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공보경 옮김, 케빈 코넬 그림, 눈지오 드필리피스.크리스티나 / 노블마인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신작 개봉영화 때문에 원작소설에 대한 관심이 자주 생기곤 합니다. 이번에도 브래드 피트 주연의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가 곧 개봉되면서 원작 소설을 읽고 싶어졌습니다. 영화를 보기전에 원작과 영화를 비교해 보면 좋을 듯해서 였는데, 짧은 단편인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가 영화화 되었다는 사실이 놀라웠습니다. 소재로 봐서는 충분히 가능한 획기적이고 강렬함이 존재하는 이야기이지만요. 책을 다 읽고 보니 우선 영화가 책이랑은 많이 다를꺼란 생각이 듭니다. 영화는 사랑이야기에 많이 치우치는 듯하한데 소설은 삶의 전반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노블마인에서 출간된 이 책은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단편과 그 단편을 세피아 색감의 만화형식 두가지를 한권에 엮어 출간이 되었습니다. F.스콧 피츠제럴드의 단편들을 모두 엮은 책과 이책을 놓고 갈등을 다소 했으나 저는 우선 만화형식에 끌려 노블마인의 벤자민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오로지 벤자민 버튼의 거꾸로 가는 삶에만 집중하고 싶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전반부의 만화와 후반부의 소설을 두고 또다시 무엇부터 읽어야 할지 갈등을 했습니다. 후반부의 소설을 먼저 읽으면서 벤자민 버튼에게 일어나는 황당한 사건들과 특별한 이야기를 상상하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기발한 성정을 가지고 어떻게 한사람의 삶을 풀어낼지에 대한 기대가 커서 한장 한장 소중하게 여겨졌습니다.

70대의 노인으로 태어나 온 집안을 당혹하게 했던 벤자민 버튼의 이야기에 빠져 들면서 너무나 아쉬운 한가지가 생겨씁니다. 판타지적 요소로 획기적인 시도였을텐데도 너무나 가결한 단편으로 마무리 되었다는 것이 아쉬웠습니다. 좀더 디테일하고 더 많은 에피소드가 있었다면 완벽한 환타지가 되었을텐데 말입니다. F.스콧 피츠제럴드의 이 단편이 그 당시에는 환영받지 못하는 소설이였다는 것이 오점으로 여겨집니다. 그때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가 인기가 있었다면 더 수정과 보완해서 장편의 글로 재탄생했을지도 모르는 일일테니까요.

 

벤자민의 삶이 남들과 다르기에 겪게되는 문제와 고뇌들에 연민도 느꼈으며 부럽기도 했습니다. 남들과 다른 자녀라고 부끄러워하는 부모가 있을까요. 다정하지 못한 아버지, 벤자민을 이해하고 포용하지 못하는 아내, 이런 벤자민을 부끄럽게 생각하는 아들을 보면서 인간의 부족함과 잔인함을 느꼈습니다. 점점 젊어지다 못해 어려지고마는 벤자민 버튼의 삶을 보면서 처음에는 상황자체를 코믹하게 생각했습니다. 세상에 173cm이나 되는 벤자민이 어찌 엄마 뱃속에서 있을수 있었으며, 태어날수 있었는지 상상도 안되고, 작가가 이글을 쓸 당시에 미혼이 아니였나 생각이 되었거든요. 어찌 작은 여자(엄마)의 뱃속에서 그큰 아이가 태어날수 있었겠어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을 보면서 당시엔 체면과 관습을 상당히 중요시 했음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벤자민 버튼의 특별한 출생을 체면을 구기는 일처럼 여겨졌고, 점점 젊어지는 아버지는 아들에게는 골치거리 그이상 이였습니다. 그렇다고 벤자민의 삶이 암울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였습니다. 아름다운 여인과 결혼도 하고, 사업도 번창시켰으며, 자신의 외모와 패기를 마음껏 즐기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태어나면서 하나씩 하나씩 배워가고 익혀 나가는 삶을 살아가지만, 벤자민은 모든 것을 아는 노인으로 태어나 하나씩 지워 나가고 결국엔 무(無)로 행복하게 사라지는 삶을 살아내었습니다. 벤자민의 마지막 순간이 감동적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