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문, 묻고 답하다 - 세상을 읽는 119개의 키워드, 노교수의 핵심 강의 노트
                    니시베 스스무 지음, 정경진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학문 또는 교양에 접근하는 것은, 대상의 '전체상'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대상의 여러 측면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전체적인 윤곽을 그리는 것이다. 이 일을 맡아 실천하는 사람이야말로 제너럴리스트, 즉 전문가이다."
 
저자 니시베 스스무가 정의 내리고 있는 전문가의 뜻이다. 그는 요즘의 현대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스페셜리스트'란 전문가보다 '제너럴리스트'의 측면을 강조하는 전문가로서 무지한 지식인보다 전체적인 지식을 아우를 수 있는 지식인의 부활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 책을 통해 일상의 개념들을 논리적인 견해로 풀어주며 제너럴리스트의 능력을 키울 수 있길 바란 것 같다.
 
워낙에 단순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가졌기에, 또한  저자의 이야기들을 깊이 되새기며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높이기엔 기본소양이 부족한 탓으로 책에 몰두하며 술술 읽어나가기가 어려웠다. 활자만 읽어나갈 뿐 그 속에 포함된 깊이 있는 이야기들은 거의 소화하지 못한채 읽은 것 같아 아쉬움이 들었다. 더군다나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의 미묘한 특성이 묻어나오는 견해도 많은지라 실제로 가슴에 팍 와닿는 무언가가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 특히나 일본내에서 아주 유명한 인물일지 모르겠으나 전혀 들어보지 못한 일본인과 관련한 소재들은 일본이란 나라에 큰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책읽기의 즐거움을 기꺼이 즐기기엔 다소 무리가 있을 듯 보인다. 노교수의 해박한 지식과 세상을 바라보는 혜안을 따라가기엔 턱없이 부족한 일개의 독자인지라 그럴 것이다.
 
이 책은 정치, 국제관계, 도덕, 사교, 삶의 고찰, 역사, 철학, 실리라는 우리 사회의 일상적인 생활속에서 접할 수 있는 개념에 관해 저자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며 독자들로 하여금 다시금 되짚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깊이 있게 논리적으로 생각지 않으면 놓치게 될 소중한 것들에 대해 반성하는 기회와 더불어 다양하고도 폭넓은 지식의 제공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시간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저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개념에 들어가기 앞서 먼저 자기 스스로 그 개념에 대해 생각해본다면 더 효과적인 책읽기가 되지 않을까 한다.
 
현대사회에 필요한 진정한 지식인으로 거듭나길 꿈꾸는 제너럴리스트들을 위해 세상을 읽는 119개의 키워드는 계속하여 재해석되어 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