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연인 1
전유진 지음 / 파피루스(디앤씨미디어)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새로운 소재의 사랑이야기를 만나는 것은 언제나 제마음을 설레이게 하고, 더 따뜻한 가슴을 가지게 만들어 줍니다.

유쾌한 사랑이야기도, 슬픈 사랑이야기도 제게로 와서 저의 사랑처럼 공감하며 감동하고 느끼면서 제자신이 충만해지는 기분을 늘 느끼게 합니다.

<태양의 연인>의 여주인공인 하연(헬렌)은 한국인 어머니와 미국인 아버지  사이의 혼혈아입니다.

동서양의 두미모가 만나 태어난 하연은 천상의 선녀처럼 신비롭고 아름다운 외모로 눈길을 끌지만, 혼혈아를 차갑게 바라보는 사람들 속에서 수많은 멸시와 상처를 받게 됩니다.

어릴때 만난 한소년에 대한 기억만이 유일한 안식처이자 버팀목이 되어 줍니다.

남자주인공 석우와는 서울 변두리 달동네에서 만나 서로의 아픔과 상처를 보듬어 주고 위로를 해줍니다.

석우는 동생 경우와 납치되어 하연이 사는 곳으로 끌려온 것이였습니다.

하연과 석우의 1년간의 시간뒤 교통사고를 계기로 하연은 심장수술차 미국으로 가고, 석우는 기억을 읽고 두사람은 헤어지게 됩니다.

20여년만에 회사에서 두사람은 재회를 하지만 석우가 하연을 알아보지 못하자 하연이 안타까워하며 그 사실을 숨깁니다.

하연에게는 스토커같은 전약혼자인 필립이 있었고, 석우에게는 수진이라는 애인이 있어 두사람의 사랑은 순탄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하연의 가정사를 알게된 석우의 모친의 격렬한 반대에도 부딪히게 됩니다.

혼혈아라고 멸시 당하고, 냉대받는 모습이 너무나 가슴 아프고 안타깝기만 했습니다.

 

<태양의 연인>의 핵심은 아무래도 혼혈이라는 단어에 모든 것이 있는듯 합니다.

이제는 거리에서도 흔하게 마주칠수 있는 외국인들, 그래서 내국인과 외국인의 사랑의 결실인 혼혈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바라보나요.

아니 저는 어떻게 그들을 바라 봤을까요.

사실 외국인 노동자에게 , 혼혈아에게 상처를 주면 안된다는 생가과 마음이였지만, 그들의 사랑과 결혼에는 반색인 것은 사실이였습니다.

내 아들이 그랬을때 석우의 모친처럼 하지 않으리라 말하지 못하겠더군요.

내가 제3자 일때는 외모에 감탄하며 바라보지만, 그것이 동경만으로 끝나길 바라는 모순은 어디에서 비롯되어지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연과 석우의 사랑은 혼혈아란 이유와 다른 여러가지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슬프고 힘겹게 사랑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어렵고 힘겹게 이룬 사랑이라 참 다행스럽기도하며, 부끄럽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작가님의 말씀처럼 멀지 않은 미래에 하연과 석우와 같은 연인들이 많이 생길 것이란 생각이 저도 들었습니다.

미래를 한발 앞서 바라 보신 분 같아 놀라웠습니다.

<태양의 연인>처럼 슬픈 연인들이 아닌 축복속에 사랑하는 연인이 더 많았으면하는 바램이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