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옮기다니 얼마나 대단한 이야기일지 제목부터 흥미롭습니다.

밍로 부부는 커다란 산 밑에 있는 집에 살았는데 산을 좋아하지 않았어요.
아이들은 "난 산 좋은데?"하네요.
산이 왜 좋으냐 물으니 "재밌어서"라고 합니다.
산에서 도토리를 줍는 것도 재미있고, 나뭇잎 줍는 것도, 풀싸움하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밍로의 집 뒤 산에서는 작은 돌덩이들이 떨어져 집 지붕에 구멍을 뚫려 비가 새고
산그늘에 꽃이 잘 자라질 못하니 산을 싫어하는 이유가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드디어 밍로부부는 산을 옮기기로 결심합니다.

산을 옮길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위해 밍로는 지혜로운 노인을 찾아갑니다.

그런데 노인이 제시해준 방법들은 왜 지혜로운 노인으로 불리는지 의아할 정도로 엉뚱합니다.
통나무를 산에 대고 밀어붙이기,
숟가락으로 솥과 냄비를 힘껏 두드리고 고함을 질러 산이 도망가도록 하기
뇌물로 산신령에게 빵과 떡 바치기 등이 그렇지요. 
포기하지 않은 밍로부부는 결국 노인이 알려준  산을 옮기는 춤을 추어 성공적으로(?) 산을 옮길 수 있었지요.


부부는 햇볕이 잘 드는 새 집에서 걱정없이 행복하게 살게 되었습니다.
저 멀리 보이는 산을 보며 뿌듯해하면서요.

통나무로 산을 밀거나
온갖 살림살이를 두들겨 시끄러운 소리를 내어 산을 쫓아버리려는 부부의 모습이 참 우습고 재밌었는데
누가 보아도 될 것 같지 않은 일을 열심히 하는 걸 보면 산을 옮기고자 하는 마음이 얼마나 간절했으면 그랬을까 싶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어떻게든 해보겠다는 의지가 참 대단해보이기도 하고요.

 

 


책의 처음과 마지막 장면이에요.
미련하고 어리석기도 하지만 끝까지 노력한 밍로부부는 위협적으로 느끼던 산을 드디어 평화롭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어요.
이건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적용되는 삶의 공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 다소 엉뚱한 방법들을 제시해 준 지혜로운 노인은 어쩌면 밍로부부에게 산은 결코 옮길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걸 말해주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우리도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옮겨야 하는 산을 만나겠지요.
쉬임없이 도전하고 이겨내는 끈기도 좋지만,
불가능한 일이 닥칠 때에는 한발짝 뒤로 물러 설 수 있는 것도 용기와 지혜가 아닐까 싶습니다.


 

 

 


[밍로는 어떻게 산을 옮겼을까?]는 한 편의 콩트처럼 그림과 글이 참 재미있습니다.
산을 옮기는 방법을 고민하는 노인의 곰방대에서 가느다란 연기가 구불구불,
그 다음엔 동그란 연기가 몽실몽실, 구름같은 연기가 뭉게뭉게 그리고 마침내는 피어오르는 연기 때문에 노인의 모습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였지요.
노인의 고민이 점점 깊어짐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그리고 산을 옮기는 춤을 가르쳐주는 노인과 진지하게 따라하는 밍로의 모습에서 웃음이 터지고야 맙니다.

 

 

아이에게 "지혜로운 노인한테 산을 옮기는 방법을 배웠잖아.너도 무엇이든 옮길 수 있어!"말하며
나무를 옮겨보자 하니 아이는 벌써 실실 웃어버립니다. 왼발뒤로오른발 오른발뒤로왼발 춤을 추니 어느새 나무가 저만치 있습니다. ^^ 그런데 아이가 나무를 옮긴게 아니라 나무가 아이를 옮긴것처럼 사진을 찍어버렸군요.ㅎ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나는 여름방학이 시작, 하지만 맞벌이에 중국 출장까지 잡힌 부모님은 바로의 거취문제로 옥신각신합니다. 아빠는 시골 할머니 댁에, 엄마는 이모네로 보내고 싶어 하지만 바로는 할머니댁을 선택합니다.

바로가 할머니를 좋아하느냐고요?

그렇지는 않아요. 하지만 이모네로 가면 원어민 영어 과외를 받아야 하거든요.

하지만 이렇게 시작한 바로의 시골 은 무엇하나 평탄하지가 않습니다.

  손자가 왔다고 귀한 쥐눈이콩을 잔뜩 넣고 밥을 하시는 할머니와 콩을 싫어하는 바로는 하나부터 열까지 부딪치게 되지요. 이 책에는 폭탄머리 할머니와 할머니의 손녀 지혜, 정빈이가 등장하는데 다들 바로와 할머니 사이가 멀어지는데 한 몫합니다. 오죽하면 서로 가짜 할머니, 가짜 손자라고 생각할까요.

  낯선 시골에서 혼자가 되어버린 바로, 급기야 ‘돼지사건’이 터지면서 바로는 무릎이 다치고 집을 뛰쳐 나옵니다. 서러움에 복받친 바로는 숨어서 울다 할머니를 몰래 보게 되는데, 자기보다 더 예뻐한다고 생각했던 돼지를 찾는 게 아니라 손자 걱정을 하시는 울음 섞인 목소리를 듣게 됩니다. 어린 바로는 그제야 할머니의 마음을 알게 되지요.

