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체론 - 천황제 속에 담긴 일본의 허구
시라이 사토시 지음, 한승동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테마는 '국체'다. 이 말·개념을 중심축으로 삼아 메이지유신에서 현재에 이르는 근현대 일본사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내용이다. '국체'라는 관점을 통해 일본의 현실을 바라보지 않으면 일본은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서문. 왜 지금 '국체'인가

일본은 어떤 나라일까요?^^. 이 질문에 대해서 한국인은 공통적 의견이 있을 것이고, 저마다의 다른 생각들도 있겠죠.

최근에는 강제징용, 위안부피해 할머니들과 관련된 갈등으로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의견차들이 많습니다.

일본국민, 일본문화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 어떤 점들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을까요?

참고로 일본인과 일본문화에 대해서 심도있게 분석한 것은 문화인류학작 루스베네딕트의 연구입니다. 2차세계대전이 발발하고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본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미국은 인류학자에게 일본에 대한 연구를 의뢰하는데요,

그녀는 일본과 일본인들을 연구조사하여 그들을 대표하는 상징적이미지를 [국화와 칼]로 표현합니다

지금의 일본은 어떨까요?

어쩌면 왜 일본에 대해 알아야 되는 이유를 찾는 것부터가 먼저일 것 같습니다.

작금의 한일관계를 지켜봤을 때, 앞으로의 한일관계는 순탄치 않겠죠.

스가총리는 아베의 기조를 따라가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최근 나는 흥미있는 뉴스를 봤는데요,

알다시피 짐로저스는 투자전문가인데요.

그는 최근 출범한 일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정권에 대해 "일본의 쇠퇴를 가져오는 건 필연적"이라고 평가했고, 이대로 간다면 일본은 100년 뒤엔 없어질지도 모르니, 일본에 사는 10대 청소년들은 속히 일본을 뛰쳐나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의미심장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잘 아는 일본 브랜드인 유니클로의 야나의 다다시 회장도 일본의 정치, 경제가 지금 이대로 가다가는 망한다고 했습니다.

왜 그들은 이런 평가를 하고 있을까요?

왜 그들은 지금의 일본이 이대로 간다면 '망한다'고 했을까?

지금 일본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중요한 것은 이웃나라 일본이 망한다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인가이겠죠. 국민감정의 문제로 치부하기에는 큰 문제입니다. 역사인식으로만 봐서도 안 되고, 일본 자체의 문제만으로 그쳐서도 안됩니다.

왜냐면 일본의 돌이킬 수 없는 30년은 우리가 가고 있는 모습과도 오버랩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이웃나라 일본의 문제는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저자인 시라이는 일본은 2차대전에서 패배하고 군국주의를 청산하지 못한 채 점령국인 미구의 이해에 맞춰 구체제를 온존시키면서 사실사의 미국식민지로 전락함으로써 패전구조 및 그 정신 상태가 계속되었다고 하고 있다. 이 문제의식은 한국에게도 매우 시사적이다.

한국 또한 일본 못지않은 친미 일변도의 심각한 대미 종속국가이기 때문이다. 2차대전 이후 일본과 한반도 남쪽을 점령한 미국은 두 나라에 상호 연결된 유사 체제를 구축했다. 그로 인해 안게 된 문제도 닮은 점이 많다. 그렇다면 그 문제에 대한 한국, 일본의 해법도 상통하는 점이 많을 것이다.

국체론, 옮긴이 해제, 14쪽

가끔 시사적인 책이 읽고 싶을 때가 있다. 저자마다의 해석의 틀은 신선한다. 상투적이고 너무 뻔한 해석들은 찾아서 보지 않아도 다 알 수 있다.

세계의 여러국가, 특히 우리 주변국가들을 이해하는 것은 항상 필요하고, 멈추어서도 안 되는 것이다. 일본이라는 단어 그 자체로도 국민감정을 자극하기에 더더욱 냉정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일본인에게 천황의 의미를 알고서 놀랐던 적이 있다. 이 책의 맥락도 비슷하다. 하지만 저자의 가장 놀라운 점은 바로 이 지점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고 역자(한성동)는 말한다.

일본에게 2차세계대전 후의 구체 곧 '천황'이 바로 미국이라고 설파하고 있는 대목이다.

'전후 국체=미국'이라는 시라이의 나름 체계적이고 치밀한 분석이야말로 이 책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시라이가 보기에 미국은 일종의 '신성로마제국'이며, 미국의 대통령은 현대의 절대군주 천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