심이 과연 무엇이

되야함을 한 번 더 생각하게 해준 시간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그 해악과 파괴의 역사속에 자동차로 인해 얻게 되는 그 어떤 자유보다

우리 인간의 고유한 생명과 건강을 먼저 살피고 돌보는 자세를
가져봄으로써 우리가 가지고 있던 자동차 바이러스도 하나씩 잘 고쳐나갈 수

있을거라 보여진다.
그 열려진 길을 만드는 키를 쥐고 있는 것은 곧 우리의 몫이고 앞으로

다음 세대를 위한 소중한 준비가 되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