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을 노래한 밥 말리 ㅣ 꿈을 주는 현대인물선 9
안주영 지음, 황영진 그림 / 리잼 / 2011년 11월
평점 :
새로운 것을 접할 때마다 약간의 설레임과 긴장이 생기는 데 문화적인 것일 때는 특히 그런 느낌이 강한 것 같아요.
보수적인 집안에서 자라난 환경도 있고 제 스스로가 새로운 것에 매력을 느끼기도 하지만 좀 조심스런 성격이라
더욱 그렇지요. 레게 음악이라는 말에 대해 스쳐 지나가는 말로 텔레비젼에서 전해 들은 것이 전부인데 이 책 밥 말리의 생애를 다룬 내용을 읽으면서 진하게 흑인 음악의 리듬이 전해 오는 듯하네요. 자메이카에서 태어난 밥 말리의 어린 시절이 이렇게도 아픈 상처와 고통이 있는 줄 사실 처음 알았습니다. 굳이 이 책에서는 그런 상처들을 감성적으로 드러내고 있지는 않죠. 50대의 영국인 아버지와 자메이카의 흑인 이었던 젊은 18세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밥 말리는 아버지의 무관심을 그에 관한 생각이라면 뒷모습만 기억할 정도로 생각되어진다고 했는데 저는 그의 이 자식으로서 소외된 느낌과 생활고들을 어렴풋이 알 수는 있습니다. 저는 한 가정의 엄마와 아내로써 누구보다 아이들을 세심하게 돌봐주려하는 그런 평범한 주부의 경험을 갖고 있으니깐요. 어쩌면 자기 자식을 그렇게 쉽게 입양 보내려고 하는지.. 그리고 거짓말을 해 가면서 엄마와 떨어져 있게 할 수 있는 지 책에는 물론 나와 있는 않는 감정들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몹시 흥분하며 읽었어요. 피부가 다르다는 것 뿐 우리 모두와 다를 바 없는 사랑스런 아이였던 밥 말리...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아이를 키우고자 미국으로 건너간 후 재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대우를 못 받으며 뮤지션 생활을 해야했던 밥 말리의 청년기를 다룬 부분도 책에서 손을 뗄 수 없을 만큼 읽는데 몰 두 하게 하더군요. 어쩌면.. 세상이 다 그렇다는 걸 인정하면서도 그런 밑바닥의 삶의 과정을 거치고 모든 상황에서 음악을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는 희망을 지녔던 밥 말리..
단지 그것만이 나에게 주는 감동은 아니었습니다. 그는 진정으로 혼란에 휩싸인 자메이카 분위기를 바꾸고 싶어했죠.
그를 위협하는 정치적인 상황에서도 그가 선택한 것은 노래를 통한 진심으로 자메이카를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는 것이고 그것이 어떻게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가를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밥의 노래에는 그가 느낀 사회의 모습이 곳곳에 진정으로 담겨 있죠. 그의 마음과 함께..
거리에서 노는 아이들/.. 깨진 병과 쌓인 쓰레기 앞에서/ 또 한 명의 아이는 먹을 것을 얻지 못했어/ 빈민가에서는 괴로움이 곧 달콤함이네/
한낮의 뜨거운 태양도 나를 쓰러뜨리진 못해/ 어두운 밤의 달빛도 마찬가지야/ 내가 하는 모든 것은 희망적이니까
" 저는 노래를 통해 착한 사람들이 나쁜 사람들 때문에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을 전하고 싶어요. 우리는 모두 정직하게 살야야 합니다. " 밥 말리는 자신의 어두운 환경에도 남을 탓하기 보다 자신이 진정 즐거워하는 것을 하면서 아픔을 승화시키고 오히려 그 어두운 불의가 지배하는 장소에서 희망의 메세지를 전하려고 했습니다. 1969년 새로운 자메이카 음악이 그래서 탄생하죠. 느릿느릿하고 규칙적인 리듬의 록 스테디보다 더느린 라스타파리교의 의식이 반영된 이 음악.. 이것이 바로 레게였어요. 시티비 원더와의 공연 위해 '자메이타에 웃음을' 이라는 공연을 준비하면서 정부에서는 공연을 취소하라는 경고를 보내고 총을 쏘기까지 하며 위협을 하는 얘기들은 정의가 불의를 맞서는 일이 생명을 위혐하는 끔찍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현실적인 사실에 다시 한 번 가슴이 떨리게 하네요. 예술가로써 자신이 생각하는 아름다움, 올바름을 위해 굽히지 않고 노래했던 밥 말리의 정신은 비록 그가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암이라는 상대에 의해 쓰러졌지만 오늘날 까지 이러한 책을 통해 독자들에게 앞날에 희망이 없는 사람들에게 빛으로, 노래로 들려오는것 같습니다.
재미있고 감동적으로 읽은 책이라 강력히 추천하고 싶습니다.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