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미술관 - 그림이 즐거워지는 이주헌의 미술 키워드 30 이주헌 미술관 시리즈
이주헌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머리가 복잡해질 때면 모든 일을 제쳐두고 근처 갤러리에 가서 그림을 보고 온다. 서양화든 동양화든 조각이든 설치미술이든, 무엇이든 간에 한시간이고 두시간이고 갤러리에서 작품들을 실컷 보고 나면 마음이 약간은 편해진다. 각박한 삶에서 찾는 작은 여유 때문일까? 아니면 미술품이 갖고 있는 인간의 내면을 어루만지는 그 무언가 때문일까?

그렇게 그림 보는 걸 좋아하다 보니, 이제는 단순히 그림을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읽고’ 싶고, 더 ‘알고’ 싶어졌다. 하지만 확실히 미술은 어렵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그림은 더더욱 어렵다. 축 늘어진 시계, 다리 위에서 절규하는 사람, 칸딘스키나 잭슨 폴록의 그림들, 위아래도 알 수 없는 이 그림들을 보고 있자면 머리부터 아파온다. 비단 이것뿐이겠는가? 고전 미술에도 수수께끼와 같이 알 수 없는 것들만 가득하다. 고전 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사실을 알아야 하고, 당시의 종교를 알아야 하고, 국가와 국가간의 관계까지 알아야 한다. 그림 하나 보자고 이렇게 많은 것을 알아야 하나? 문득 이런 생각에 답답해지기도 한다.

비록 나만 이런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닐 것이다. 보통의 일반인들이라면 미술을 어려워한다. 뮤지컬이나 무용, 연극을 찾는 이들에 비하면 갤러리를 찾는 이들은 극히 한정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때문에 우리는 이런 욕구가 생기게 된다. 보다 쉽게 그림을 읽는 방법은 없을까? 보다 쉽게 이해할 수는 없을까?

그래도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들은 그림을 ‘읽는 법’에 탁월하다고 한다. 사진을 예로 들면 서양인들은 중심이 되는 피사체에 집중하는 반면, 동양인들은 배경과 거기에 담겨진 이야기, 관계에 주목을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 한국인들이라면 누구나 그림을 ‘읽을’ 준비는 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이주헌의 <지식의 미술관>은 이러한 그림을 ‘읽는 법’을 가르쳐 주는 아주 친절한 책이다. 이 책은 미술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직관을 활용해 작품의 본질을 들여다보는 능력을 기르게 하고, 이를 통해 '느껴지는 대로 보는' 미술 감상의 참 맛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 책은 ‘한겨레’에 꾸준히 미술 칼럼을 연재했던 저자 이주헌의 글을 모아 책으로 엮은 것으로 독자들로 하여금 미술품을 보다 깊게 이해 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저자는 작품을 감상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직관’을 지적하고 있다. 조형적인 분석으로 그림을 이해하기 보다는 직관을 통해 그림의 핵심에 곧바로 도달하는 것을 강조 하고 있다. 여기에 풍부한 배경지식과 경험이 더해지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읽어 낸 것들은 그 어느 것 하나 버릴 수 없는 ‘감상의 자산’이 될 것이 틀림없다,

좋은 스승을 만나는 것만큼, 좋은 책을 만나기도 어렵다고 한다,
어느새 성큼 다가온 가을, 미술관에서 그림을 ‘읽어’ 보는 건 어떨까? 물론 그 전에 <지식의 미술관>을 읽고 간다면 조금 더 많이 읽어 내리라 확신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