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꺼내지 않았던 이야기들 - 장애인의 성과 사랑 이야기
천자오루 지음, 강영희 옮김 / 사계절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고, 섹스하고, 아이를 낳아 기르는 삶의 모습은 장애인이 무성적asexual 존재가 아님을 우리 사회에 알렸다.

여전히 장애인은 성적파트너를 만나 자유롭게 사랑하고, 성관계를 맺고, 아이를 낳아 기르기 쉽지 않다.

장애인의 출산과 양육은 여전히 사회적 부담으로 여겨질 때가 많다.

읽기전에,김원영변호사

묵직한 울림을 주는 책입니다.

보통 책에서는 주제를 통하거나 저자가 걸어온 길을 통해 묵직함을 느낄 수 있는데요.

이 책은 주제를 통해서 묵직함과 그동안 외면해버렸던 내 모습에 대해서 씁쓸함을 던진다.

정말 한번도 생각을 못한 주제다.

나의 성은 중요했지만 다른 이들, 특히 소수자들 중에서도 장애인들의 성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없다.

그렇게 보면 사회적인 이슈들 중 정말 내가 먼저 관심을 가지고 본 게 몇이나 있을까?하고 잠시 생각한다.

언론을 통해서 제기된 것 외에, 나는 어떤 사회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

아마도 이 문제도

"장애인들의 복지문제가 우선이지 그들의 성문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구?"라고 생각할지 모를 일이다.

이책의 저자는 천자오루이다. 타이완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기자로 일했다.

이 책 <사랑을 말할 대 우리가 꺼내지 않았던 이야기들>로 타이베이 국제도서전 대상을 수상했다.

책은 크게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명

사랑할 권리

깊은 잠에 빠진 아이

자기만의 방

장애,여성, 연애

욕망의 출로

섹슈얼리티가 인권이라니

내용의 큰 줄기는 장애인들의 성(性)에 대해서 얘기한다.

장애를 갖고 있는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서 직접 얘기하고 있다.

그들의 느끼고 있는 생생한 목소리는 비장애인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마치 죽을때까지 고민해보지 못할 고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생존의 문제만큼 또는 더 중요한 문제인데 말이다.

한편으로 사례들의 이웃하지만 다른 나라인 대만의 얘기들이라서 우리나라의 사정은 어떤지 궁금해졌다.

이런 이야기들을 책으로 써서 공론화하고 공감하려는 노력이 그들에게는 있지만,

우리에게 <장애인의 성>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졌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사회가 장애인들의 성(性)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

부모가 지적장애를 갖고 있는 자식의 성적욕구를 바라보기

장애인이 내가 이성에 대한 성적인 욕구를 갖는 것

남성장애인의 여자친구로서 살아가는 것

남성장애인의 비자애인 여성과 결혼, 출산, 육아를 하면서 성생활

p116.장애인은 그저'살아 있는 것'만을 원치 않는다. 하지만 '더 많은 것'은 언제나 폄하되어 변방의 변방으로 밀려난다.마치 그들이 '건강하고 온전한' 신체를 잃은 그 순간부터 성과 사랑에 대한 갈망이 함께 사라지기라도 한 것처럼 말이다.

p129.장애을 가진 신체에 대해 사람들이 갖는 동정,공포,기형이라는 편견은 악의에서 나왔다기보다는 단순히 낯설어서인지도 모른다.

p141.버지니아울프는 <자기만의 방>에서 남존여비의 사회문화 때문에 여성은 자기만의 공간과 사회적자원을 갖지 못했다고 한다.

사춘기 때 나 역시 여느 여학생처럼 사라에 호기심과 낭만적 환상을 품었고 당연히 성적 판타지도 있었다.

하지만 부모는 이렇게 민감한 문제를 내 앞에서 언급한 적이 한 번도 없다. 어쩌면 교사와 윗세대, 부모 역시 나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 지 몰랐으리라.

그래서 다들 나를 '무성의 신체장애 여자아이'로 취급하면서 감사고 돌려고만 했다.

마치 내가 성과사랑 쪽으로는 어떤 욕구도 없다는 듯이 말이다.

나 역시 그렇게 37년을 살아왓다. 남자들은 나를 보호하고 도와줘야 할 병약한 친구로 대할 뿐이었다.

사랑이 아니라 동정으로 .......

왜 나는 결혼과 출산을 할 수 없는가?

172쪽. 신체장애연대의 '진실한 자신 끌어안기: 장애 여성 자기 삶 쓰기 과정'에서

p173.그들에게 사랑은 너무나 요원한 일이고, 섹스는 더더욱 분에 넘치는 일이다. 이는 전적으로 그들의 생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사회의 집단적인 낙인이나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심정을 이해하기 위해 나는 많은 장애 여성에게 인터뷰를 요청했다.

모두에게 하나같이 거절당했다.

신체적 결함과 결핍은 그 깊이를 헤아릴 수도 없고 가닿을 수도 없는 고독을 낳는다.

깊고도 미묘해 헤아리기 어려운 감정이라 내가 아무리 선한 동기에서 다가간다 해도 그들에게는 여전히 말하기 힘든 일이고, 나로서도 더 이상 캐묻기 어려운 지극히 사적인 영역이다.

p210. 학자 추단신은 여성 장애인이 가장 일상적으로 부딪히는 차별은 그들의 역할을 가정주부에 제한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사회가 그들에게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p.221 장애가 곧 한 여성이 엄마가 될 자격이 없다는 뜻이 될 수 있을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아르헨티나의 다큐멘터리 <휠체어 타는 어머니>는 단도직입적으로 질문한다. "삶의 각본을 누가 결정하는가? 어떤 요소가 인간이 가조갖 하는 길을 결정할 수 있는가?

사실 이 책을 읽기전에 꼭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제일 마지막 장에 대한 기대때문이었다.

마지막장은 <섹슈얼리티가 빠진 인권이라니>라는 부분인데, 성소수자인 장애인들의 성생활만족을 해결해주는 내용에 대해서 쓰고 있다.

상상도 못했던 부분이다. 성적 욕구를 해결해 준다는 것이 가능한가?

그들은 성적욕구를 봉사를 통해서라도 받기를 희망하며 만족할 것인가?

성소수자들의 성적욕구를 해결한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생각하지도 못했던, 그래서 나름 어떤 것인지는 모르지만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지는 더더욱 몰랐다.

<섹스 자원봉사>는 일본의 장애인이 겪는 성생활의 어려움과 자원봉사자 및 사회복지사가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사람들의 성적 필요를 어떻게 돕는지 그 경험을 기록한 책이다.

얼핏 봐도 신랄하고 충격적인 책이지만 굉장히 감동적이기도 하다. 저자는 한 편, 또 한 편 실제 사례를 통해 대단히 중요한 생각을 끌어낸다. 성은 금기가 되어서는 안 되며 평상심과 이성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고, 이는 장애인의 성적 욕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는 사실 말이다.

2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