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백한 불꽃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77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김윤하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이 책은 상당한 진입장벽이 있으며 만만치 않은 작품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읽기 시작하면 좋을 것 같다. ‘나보코프의 가장 완벽한 소설이라는 출판사의 홍보문구는 이 험난한 여정을 거쳐서 완독한, 나보코프의 지적 게임에 참가해 완주한 일부 독자들에게만 해당되는 말일 것이다. 혹시 몇몇 리뷰를 읽어보고 이 책에 도전하고 싶다는 독자들은 더 이상의 리뷰는 읽지 말고 아무런 사전지식도 없이 바로 읽을 것을 권한다.

 


나 역시 아무런 배경지식 없이 롤리타의 나보코프만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책이 시였나?’ ‘또 주석이 달려있네? 이건 뭐지?’ 계속 읽다보니 , 나보코프가 어떤 시인의 시에 주석을 단 형식을 취하는 소설이었구나를 깨닫게 된다. 첫 번째 경탄. 이건 정말 20세기적인 소설이며 나보코프는 천재라는 생각이 들 무렵 또 다시 의문점이 이어진다. ‘주석이 왜 이러지?’ ‘이게 시 구절과 무슨 상관이야? 참고 읽어야하나?’ 무언가 미심쩍지만 나보코프를 믿고 일단 계속 읽어보기로 하자. 킨보트가 의도한 대로 나는 시와 주석을 넘나들며 자연스럽게 시를 또 읽고 있다. 그런데 점점 킨보트의 주석에 빠져든다. 그의 이야기가 궁금하고 어쩌면 시보다 그의 이야기에 더 매료된다. 마지막에 책장을 덮을 때에서야 이 창백한 불꽃의 진가는 완성된다. 정말 완벽한 소설이며 독자를 끊임없이 도전하게 만드는 매력적인 소설이다. 그 매력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먼저 이 소설의 파격적인 형식에 있다. 시에 대한 주석집의 형태를 했다는 자체가 우리가 흔히 접하기 힘든 실험적인 메타픽션 형식의 소설이며 또 그 안에서 새로운 이야기가 구현되는 액자구성이라 새로운 이야기가 계속해서 펼쳐진다. 주석에서 킨보트가 펼치는 세 가지 이야기의 층위는 마지막 한 장면에서 수렴되며 서로 잘 어우러져 한 편의 새로운 킨보트 만의 시가 완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탄탄한 구조와 다층적인 이야기는 독자가 독자로서의 위치를 자각하면서도 나보코프의 의도대로 따라가다 마지막엔 무성한 의문만 자아내게 되어 흥미를 배가시킨다. 여기에 이 소설의 두 번째 매력이 있다.

 


석연치 않은 결말. ‘이제까지 내가 읽은 것은 무엇이었나?’가 독자들이 마지막에 갖게 되는 주요한 의문이다. 킨보트는 무소불위의 주석가이다. 자의적인 해석을 하며 관련 없어 보이는 시구에 자신만의 스토리에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좋든 나쁘든 최후의 말을 하는 이는 주석자다’(36p)는 킨보트의 말처럼 그는 죽은 쉐이드를 대신해 그의 시를 재구성한다. 중간중간에 그의 편견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을 정도로 나보코프는 킨보트를 무언가 믿기 힘든 사람으로 보여준다. 쉐이드 부인이나 학교 동료들의 평을 간간히 흘리는 것도 독자에게 킨보트는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사람임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것이다. 그런 그가 망명한 젬블라의 왕 카를 크사베리였고 그라두스는 그를 시해하려 했던 암살자였으며 쉐이드는 그에 엉뚱하게 희생된 피해자라고 한다. 이 대목에서 독자는 한켠에 갖고 있던 킨보트=젬블라 왕이라는 의심이 해소되는 기쁨과 함께 또다시 이것이 사실일까?’라는 의구심을 동시에 떠올리게 된다. 결정적인 대목은 바로 킨보트의 주석 마지막에 있다.


