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잇는 아이 1918_2020
정명섭.박지선 지음 / 책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간을잇는아이 #책담 #정명섭 #박지선지음

청소년 역사소설

시간을 잇는 아이 (1918~2020)


1918년 무오년 독감시대를 살던 조선 소녀 화진과 

2020년 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는 동민의 평행이론



작가의 말 - 프롤로그 2020 - 1918 무오년 독감 - 에필로그 2020


지금 코로나 시대와 1918년 무오년의 시대의 이야기를 번갈아 보여주며 우리에게 어떤이야기를 들려줄지, 또한 어떤점이 비슷한지 궁금해지네요.



1918년은 일제강점기이기도 하고

지금보다 방역에 취약했을때라 더 많은 희생자가 있었을거에요.

게다가 전염병이라는 이유로 많은 조선인들이 일본군인들에게 끌려가서 죽기도 했구요.

그동안 조선인으로서 받아왔을 차별과 고통에도 서러웠을텐데 무오년 독감이라는 큰 역병이 닥치자 이 차별은 더더욱 심해졌다고 하네요... 

너무 마음이 아픕니다.


그에 반해 방역과 치료는 일본인들을 중심으로 이뤄지다보니 사망자가 거의 없었다네요..

딸과 저는 동시에 육두문자를 쏟아낼뻔 했어요. 

지금시대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잖아요... ㅠㅠ


참고로 백범일지에도 기록되어져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전 세계 인구 중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 독감이 일제 치하였던 조선에도 닥쳐왔고 이를 무오년 독감이라 불렀답니다. 그래서 백범 김구 선생님도 피해갈 수 없었고, 백범 일지에 기록되었다네요. 


2019년 겨울에 발생한 코로나19가 2020년부터 우리에게 불어닥쳤고, 지금도 현재진행형입니다. 병에 걸린사람들을 격리하고, 소독과 위생으로 대응하며,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점, 마스크를 하루종일 쓰고 있어야했으며 사람과 사람사이의 거리두기 등.. 

그당시와 많은 점이 닮아있어요. 

다른점이 있다면 지금은 우리나라라는 테두리안에서 안전하게 치료받고 다른나라에 비해 사망률이 적지만 그당시엔 일제치하 속에서 갖은 차별을 당하며 속수무책으로 죽임을 당해야 했다는 점입니다.



아무튼 오늘의 한국에서 살고있는 동민과 일제강점기 무오년 독감시대를 살았던 화진의 삶이 너무 닮아 있는데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나가는지 응원하는 마음으로 이책을 끝까지 읽었답니다.

그리고 우리모두 코로나19를 이겨낼 수 있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