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잎이 뜸 들이는 시간
민경숙 지음 / 강 / 2023년 10월
평점 :
이문재 시인의 노숙인 시설 강의에서 접한 책이다. 그는 수강생들에게 그저 이 책을 낭독하게 했다. 시 낭독은 보았어도, 운문이 아닌 산문을 읽게 하는 것은, 무척이나 생경하기만 했다. 그러나 그 낭독은 여느 시 낭독보다 훨씬 더 가슴에 와닿았고 파문을 일으키며 지나갔다.
그 산문은 산문이 아닌 운문, 운문이 아닌 산문이었기 때문이다. 시인은 선생으로서 수강생들의 '촉진자'가 되어 시를 촉진하고 싶었다고 한다. 시의 마음을 일깨울지에 대해 아직도 모르겠다고 고백하고 있다. 시가 아닌, 에세이를 -그것도 자기 이야기를-쓰자고 제안했다고 한다. 그는 에세이 촉진자가 되었으며, 그 결과가 바로 <꽃잎이 뜸 들이는 시간>이 된 것이다.
시인들이 쓴 에세이를 즐겨 읽는다. 시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난공불락의 철옹성을 접하는 것보다, 시인의 조금은 힘을 뺀, 지극히 사적인 시 같은 에세이를 읽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시인들이 공통적으로 토로하는 것이 있다. 수많은 숨을 곳이 있는 시와는 달리 (그것을 은유와 비유라고 하던가), 에세이는 발가벗는 것 같아서 어렵다고. 시인이 아닌 일반인은 시가 어렵고, 차라리 에세이는 쉽다고 한다. 이문재 시인은 그것을 '시의 감옥'에 갇힌 것이라고 했다. 어쩜 얼룩에 대처하는 방법의 차이 때문은 아닐까.
민경숙 작가는 <얼룩>에서 얼룩에 대처하는 방법은 '지우려고 노력한다' '얼룩이 묻은 옷을 버린다' '얼룩을 내 옷의 무늬로 인정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어쩜 시인들은 얼룩 묻은 옷을 버리는 사람이고, 일반인은 얼룩을 내 옷의 무늬로 인정하는 부류가 아닐까. 아님 정반대이거나. 그래서 자신의 벌거벗은 모습을 그리고 쓰는 에세이가 오히려 쉬운 것은 아닐까.
제목에 눈이 많이도 머물렀다. <꽃잎이 뜸 들이는 시간> 무언가 어색하고 말이 안된다는 느낌을 버릴 수가 없었다. '꽃잎을 뜸 들이는', 즉 인간이 주어가 아니었다. 뜸을 들이는 주체가 꽃잎이었다. 뜸 들이는 행위는, 약불에 그대로 두어 속속들이 잘 익게, 내음이 배도록 하는 것이나, 머뭇거리거나, 서두르지 않고 가만히 두는 것이다. 이는 섣부른 간섭이나 변화의 도모가 아닌, 스스로 맛이 배게 하는 것이다. 이런 생각도 해본다. 그 꽃잎은 아마도 작가 자신이 아니었을까. 숨겨둔 자신을 발견하기 위해 62세의 나이에 사이버 대학 문창과에 등록을 한다. 아마도 그 6 개 성상 (星霜)이 바로 작가의 꽃잎을 뜸 들이는 시간이었으리라. 꽃의 만개 (滿開)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기다림이다. 뜸 드림이다. 그것이 '조용한 끈질김'이다.
작가의 글에서 풍경화나 인물화를 보는 듯한 착각을 하게 만든다. 급하지 않은, 거칠지도 약하지도 않은 뭇 터치로 그려진 그림을 보는 듯했다. 역시 20여 년 동안 아이들에게 미술을 가르치는 선생님이었기에 가능했으리라. 정밀화가 아니다. 점묘화에 가까운 인상파 화가의 그림이다. 눈을 조금만 뜨고 보아야 비로소 그림의 실체를 볼 수 있다. 그렇다고 장엄하게 보라는 것은 아니다. 그저 마음으로 희미하게 들어오는 빛에만 집중하면 된다.
작가는 이 책이 '사람' 이야기라고 했다. 그러니 작가는 <진국>이자, <감국>이자, <조용한 끈질김>이자, <손거울> <검정치마>같은 사람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이 책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모두 '진국'이다. 작가는 '진국은 어딘가에 스며들기 위해 우러나며, 대체로 자신을 위해 우러나지 않으며, 자신을 녹여 어딘가에 스며들 수 있을 때, 진국이라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진국인 사람들의 모습은 예쁘지 않고, 아름답다. 그들 모두 뭉근한 '고유 명사'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천진한 감꽃도, 풋풋한 땡감도, 농익은 홍시도 아닌 -애절하고 그리운 -감국의 존재이다. 아님 모두에 해당할 수도 있다.
"감동적이다" "위안을 받았다" "감사하다"라는 세치 혀로 하는 찬사를 보내기가 심히 저어 된다. 이 책에 대한 찬사로는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부족해도 한참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 대한 참사는, 혀가 아닌, 가슴은 물론 온몸으로 떨며 해야 한다. 기실 나는 여성 작가들이 써 내려가는 에세이집을 즐겨 읽지는 않는다. 감성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며, 뜻 모를 형용사와 부사가 난무하며, 적확하게 말하고 쓰지 않는 지극히 우회하기 때문이다. <꽃잎이 뜸 들이는 시간>은 다르다. 수식어가 절제된, 다큐멘터리의 촬영감독처럼 묵묵히 관찰하고, 화장기 없는 민낯과 날 것을 보여주기 때문
이다.
꽃잎의 요리는 아주 담백하다. 뜸이 아주 잘 든 요리이다. 요리를 만든 셰프의 농익은 손맛을 보여준다. 역시 나이가 선사하는 느긋함, 관조하는 여유, 롱테이크에 가까운 카메라 워크, 그리고 웃풍을 막아주는 이불이 깔린 아랫목의 따스함까지 보여준다.
가벼우면서 가볍지 않고, 무거운면서도 무겁지 않다. 적당히 짧으면서도 긴 인생의 서사 (敍事)를 담고 있다. 과장되지 않은, 꾸미지 않은, 그대로의 사적 (私的) 다큐멘터리이다. 민경숙 작가는 아주 훌륭한 다큐 감독이다. 그의 첫 잇뽕 작품이 <꽃잎이 뜸 들이는 시간>이다. 상영 시간은 개인별로 다르다. 나에게는 약 4시간이었다. 다시 볼 예정이다. 추리 소설을 읽는 듯한 반전의 재미도 있다. 눈의 흐름만으로 읽지 마시라. 마지막 연의 반전의 놀람을 대비해야 한다. 경험해 보시라. 짜릿함으로 다가온다.
이 책을 만나게 되어 기쁘다. 그 문을 열어준 이문재 시인에게 감사할 뿐이다. 시인은 정말 자신보다 글을 잘 쓰는이라고 했다. 그 말은 정말 맞는 말일 수도 있다. 민경숙이라는 걸출한 에세이스트의 글을 접하게 되어 기쁘다. 올해 읽은 최고의 에세이이다. 아마 오랜 시간 동안 그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