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예술작품이었을 때
에릭 엠마뉴엘 슈미트 지음, 김민정 옮김 / 밝은세상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적 기준에 대한 흥미롭고 매력있는 소설이였습니다. 삶과 죽음에 대한 정의와 같은 무거운 주제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주제만 보면 상당히 어려운 책일 것이란 편견을 가지면서 읽었지만, 막상 제가 접한 [내가 예술작품이였을 때]는 어렵지 않고 이해하기 쉬우며, 흥미롭고 재미있게 이야기를 이끌어 나갔습니다.

 

나라는 인물이 삶을 포기하기로 하고서 선택한 제2의 삶은 예술작품으로써의 가치로 전락해 버린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다소 괴기스럽거나 하드코어적 섬뜩함을 상상하게 되었습니다. <상당히 어려운 책이겠다>라는 생각과 무서울 것이란 생각이 오산이였음을 알게 되면서 상당히 재미있는 글이고 독특한 소재로 어둡지 않게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문제를 들여다보고 생각하고 공감하는 즐거운 관람이였습니다. 굳이 예술작품이 된 아담의 모습을 상세히 묘사해주지 않아서 거부감도 없었으며, 오히려 아담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 즐거웠습니다.

 

형들의 너무 잘난 외모에 밀려 자신의 가치와 의미를 읽고 방황하던 타지오는 자살을 꿈꿉니다. 누군에게도 관심과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느낀 그는 삶에 의지를 잃고 벼랑 앞에 섰을 때 예술가 제우스 페테르 라마를 만나 무서운 제안을 받고, '아담 제2호'란 이름으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들은 현재 우리사회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관심과 사랑을 받고, 인정받기 위해 자신을 버리고 얼굴에 칼을 대는 고통을 이겨내어서라도 타인의 관심과 사랑안에 존재하고파 하는 심리와 같아 보입니다.

성형수술이란 과격한 선택을 하는 마음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없다고 봅니다. 시대와 사회가 어쩔수 없는 선택을 강요하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외모로만 판단되어지는 시대 앞에서 가면을 뒤집어 쓰고 살기를 선택한고 위험을 감수해 내어서라도 누군가로부터 주목을 받고 싶은 마음이 이해되며, 한편으로는 안타까움과 안스러움이 공존합니다.

 

예술작품이 되어 느낀 행복감도 잠시 자신이 인간이 아닌 물건취급을 받는 것에 한타하며 자신의 존엄성 찾기를 시작한 아담(타지오). 자신이 잃어버린 옛모습을 알아봐주고, 사랑해주는 누군가를 만나 자신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달게 되었습니다. 안타까움 반, 기대 반으로 지켜 보면서 인간의 가치적 기준에 대해서 생각하는 좋은 시간이였습니다. 어렵고 무거운 주제이지만,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있는 책이였습니다. 인간의 진정한 가치는 외모가 아닌 마음과 영혼이 아름다워야 진정한 인간이란 결론입니다. 다소 상투적인 결론 일지라도 이것이 정답이 아니라고 부정할수 없을 것입니다. 자신에게 불만을 가지고 있거나 외롭다는 소외감을 느낀다면 자신의 소중함을 느끼게 할 책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