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옮기다니 얼마나 대단한 이야기일지 제목부터 흥미롭습니다.

밍로 부부는 커다란 산 밑에 있는 집에 살았는데 산을 좋아하지 않았어요.
아이들은 "난 산 좋은데?"하네요.
산이 왜 좋으냐 물으니 "재밌어서"라고 합니다.
산에서 도토리를 줍는 것도 재미있고, 나뭇잎 줍는 것도, 풀싸움하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밍로의 집 뒤 산에서는 작은 돌덩이들이 떨어져 집 지붕에 구멍을 뚫려 비가 새고
산그늘에 꽃이 잘 자라질 못하니 산을 싫어하는 이유가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드디어 밍로부부는 산을 옮기기로 결심합니다.

산을 옮길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위해 밍로는 지혜로운 노인을 찾아갑니다.

그런데 노인이 제시해준 방법들은 왜 지혜로운 노인으로 불리는지 의아할 정도로 엉뚱합니다.
통나무를 산에 대고 밀어붙이기,
숟가락으로 솥과 냄비를 힘껏 두드리고 고함을 질러 산이 도망가도록 하기
뇌물로 산신령에게 빵과 떡 바치기 등이 그렇지요. 
포기하지 않은 밍로부부는 결국 노인이 알려준  산을 옮기는 춤을 추어 성공적으로(?) 산을 옮길 수 있었지요.


부부는 햇볕이 잘 드는 새 집에서 걱정없이 행복하게 살게 되었습니다.
저 멀리 보이는 산을 보며 뿌듯해하면서요.

통나무로 산을 밀거나
온갖 살림살이를 두들겨 시끄러운 소리를 내어 산을 쫓아버리려는 부부의 모습이 참 우습고 재밌었는데
누가 보아도 될 것 같지 않은 일을 열심히 하는 걸 보면 산을 옮기고자 하는 마음이 얼마나 간절했으면 그랬을까 싶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어떻게든 해보겠다는 의지가 참 대단해보이기도 하고요.

 

 


책의 처음과 마지막 장면이에요.
미련하고 어리석기도 하지만 끝까지 노력한 밍로부부는 위협적으로 느끼던 산을 드디어 평화롭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어요.
이건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적용되는 삶의 공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 다소 엉뚱한 방법들을 제시해 준 지혜로운 노인은 어쩌면 밍로부부에게 산은 결코 옮길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걸 말해주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우리도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옮겨야 하는 산을 만나겠지요.
쉬임없이 도전하고 이겨내는 끈기도 좋지만,
불가능한 일이 닥칠 때에는 한발짝 뒤로 물러 설 수 있는 것도 용기와 지혜가 아닐까 싶습니다.


 

 

 


[밍로는 어떻게 산을 옮겼을까?]는 한 편의 콩트처럼 그림과 글이 참 재미있습니다.
산을 옮기는 방법을 고민하는 노인의 곰방대에서 가느다란 연기가 구불구불,
그 다음엔 동그란 연기가 몽실몽실, 구름같은 연기가 뭉게뭉게 그리고 마침내는 피어오르는 연기 때문에 노인의 모습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였지요.
노인의 고민이 점점 깊어짐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그리고 산을 옮기는 춤을 가르쳐주는 노인과 진지하게 따라하는 밍로의 모습에서 웃음이 터지고야 맙니다.

 

 

아이에게 "지혜로운 노인한테 산을 옮기는 방법을 배웠잖아.너도 무엇이든 옮길 수 있어!"말하며
나무를 옮겨보자 하니 아이는 벌써 실실 웃어버립니다. 왼발뒤로오른발 오른발뒤로왼발 춤을 추니 어느새 나무가 저만치 있습니다. ^^ 그런데 아이가 나무를 옮긴게 아니라 나무가 아이를 옮긴것처럼 사진을 찍어버렸군요.ㅎ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