  도시에 사는 바로와 시골에 사는 할머니는 서로 만날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시골 생활환경이 좋지 않으니 바로의 엄마는 바로를 할머니 댁에 보내는 것을 꺼려하는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방학 동안 학원을 못 다니는 것도 마음에 걸려 하지요. 할머니와 열 살 바로는 서로 정을 붙일 시간이 부족했던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서로 소통하는 방법이 서툴고 자꾸만 탈이 납니다. 콩을 싫어하는 손자에게 아끼던 귀한 쥐눈이콩을 가득 넣어 밥을 해주시는 것이 할머니의 사랑이라는 것을 바로는 알 수가 없었겠지요.

  조손 가정의 지혜와 아버지가 아파 병원에 오게 된 정빈이도 마음을 안타깝게 합니다. 바로와 지혜를 이간질하는 어린 정빈이의 마음도 이해가 가고 말이예요. 어쩔 수 없이 부모님과 떨어져 지내고 있지만 마을 어른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잘 자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모든 오해가 풀리고 이제 시골생활이 즐거워지려는데 바로의 아빠가 데리러 오신다고 합니다. 그리고 정빈이가 당분간 바로의 할머니 댁에 머무르게 되자 바로는 서운하고 샘이 나기도 합니다. 바로는 까만 콩에 염소똥을 섞어 놓습니다. 정빈이가 한 것처럼 꾸미려는 바로의 완전범죄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 뒷이야기가 참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다음 기회에 다시 시 만난 할머니와 바로는 어떤 모습일까 상상도 해보고요. 내리사랑이라는데, 아이들이 할머니, 할아버지의 정을 듬뿍 느끼며 자라면 좋겠습니다.

  콩이 웃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콩순을 딴다는 할머니 말에 ‘아빠도 웃자랄까봐 어릴 때 할머니가 순을 따줬나?’라고 생각하는 바로. 작가님의 재치와 유머로 즐겁게 읽을 수 있어요.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넓은 초원 사자가 늘어지게 낮잠을 자고 있는데 쿵소리가 나며 돌기둥이 떨어졌어요.
시간을 재는 장치 중에서 가장 먼저 사용한 것이 해시계인 까닭일까요.
마치 돌기둥이 해로부터 나온 듯한 그림이 재미있습니다.

돌기둥 소동으로 고요한 초원은 시끌벅적해지고 동물들은 긴장하며 돌기둥을 지켜보았지요.
 원숭이는 돌기둥의 그림자가 해를 따라 움직임을 알아챕니다.

동물들은 돌 세개로 아침 돌, 점심 돌, 저녁 돌로 정하고 시간에 맞는 생활을 시작합니다.
아침 돌에 식사를 하고 점심 돌에 낮잠을 자고 저녁 돌에 놀이를 했지요.
규칙적인 생활의 의미를 알았을까요?
동물들은 더 많은 돌을 가져다 놓고 더욱 세부적인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첫 번째 돌에 모두 모여 두번 째 돌엔 노래를 하고 세 번째 돌엔 춤을 춰야 하지요.
짜여진 시간에 움직여야 한다는 것에 불만을 품은 동물들이 하나 둘 늘었고
드디어 사자의 분노가 폭발합니다.

"돌기둥이 나의 하루를 조각조각 쪼개 버렸어!"

나만의 하루를 찾겠다는 동물들과 달리 시계의 중요성을 깨달은 원숭이들은 돌시계를 들고 초원을 떠났어요.
그리고 돌시계에 맞춰 하루를 살아가지요.

가장 마지막 장면입니다.
초원의 동물들의 모습만 보다가 마지막 도시의 모습이 처음엔 의외였어요.
최초의 인류의 종이 원숭이였다는 설을 감안하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잘 다스리느냐에 따라 얼마나 큰 도약을 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듯 합니다.
하루를 쪼개가며 시간을 지배한 원숭이(사람)와 그렇지 못한 동물들(물론 그들만의 규칙이 있겠지만)의 차이를 보여주어
우리에게 주어진 하루의 시간을 어떻게 운영을 해야 할 것인가 한번쯤 뒤돌아 보게 하는 대목이었어요.

시간을 잘 활용하는 원숭이의 지혜에 감탄하면서도
시간에 너무 얽매이듯 쫓기는 생활에 반기를 든 동물들의 심정도 이해가 됩니다.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짜여진 시간표대로만 움직여야 하는 우리 아이들이 안스럽기도 하고말이에요.

하지만 우리에게는 선택의 여지 없이 늘 하루의 시간이 주어지고 반복됩니다.
그 시간을 어떻게 의미있게 쓰는가는 각자의 선택이겠지요!
  
 

 

지난 주말 휴가를 갔던 서해의 한 해수욕장입니다.

갯벌체험을 한 후 호미를 거꾸로 세운 일명 '호미시계'에요.
시간의 흐름과 해의 방향에 따라 그림자의 위치가 어떻게 변하는지 정도만 보려고 했는데
호미시계는 꽤 정확했어요.

첫번째 사진을 찍은 시간이 오후 1시 21분.
한 시간 후에  두 돌멩이 가운데 그림자가 있었고
밀물때문에 마지막 사진을 찍은 시간이 3시 10분경.
십여분을 더 기다렸다면(두시간 경과) 돌멩이 눈금에 딱 닿았을 것 같아요. 

다음에 야외 활동을 한 공간에서 오래하게 된다면 돌시계를 잘 활용하는 것도 흥미로운 경험이 될 듯 합니다.

 

이 그림책에는 화가 앙리 루소의 명작 '꿈', '이국풍경', '사자의 식사'를 패러디한 그림이 있다고 해요.

 

패러디한 장면이 어느 부분인지 그림책과 화가의 그림을 비교해는 것도 하나의 즐거움일 듯 싶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