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문학비평사
김영민 지음 / 소명출판 / 2000년 4월
평점 :
품절


     

   1. 그의 머릿말에서 처럼 이 책은 현대 그러니까 해방이후 부터 80년대까지 이어져오는 한국 비평사를 쉽고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의 장점이라면 어느 한 곳에 파고들어 난해해질 수 있는 점을 추려내고 각 시대의 가장 대별되는 비평사의 논점을 알기 쉽게 기술해놓고 있다는 것에 있겠다. 따라서 한국 비평에 관심을 가지며 초입에 들어가는 독자, 비평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일단 권해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이 한권으로 그동안 나로서도 몰랐던 비평의 큰 흐름을 손 쉽게 거머쥔 느낌이 든다. 

  2. 해방 직후와 50년대의 민족문학론, 신세대론, 모더니즘론,실존주의 문학론과 1960년대의 순수. 참여문학론, 1960-1970년의 리얼리즘문학론, 1980년대의 민족. 문중문학론까지.

   PS:  오랫 동안 습작기를 거쳐온 사람은 안다. 처음에는 기성 작가들의 폼새와 내용에 넋이 빠져 그들의 기법을 흉내내기 위해 발버둥친다는 것을. 결국 어떻게 쓸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작가가 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심자들은 마음이 머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어느 날, 그러니 수년이 지나고 혹은 거의 10여년이 가까운 시간이 지나고나면 자신은 이제 글을 쓰는 이유에 부딪치게 된다. 아니 이제 글을 쓰게 되는 이유에 대해서 자신의 자아와 조우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것은 좋은 현상이다. 글을 쓴다는 것이 이제 명예나 부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아가게 될 때는 이미 당신은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해서는 손을 놓은 상태다. 아니 수없는 습작에 넌더리가 나서 이제 기성작가들의 기법과 방법에 관해서 똑 같이 쓰고 싶지 않다는 오기마저 들 때에만 당신은 이제 당신은 무엇을 쓸 것인가에 조우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알고자 했던 것은 기법이나 문학의 방법론이 아니었다. 오랜 시간 흔들리면서 알고자 했던 것은 결국 작품에 관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인격과 덕을 쌓아오는 온 과정에서 나오는 결과물인 것이다. 다시 말해 무엇을 쓸 것인가에 조우하게 될 때 당신은 당신의 말을 내 뱉기 위한 지적인 준비과정을 충실히 해 나왔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빈말이 아니라 하고 싶은, 이 시대에 꼭 필요한 말을 인식할 수 있는 눈, 이 시대의 문제점을 포착할 수 있는 지각력, 그런 지성을 갖추기 위한 독서와 사상을 키워낸 결실의 순간에 우리는 아래의 문장에 대해 대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과연 나는 무엇을 쓸 것인가.

    비평은 칼질이고, 다시 말해 가만히 있는 말을 굳히 칼로 도려내어 나뉘는 작업이다. 모든 언어는 실재와 떨어져 있기에 미지의 영역이다. 구체적인 사물에서야 우리는 조금의 일치를 볼 수 있음에도 그것을 거절하고 그 암울한 추상의 공간에서 개념의 집을 짓는 것이 비평의 활동이다. 굳이 나뉘어서 자신의 건축물을 짓고자 하는 것은 이미 반대자의 논리를 용인하는 것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 비평이 따귀를 맞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들의 숙명이고, 동시에 그러기에 비평이 어쩌면 우리 글을 쓰고자 하는 자에게 길을 가르쳐 주는 것일 수도 있다. 사고란 나뉘어진 결과물이기에 누군가는 나누어야 하고, 나뉜 것들을 통해 우리는 우리는 우리 자신의 나뉜 것들과 비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경험적인 소설, 관념적인 소설, 미학적인 소설, 참여적인 소설, 내가 이 책을 통해 얻은 것은 이런 나뉨이다. 물론 이전에도 알고 있었지만 중요한 건 그게 아니다. 수없는 책읽기가 소설의 다양성을 말해주겠지만, 기성작가들의 아름다움에 취해 당신은 갈피를 잡지 못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때 손을 내미는 것이 비평이다.

   나는 이제와서야 말할 수 있다. 만약 당신이 무엇을 쓰고 싶은가에 대한 해답을 빠르게 얻고자 한다면 당신의 손에는 이제 비평이 쥐어져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