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샤라쿠
김재희 지음 / 레드박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김흥도, 신윤복 열풍이 한창이다. (바람의 화원)이란 책은 드라마로도 제작이 되어 지금 한창 방영중이다. 또 신윤복과 김흥도에 관한 영화도 개봉을 했다. 왜 갑자기 여기 저기서 신윤복과 김흥도의 생과 그림, 삶의 자취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것일까.

 

일본의 천재화가로 불리면서도 샤라쿠에 관한 기록도 행방도 남아 있질 않다. 다만 그의 그림만이 일본에 남아 있고, 그의 화풍이 서양의 고흐등의 화풍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혜성처럼 나타났다 2년 여간의 짧은 기간만을 활동하고 사라져버린 샤라쿠에 대한 수많은 의문을 재기하게 만들다.

 

샤라쿠 그는 누구인가? 누구였길래 갑자기 종적을 감춰버린 것인지 알길이 없어 의문투성이다.

이책은 작가가 어느날 우연히 들어간 한 고서점에서 발견한 한권의 책에서 시작 되었다고 한다. 2년간의 공부와 준비기간을 거쳐 탄생한 이책은 내게 많은 의문을 던지고, 어리둥절해지는 기분을 안겨주기도 했으며,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샤라쿠를 일본은 일본작가라 주장하고, 한국 미술계에서는 김흥도라 주장을 한다고 한다. 그런데, <색, 샤라쿠>에서는 김흥도가 아닌 신윤복이 샤라쿠라 말한다. 고서점에서 발견한 책에 자신은 살만 붙였을 뿐이며 기록적 근거만 추가 시켰을 뿐이라 말한다.

 

김흥도는 신윤복을 제자로 들여 간가(첩자)로 훈련시켜 일본에 파견한다. 신윤복은 신분을 속이고, 간자로써의 임무수행을 위해 벽지에서 올라온 화가로 행세하며 그림을 그려 일본인들 속에 흡수되어 진다. 신윤복에게 내려진 간자명이 '도슈샤이 샤라쿠'이다.

샤라쿠, 즐거움을 그리다라는 뜻이 너무나 아름다운 이름이 후대에는 논란의 중심에 서게된다.

책에 첨부되어 있는 김흥도, 신윤복, 샤라쿠의 그림들을 비교해 보면서 이야기의 전말을 믿든, 고개를 젖던 모두 본인의 목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