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 1 - 보이지 않는 적, 판타스틱 픽션 블루 BLUE 2-1 판타스틱 픽션 블루 Blue 2
스테프니 메이어 지음, 홍성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평범해 보이는 소재가 깁라한 상상력을 만나 획시적이고 기발하며 환상적인 SF가 된 듯합니다. 다 읽고 난 저의 느낌은 인간에 대한 통찰력에 감탄하게 되었습니다. 표현하기 어려운 인간의 내면, 정체성, 사고의식에 대한 이해를 아주 면밀하고 섬세한 표현으로 멋지게 해석함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인간의 몸에 기생하는 외계 생명체인 소울(방랑자)이 멜라니의 몸속으로 들어가서 겪게 되는 놀라운 심리변화와 인간에 대한 해석. 그리고, 이해와 사랑에 "그래도 세상은 참 좋은 사람들이 많구나." 하는 감동을 받았습니다. 이미 멸망 해버린 지구에 '방랑자' 소울이 강인한 멜라니의 몸안에서 멜라니의 영혼과의 공존은 독창적이며 참신한 설정이였으며, 둘의 우정과 사랑과 이해가 아름답고 감동적이기까지 했습니다. 하나의 몸에 둘의 영혼이 존재한다면 결코 그 뇌 속의 영혼들이 평화로울 수 없을 것이란 상황을 아주 섬세하게 표현했다고 느꼈습니다.

소울인 방랑자는 멜라니의 강력한 기억에 사로잡혀 멜라니의 연인과 가족(제이미)를 사랑하게 됩니다. 멜라니가 사랑하기에 소울인 그녀가 동화 되었는지 아니면 방랑자 자신이 멜라니와 상관없이 그를 사랑하게 되었는지는 저에게는 어려운 고민거리였습니다. 공존하는 기억만으로 누구를 사랑한다는 것이 새로웠고, 방랑자와 멜라니의 사랑이 어떻게 진행될지가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였습니다.

 

영화의 흔한 소재인 외계인, 기생괴물이 인간의 몸에 붙어 인간을 조종한다는 설정은 흔했습니다. 그러나, 영화의 기생괴물은 지구의 인간을 지배와 파괴가 목적이였다면, [호스트]의 기생종족인 소울은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인간의 무질서를 바로 잡는 것이 목적이였습니다. 선의의 외계종족의 지배와 그에 대항 할수 밖에 없는 인간의 모습은 많은 것을 느끼게 하는 소재라 생각했습니다. 인간의 파괴적 자멸을 막는다고 판단하는 소울들과 외계인에게 인류가 멸망했을 뿐이라 생각하는 인간. 누가 옳고 그른지. 또는 어느 쪽이 더 파괴적인가 하는 복잡 미묘한 부분이 매력적으로 다가 왔습니다. 인간이 지녔던 감정과 신체기능에 일체가 되어 반응하는 소울이 인간의 기억을 습득하고 결국엔 동화되어 버리는 방랑자의 혼란과 감정을 보면서 동식물과는 다르게 인간은 복잡미묘 할수 밖에 없음을 잘 보여준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정말 보기 드물게 건전하고 우호적인 성인 SF소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폭력과 잔인성이 배제시키고 소울이 인간을 이해하고 사랑해가는 모습을 섬세하고 격정적이면서 강렬하게 풀어내고 있습니다. 소울이 인간과 공생하면서 인간과 동화되어 결국엔 인간이길 원하는 모습이 아주 섬세하고 부드럽고 아름답게 그려낸 듯했습니다. 성인용 SF라기엔 상당히 예쁘고, 깨끗한 이야기 였습니다. 어쩌다보니 저는 멜라니 보다는 소울인 방랑자를 더욱 사랑하게 되어 버렸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