세 명의 주역, 즉 상상 속의 왕을 죽이려는 미치광이와 자신이 왕이라고 상상하는 또 다른 미치광이 그리고 우연히 사선으로 굴러 들어와 두 허상간의 충돌로 죽는 저명한 노시인이 등장하는 시대에 뒤떨어진 신파극을.(371p)’


킨보트의 이 말은 그가 사기꾼일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럼에도 모든 것은 안개 속에 있으며 판단도 결론도 결국의 독자의 몫이다.

 


독자의 해석. 여기에 이 소설의 마지막 매력이 펼쳐진다. 이 소설에는 킨보트의 해석이 계속해서 등장하지만 마지막에 이 시를 다 읽고 이 이야기를 해석하는 것은 결국 독자의 몫이다. 이 시가 진짜 쉐이드의 시인지, 킨보트의 시인지..시가 999행으로 끝나고 마지막 1행을 다시 첫행으로 재배열한 킨보트처럼 우리도 우리만의 1행을 만들어볼 수 있는데서 이 소설의 묘미를 발견할 수 있다.


나만의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는 킨보트의 마지막 말을 따르기로 한다. 그라두스는 젬블라 왕을 시해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우둔함을 보여준다. ‘저렇게 허술한 존재가 과연 한 나라의 망명한 국왕을 무사히 시해할 수 있을까?’가 그라두스를 보는 독자의 관전 포인트라면, 킨보트는 과연 젬블라왕일까라는 의문이 킨보트를 보는 관전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죽이는 쪽은 언제나 그 희생자보다 열등하다. (287p)’는 킨보트의 편견이 내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라두스는 진정 열등한 쪽이다. 어쩌면 미션 완수는 처음부터 불가한 목표였던 것이다. 킨보트로 돌아와서, 젬블라 왕국 자체가 북유럽의 가공된 국가이기 때문에 더더욱 킨보트의 말을 신뢰할만한 근거는 없다. 그가 젬블라의 왕이 아니라도 적어도 한 가지 탁월한 이야기꾼임에는 틀림없다. 킨보트에게 속아도 아니면 그의 말을 믿어도 독자가 즐거울 수 있는 이유이다. 시인에 의해 정화된 진실은 아무런 고통도, 아무런 해악도 끼치지 않아요. 진정한 예술은 거짓된 명예를 넘어서지요. (264p)’ 주석에서 펼치는 킨보트의 이 말은 진정한 예술을 만끽한 독자에게 주는 나보코프의 메시지인 것이다.

 


한편, 킨보트의 화려한 주석을 읽느라 자칫 시 자체의 작품성에 대해서는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시만 따로 떼어놓고 읽어도 인상적인 작품임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자신의 인생을 일대기처럼 축약해서 제시한 이 시는 딸의 죽음 대목에 가서는 부부와 딸의 상황이 각각 한 화면에 두 개의 사건이 일어나듯이 펼쳐지고 있다가 수렴되는데, 이 부분이 킨보트의 주석 이야기가 마지막에 하나로 합쳐지듯이 그런 효과를 극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독자로서는 긴장과 흥미를 놓을 수 없는 장치인 것이다. 그밖에 쉐이드의 자전적 요소와 느낌들이 가미되어 시인지 산문인지 에세인지 정체불분명하고도 모호한 이 시 자체만으로도 감상할 가치가 충분한 것이다. 그래서 이 작품은 독자로 하여금 한 소설에서 여러 가지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고차원적인 지적 유희를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밀란 쿤데라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서 인생에서의 모든 것은 사연 없이 올라가는 딱 한번 시행하는 연극이라고 했다. 어쩌면 우리가 소설을 읽는 궁극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나보코프는 한 소설에서 여러 개의 인생을 펼쳐 보여주며 독자들을 유혹했다. ‘이래도 동참하지 않을래?’ 이것이 바로 내가 소설을 읽는 이유이며 나보코프의 이 매력적인 소설에 후한 점수를 줄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