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극히 사적인 철학 - 어제의 고민을 오늘의 지혜로 바꾸는
피터 케이브 지음, 서종민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적인 철학이라는 말이 재미있는 책이다. 개인적이라는 것인지 사고한다는 의미인지 헷갈렸다. 사실 이 책의 영제는 굳이 의역하자면 '철학자처럼 생각하는 방법'정도이다. 그렇다면 이 흥미로운 번역본의 제목은 출판사와 옮긴이가 이 책을 읽고 이에 어울리겠다고 붙인 새로운 이름이지 않을까? 왜 그런생각을 하게된걸까. 책을 서걱서걱 읽다보니 이런것일까 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철학자들의 철학의 일부를 우리의 개인적인 상황이나 호기심에 연계해서 설명하고 있다. 철학이라는건 꽤나 일반적이면서도 지극히 철학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담겨있어서 철학자의 글을 그저 읽는 것만으로는 나의 삶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피터 케이브라는 철학자는 이 책에서 인생에서 일어날법한 상황을 철학자의 철학 중 일부와 연결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마치 우리에게 철학은 그리 어렵지 않아, 사실 우리의 일상 생활 모든 곳에서 철학을 만날수 있어라고 설명하는 듯하다. 철학의 대중화라고 할까. 그 덕분에 꽤 흥미롭게 책을 읽기 시작했던 것 같다.

아쉽게도 개인적으로 나는 이 책이 그다지 재밌지는 않았다. 요즘 상황이 깊게 생각할 여유가 없어서일수도 있지만 저자의 문체가 너무 주저리주저리 설명위주라 핵심이 잘 보이지 않았던것이 문제다. 이 책의 내용을 실제 강의나 이야기로 들었다면 오히려 즐겁게 들었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마음의 여유가 생길때 다시 곱씹으면서 읽는다면 생각이 바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 하나는 이 책은 30명이나 되는 철학자들의 철학의 논지를 어울리는 상황에 맞춰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깊이있게 한명한명 다루지 못해서 아쉬운 점은 있지만 많은 철학자의 주요한 문구를 접할 수 있어서 신선한 재미를 느끼긴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상황에 참 잘 어울리는 철학가들을 잘 찾았다. 4장의 소크라테스를 소개하면서 ['내가 좀 안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라는 부제를 붙였다. 우리가 잘 아는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이 순간 떠오르면서 픽 웃음이 나오지 않는가. 그는 대중의 마음을 잘 아는 작가인듯하다. 하지만 내용에 저 상황과 질문에 대한 답이 나오지는 않는다. 그저 소크라테스가 살던 시대적 상황이나 그가 했던 말이나 행동이 작가의 생각에 따라 선별적으로 서술되고 있다. 내가 깊이 있게 이해를 못해서 그렇게 느낄수도 있지만 상황에 공감하며 챕터를 읽었는데 답이 딱 나오지 않아서 아쉬웠던 듯하다. 하지만 30명의 철학가에 대한 그의 정리는 꽤 괜찮았다. 잘 몰랐거나 기본적인 내용만 알았던 다양한 철학가의 사상을 훑어보면서 몇명의 생각에 공감했다. 아마 그 철학자에 대해 다음에는 좀 더 찾아볼것 같다. 어쩌면 작가가 원한 것은 이런게 아니었을까. 많은 철학가의 사상을 보고 그 중 1명에게라도 관심을 가져주기를. 삶과 철학은 동떨어진 것이 아니므로.

존 스튜어트 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니체와 마르크스, 하이더거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유명한 철학자들의 사상을 간단하지만 이야기책 읽듯 보고 싶다면 이 책이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들의 사상을 어떤 상황이나 말로 부제를 붙였는지 비교해서 보는 것은 분명 책의 매력일 것이다.(꽤 어울리게 잘 붙인 부제들이라서 비교하는 재미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