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미러클>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더 미러클 - 부를 찾아 떠난 아시아 국가들의 대서사시
마이클 슈만 지음, 김필규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그동안 읽은 책 중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것 같다.
박정희 대통령의 통치시절의 한국경제성장에 대한 이야기와, IMF 외환위기와 함께 붕괴된 대우그룹, 그외 기타 아시아 국가의 성장과 금융위기에 의한 급격한 추락과 재성장 등을 통해 아시아 경제의 힘과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책이었다.
특히 한국의 경제성장모델과, 외환위기극복, 그리고 또다시 찾아온 경제위기에 대처하는 자세를 어떻게 살펴보는가에 대해 궁금했고, 한국을 언급한 부분만 먼저 찾아보았다.
대다수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이 정부주도하의 성장을 거쳐, 독재정치가 몰락하고,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한차례 위기를 겪고 나면, 다시 재도약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추락했던 아시아들의 경제성장국들이, 다시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물론 과거와 같은 급격한 성장을 발견할수는 없지만,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경제성장모델을 찾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IMF 의 대책과 이론은 당시 별다른 효과를 주지 못했다. 오히려 상황을 더 최악으로 악화시켰다. 그러나 악화된 상황으로 치닫고서야, 사람들은 문제가 무엇인지 깨달았고, 철저한 삭감을 실시했다. 수많은 기업과 사람들이 빈곤을 겪게 되고, 경제성장을 지속해온 한국, 아시아 국가들은 국가존폐의 위협을 느꼈다. 그러나 지난 경제성장을 가져왔던 아시아의 미러클은 결코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급격한 성장을 통해 이루어낸 그 힘은 한번의 대혼란속에서 다시 재편되고, 약점을 보완하여 재성장하였다.
그런 일련의 아시아 미러클에 도움을 준 것은 결국 미국경제라는 이야기도 덧붙인다. 그리고 아직도 세계에는 많은 빈곤국가 및 국민이 있고, 그들에게 아시아의 미러클을 심어줄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세계의 많은 경제학자들이 아시아 성장모델을 비판하였고, 언젠가 붕괴될것이라 이야기했지만, 이제는 그 힘이 미국경제를 축소시킬만큼 대단한 것이고, 서양화를 끊임없이 추구하던 일본도 이제는 아시아국가로의 재편입을 시도하는 중이다.
그만큼, 아시아의 경제는 이제 세계경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오히려 유럽과 미국이 지금의 경제위기에서 IMF 당시 아시아국가가 겪었던 실업, 빈곤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 책은 아시아 미러클 및 그 미러클이 키운 또다른 성장동력에 대해 배울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면서 전세계의 미러클을 위해 미국의 분발을 촉구하고 있는 책이기도 하다.
아시아 경제에 대한 즐거운 공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