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춘화 朝鮮春畵 -하권 - 완결
이혜경 지음 / 파피루스(디앤씨미디어)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조선이라는 시대배경이 던져주는 느낌이 강렬하게 와닿았습니다. 조선의 선비의 이중생활, 춘화, 남장여자에 대한 소재가 조선이라는 소대적 배경을 벗 삼아 더욱 은밀한 에로틱 로맨스를 전해 줄거란 생각이였습니다. 현대가 아닌 조선시대의 폐쇄적이고 은밀하면서 이중적인 모습에 대해 가지는 궁금증과 의문이 증폭되면서 은연중 느껴지는 응큼하고 발칙한 로맨스를 기대 하였습니다. 읽으면서 므훗해지는 기분을 어찌 숨길 수가 없어서 입꼬리가 슬며시 올라 갔습니다.

 

조선. 정조(이산) 4년에 노론의 민영환과 남인의 김완, 유림의 유창이 셋은 잘가가는 3인방입니다. 섞일 수 없어 보이는 서로 다른 정치색을 띠는 가문의 세 자녀는 정말 좋은(?) 친구라 열심히 어울리다 덤탱이를 씁니다. 파파라치한테 딱걸린 것이지요. 이 3인방의 이야기를 그린 [조선선비의 이중생활]이라는 춘화첩과 잡록이 은근히 유명세를 타고 이 일을 유창이와 김완, 민영우, 김세호등이 알게 되어 춘화첩을 그린 '설공찬'이란 놈을 잡기로 하지만, 쉽지가 않습니다.

은밀하게 움직이는 설공찬의 뒤를 캐기가 여간 어렵지 않은 와중에 춘화첩은 계속 발행되어 인기를 끌고 민영우는 근무중에 자신들의 이야기인 춘화첩을 보고 웃다가 정조(이산)에게 딱 걸리고 말았습니다. 영특한 왕은 정치색이 다른 세집안을 자신이 품길 바라고 그래서, 조금 가벼운 벌을 내립니다. 이제 볼모가 되어 설공찬과 함께 유창이 일행(영우, 완, 세호)은 청으로 연행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연행길에서 유창이는 설공찬(보늬)의 정체를 알게 되고 둘의 애정행각이 시작되면서 더욱 에로틱한 재미를 줍었습니다.

사랑은 사람도 변하게 하고, 질투는 사람도 망가지게 하나 봅니다. 하지만, 체면 때문에 마음껏 애정을 보늬에 쏟지 않는 모습이 안타깝고, 아쉬움이 남게 합니다. 좀더 질투에 눈먼 유창이의 모습을 보고 싶었답니다.

 

예전에 조선춘화그림을 본적이 있습니다. 그걸 보면서 지금보다 조선시대 양반이 더 뻔뻔스레 야한단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인지 소재나 재목만으로 이 글이 가벼울 것이라 생각을 했었는데, 작가님이 참 준비를 많이 하시고 쓰신 글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알지는 못하지만 이글의 어느 정도는 사실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구요. 조선시대와 관련된 명칭과 관습등에 달린 각주를 보면서 많은 준비를 한 글이란 생각에 감탄하였습니다.

유창이와 보늬의 사랑을 유쾌하고 에로틱하게 읽었습니다. 은근 야하셨습니다. 흐흐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