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의 귀환
최원식 지음 / 창비 / 2001년 7월
평점 :
비평의 '비'자도 모르지만, 썩 내키지 않는 책이다. 고작 뻔한(?) 몇 마디를 하기 위하여 사설이 너무 길다는 생각이 든다. 일류급 비평가의 상징을 가지고 있다고 들은 그의 평론은 나에게 실망 그 자체로 다가온다.
저자는 지식의 나열을 자제하고, 독자에게 친근하면서도, 이 시대의 문학과 비평의 위기에 관한 대안을 제시할 좀 더 주체적이며, 독창적인 방안을 개진하기를 바란다. 문헌을 빗대어서(가져와서) 얻는 것이라고는 고작 저자의 현학적 구색이거나, 동어반복 혹은 발전 없는 지면의 낭비인 것이다. 저자의 책은 정작 자신의 주관을 이야기할 부분에 이르러서는 글이 끝나버리기 일쑤인 것이다.
1.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그의 책 거의 대부분의 장에서 독창적인 소견을 발견할 수 없는 것 같다.
2. 최영미의 시에 대한 해석은, 최영미시인이 스스로 형이상학적인 틀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은데도 그곳에다 아프로디테(그나마 조금은 공감이 가는)니,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틀로 포장하는 과잉해석의 우를 범하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다(흔히 해설비평이 그렇듯이).
3. 고은의 만인보의 출판 기념에서 자신의 거처인 '창비'를 굳이 끌어들여 축사를 읽는 그의 글은 독자들로 하여금 민망함이 무언지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1. 오늘날 문학의 위기 즈음하여, 작가에게 비평적 관심과 경주를 요구하는 부분.
2. 그리고 이상의 '실화'라는 단편의 분석과,
3. 윤영수에 대한 비평은 개인적으로 의미가 있는 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부디 독자를 너무 우습게 보지 마시길 바란다. 어차피 이 글 묶음이 독자를 염두해두고 있지 않은 글의 정리차원의 출판이겠지만, 무언가 하나라도 건질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서 사거나, 읽은 독자에게는 아까운 시간의 낭비이며, 상징권력으로 흔히 불리는 창비정체성에 타격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나는 저자의 책에서 비평가 고명철이나, 이명행, 김명인 같은 분들의 '열정'과 '정열'을 전혀 엿볼 수 없음을 후회하게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