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조용한 생활
오에 겐자부로 지음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5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은 대략 3기로 나누어볼 수 있는 오에 겐자부로 문학의 제3기의 대표작으로 꼽힐 수 있다.

원래 일본의 전통적 사소설과는 다소 거리를 둔 작품활동을 하였던 오에 겐자부로는 70년대 말의 소설방법론의 연구를 거쳐 사소설적 양식으로 작품활동을 넓히기 시작한다. 물론 뇌에 장애를 가진 아들의 출생이라는 개인사적 사건은 이미 60년대의 2기부터 소설에 반영되었지만 3기의 소설들에서만큼 직접적이지는 않았다.

이 소설에도 작가 자신의 가정풍경이 묘사된다. 화자는 작가의 딸이다. 아버지인 작가는 중년의 정체성 위기를 겪으며 캘리포니아의 대학으로 집을 떠나갔고, 어머니는 아버지를 도우러 떠났다. 뇌에 장애를 가진 오빠와 대입 재수생인 남동생을 보살피며 가장 역할을 하는 여자대학3학년생이 화자다.

그 1년을 둘러싸고 이 가족에게 있은 일들이 옴니버스 형식으로 연결된다. 가족간의 소통과 배려의 문제. 장애자인 오빠의 성적인 문제. 가족 주변인물들이 겪는 폭력의 문제. 성폭행범도 등장하기도 하고... 이런 생활과 함께 달라붙은 문제들이 어린 여성인 화자를 충격과 갈등에 쌓이게도 하지만, 가족애와 '여성적 방법', 생활인으로써의 이미지 등에 의해 서서히 풀려나간다.

서평자는 개인적으로 오에 겐자부로의 모든 소설 가운데 이 소설을 가장 좋아한다. 오에 겐자부로의 세계인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와 치유와 재생의 이미지를 이 소설은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에 겐자부로의 소설 중에서 가장 평이한 편이다. 3기의 다른 대표작인 <하마에게 물리다>와 함께 오에 겐자부로 문학의 정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사람의 첫사랑
배수아 지음 / 생각의나무 / 1999년 12월
평점 :
절판


흔히 배수아의 소설에 가해지는 혹평은 그 안에서 어떠한 발전이나 전망을 읽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소설집 안에서도 주인공들의 성장을 보기는 어렵다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나는 배수아가 지금 여기를 메쓰로 도려내 펼쳐놓듯 그린 소설 몇 편에서 큰 울림을 느낀다.

사실 '와이셔츠'나 '병든애인' 같은 단편들의 문제의식이나, 구조와 캐릭터들은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의 소설에서 반복하여 그리고 있는 것들이다. 이런 단편들에는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은둔하는 북의 사람', '징계위원회', '다큐채널, 수요일, 자정' 등은 작가의 분명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작가 스스로도 한 인터넷 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들 소설에서 새로운 방법을 시도했다고 밝히고 있다. 아마도 그런 새로움은 작가가 좋아한다는 강경애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원천일 것이다. '강경애 문학의 강렬한 계급묘사가 인상적이었다.'고 배수아는 밝히고 있다.

과연 '징계위원회'등에서 인물묘사는 상당히 계급적이며 작가 특유의 갈등적 인간관계 묘사와 겹쳐져 지금 여기의 모습이 입체화적으로 잘 담아지고 있다. 그것은 하루키류의 가벼운(의도적이겠지만) 묘사와 다른, 고통스러운 성찰의 기록이다.

소설책 한 권이 인간에 대해 영향줄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배수아의 소설은 쉬운 성숙, 값싼 감동으로 가지 않는다. 그것은 아주 쓴 약과 같다. 어쩌면 쓴 맛 뿐이고 약도 아닐지도 모른다. 그로부터 지금 여기서 성장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배수아도 언젠가는 아픔의 승화나 관계의 성숙을 말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거듭되어 나타나는 종교적 상징들이, 그 방향을 어렴풋이 짐작하게 한다.('개종'등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