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굴 황제 - 로마보다 강렬한 인도 이야기
이옥순 지음 / 틀을깨는생각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저자도 이야기하고 있지만 인도는 앞으로 더 발전가능성이 많은 나라이다. 지금은 경제적으로 그렇게 눈에 띄지 않지만 과거 한때는 유럽국가가 그들과 무역을 하고 싶을 정도로 부유했던 나라. 다양한 종교가 잘 어우러져 있는 나라. 그렇게 이끈 무굴제국의 시대를 이 책은 마치 한권의 역사기반으로 한 소설을 쓰듯 재미있게 써놓았다. 실제 있었던 일이라는 머릿말을 보고 읽지 않았다면 소설책이라고 생각이 될 정도로 다양한 미사여구와 비유법을 활용해서 비극적이거나 잔인한 순간도 그다지 읽는데 힘들지 않게 수술 넘어가진다. 꽤 주관적인 각 황제에 대한 평가도 이러한 소설적인 특성때문에 덜 비판적으로 느껴진다. 다른 역사기록물처럼 사실만을 딱딱한 문체로 썼다면 그의 편파적이라고 느껴질만한 황제들에 대한 차별적 기술을 문제 삼을 수도 있을 것 같다. 로마보다 강열한 인도이야기라더니 '로마인이야기'가 비견되어 생각난다.

이야기는 크게 위대한이라는 말이 붙는 6대의 황제들을 각각 다루고 마지막장에서 그 이후의 몇몇 황제들에 대해 언급하며 정리한다.
350년이 지속된 무굴황제에 대해 굳이 무굴이라는 칭호를 쓰는것에 대한 이야기가 머릿말에 나온다. 무굴은 실은 국명이 아니고 황제들이 속한 부족의이름으로 몽골의 페르시아식 이름이다. 창업군주부터 마지막 황제까지 이 무굴이라는 이름을 싫어했으나 결과적으로 그들은 역사에 무굴이라는 이름으로 남게 되었으니 이 또한 마음이 아픈 일이다.

제국의 세운 바부르 황제, 그의 아들이자 거의 제국을 다스린 적이 없는 후마윤황제, 위대한 황제로 남게된 아크바르황제, 정의로운 지배자로 이름을 알린 자한기르, 그 유명한 타지마할의 주인공 샤자한, 관대함을 잃어버리고 결국 제국을 망하게 하는 지름길을 닦은 아우랑제브 그뒤로 무너지는 무굴제국을 지키려고 했던 몇몇 이들의 이름이 차례로 언급된다.

처음에는 여행 때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던 아름다운 타지마할을 만든 샤자한에 많은 관심이 있었으나 읽다보니 아크바르황제가 좋아진다. 능력도 있고 어린나이부터 황제에 올라 많은 일을 경험하고 결국 무굴제국을 안정화 시킨 황제라고 생각된다. 능력남이 멋지고 읽는 재미도 있다.

모든 황제를 적을 수는 없지만 그들의 역사는 우리와 꽤 닮았고 꽤 다르다. 권력이 그러하듯 형제끼리의 다툼이 빠지지 않지만 그들을 수없이 아버지를 배신하고 반역을 저지른다. 한 두명이 아니다. 심지어 어짜피 자신이 물려받을 왕자까지도 아버지를 공격한다.
황제들을 돕거나 배신하는 많은 신하들의 일화들이 나오는데 의외로 정에 약하고 도움을 주면 그 보상은 과하다 싶을 정도로 해준다. 목숨을 구해주고 일일 황제가 된 일개 사병이 있을 정도이다. 훗날 그는 그의 아들, 황제의 양아버지까지 되고 한 나라의 재상이 된다. 이래서 더 많은 이들이 과하게 아들들을 설득하고 도와주려고 꼬시면서 반역을 꿈꾸게 했나보다.
또하나 대부분의 황제는 술독에 빠져살았다. 술을 과하게 많이 마시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고 오히려 일상적인가보다 싶을 정도이다. 술독에 빠져 죽음에 이른 왕자들도 있다. 인도의 술이 갑자기 궁금해졌다.

각 황제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다양한 인종과 언어와 특히 문화를 가진 인도라는 나라를 어떻게 통합했는지 어떤 일들이 역사적으로 있었는지를 알게 됨과 동시에 비록 상상이겠지만 그들의 마음까지도 읽을 수 있는 재미있는 소설역사책이다. 한번쯤 역사에 관심이 있다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특히 인도를 여행할 이라면 추천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