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의 속삭임 라임 그림 동화 37
데나 세이퍼링 지음, 이계순 옮김 / 라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을 좋아하기에 이 그림책을 보고 싶었다. 이 <꽃들의 속삭임>은 저자가 쓰고 그린 첫 번째 그림책이라고 한다. 저자는 작은 정원에서 꽃을 가꾸며 지낸다고 한다. 작은 정원에서 꽃을 가꾸며 이 그림책을 그리고 썼다니 참 낭만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밀하게 그린 그림들이 눈에 들어왔다. 연필화에 색을 입혀놓은 듯한 느낌의 그림 표현이었다.(내가 느끼기에) '사랑하는 여러분!'이라는 말로 그림책이 시작된다.

처음에는 단 몇 송이 꽃만 풀밭에서 살고 있었다는 이야기와 괴물처럼 생긴 식물들이 늪에 들어오는 것을 모두 쫓아냈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냥 꽃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옛날 옛날에~' 전래동화를 듣듯이 이야기를 시작한 점이 좋았다.

그리고 어느 날, 풀밭에 꽃들에게 도착한 선물을 소개해 준다. 아기 호박벌이 등장하고, 아기 호박벌을 꽃들이 다정하게 맞이하게 된다. 꽃들과 아기 호박벌의 만남이 시작되었다. 꽃들은 아기 호박벌에게 자신들의 말을 가르쳐 준다.

그렇게 꽃말이 소개된다. 아기 호박벌은 꽃들에게 말을 한다. 베아트리체에게는 '우리에게 늘 큰 기쁨을 주시는군요.' 수선화에게는 '우리에게 언제나 희망을 주시네요.'라고.

아기 호박벌이 꽃들에게 전한 말은 꽃들을 행복하게 한다. 아기 호박벌은 여행을 떠나게 되는데, 그곳에서 파리지옥을 만나게 된다. 아기 호박벌은 위협을 느꼈지만 파리지옥을 피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나지 않았다.

아기 호박벌은 머릿속으로 생각한다. '어쩌면 그 식물들은 여태껏 다정한 말을 한 번도 들어 보지 못해서 그럴지도 몰라.' 파리지옥을 피하지 않고 부드럽고 친절한 말로 파리지옥에게 다가간 아기 호박벌은 파리지옥의 마음을 연다.

아이도 이 장면을 좋아했고, 나 역시 이 장면이 마음에 와닿았다. 사람을 대할 때, 특히 마음이 닫힌 사람을 대할 때는 아기 호박벌과 같은 마음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마지막 장면은 많은 꽃들 위로 많은 벌들이 날아다니며 흥겨이 춤을 추는 장면이었다.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 장면이다.

마지막 장에는 꽃이 품을 말인 꽃말이 소개되어 있다. 아이는 좋아하는 꽃 골라보기를 하자고 했다. 나도 어렸을 때, 그림이나 잡지를 보며 좋아하는 것 고르기를 많이 했었는데 예전이나 지금이나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들은 비슷한 것 같다.

그렇게 우리는 좋아하는 꽃을 고르고, 꽃의 의미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보며 그림책을 덮었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