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공주는 왜 난쟁이 집으로 갔을까?
모봉구 지음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백설공주는 왜 난쟁이 집으로 갔을까?> 제목이 참 눈길을 끈다고 생각을 했었다. 무슨 내용일지 궁금해졌다. 몇해전 (아름다운 동화가 알고 보면  원래는 무서운 이야기였다.)라고 주장한 소설과 만화가 유행을 했었다. 잔혹한 동화 이야기로 해석해 버린 동화이야기에 당시에는 한껏 마음을 빼앗겼으며, 일부분은 반신반의하며 믿는 마음도 생겨 났었다. 그만큼 사람을 유혹하는 매력이 있었다. 어찌 되었던 그 당시에는 상당히 새롭고, 획기적이며, 놀라운 시도였다.

 

제목만 보았을 때 일종의 동화의 뒷이야기 같은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며 읽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책은 동화 속에 내포된 진정한 의미와 새로운 시각의 교훈(성공키워드)을 해석해 주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잘 아는 동화 백설공주, 인어공주, 신데렐라, 벌거벗은 임금님, 개미와 비둘기 등 총 10개의 동화에서 인간이 삶을 영위해 나감에 있어서 가겨야하고, 지켜야할 덕목들을 해석해 내고 있었다.

 

<백설공주>이야기에서 우리는 지금까지 착한공주와 나쁜 계모를 통해 작하게 살야야 복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적 교훈을 얻고 믿어 왔었다. 하지만, 여기 이책에서는 긍정의 힘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조목조목 타당성을 부여해 줌으로써 지금까지 미쳐 깨달지 못한 동화의 필요성과 그 정확한 의미를 파악 할수 있게 풀이를 해준다.

 

그동안 우리는 아름답고, 선악구조가 명확한 동화를 보면서 언제나 표면적 교훈과 동화적 재미에만 치우쳐 있었다고 볼수 있다. 우리에게는 수많은 동화가 전해져 오고, 그속에 담긴 의미가 삶을 살아갈때 지켜내야하고, 경계해야할 인간의 마음을 다스리는 길잡이의 의미가 내포되어 잇는 것이다. 자각의 이럭을 봤을때 집필서가 신화, 설화, 전설의 이야기를 연구하고 재해석했음을 알수 있었다. 작가는 그동안 계속해서 옛이야기에 태클을 걸고, 진정한 의미를 찾기를 계속해 왔음을 알수 있었다.

 

동화 속에서 작가는 인생의 성공키워드를 찾아내어 타당한 증거와 이유를 보여 주고있다. 긍정, 결단력, 잠재력, 시련, 조화, 일 , 양육, 허위, 성윤리, 개과천선의 총 10가지 성공키워드이다. 기존의 자기계발서와는 다른 시도의 책이다. 동화에서 교훈(성공키워드)을 찾고 동화를 조각조각 해석해 보는 재미가 있었다. 수많은 동화들 중에서 우리는 얼마만큼의 교훈을 잡아내어 습득할수 있을지 생각해 보게되는 좋은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