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쇼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퀴즈쇼>는 독자들에게 흥미롭게 읽힐 법한 소설이다. 
그 이유는 <퀴즈쇼>라는 제목대로, 이 소설이 독자에게 계속해서 의문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첫 페이지에서부터 민수는 ‘왜 나에겐 엄마가 없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바로 이어지는 이야기는 그에게 엄마같은 존재였던 최여사의 죽음이다. 
보호자의 죽음으로 인해 거처를 빼앗긴 민수를 조명하며 1장은 끝나고, 
독자는 이후로 계속 ‘민수가 어떻게 생존할까?’라는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책을 읽게 된다. 
이것이 책의 결말까지도 계속되는 의문이라면, 이보다는 짧게 지속되지만 각 장마다 새롭게 제시되는 의문들이 있다. 
2장에서는 ‘벽 속의 요정은 누구일까?’, 3장에서는 ‘민수는 퀴즈쇼에서 어떻게 될까?’ 
이런 식으로 각 장마다 다음 장으로 넘어가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의문을 제기한다. 
‘어떻게 생존할까?’, 이것은 인간의 궁극적이며 가장 원초적인 의문이므로 인간의 흥미를 끌기에 가장 적당하다. 
이 계속되는 의문을 큰 줄기로 삼고, 새롭게 생겨나는 의문들을 작은 가지들로 삼아, 
이 소설은 마치 나무가 뻗어가는 모양처럼 나아간다. 
즉 <퀴즈쇼>의 내용 구조는 마지막 한 퀴즈를 독자들에게 내보이기 위해 뻗어나가는 
퀴즈의 연속, 그야말로 퀴즈쇼다. 


이민수를 비롯한 현대사회의 젊은이들은 PC나 전자기기가 만들어낸 환상세계 속에서 
정신적인 가치, 꿈이나 사랑을 자유롭게 표현하면서 살아왔다. 
고리타분한 부권과 금전이 지배하는 세상에 등을 돌리고 
환상세계의 정신적 교류에 열광하는 이들을 죄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진정한 승자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이 쇼의 마지막 퀴즈를 푸는 것은 독자들의 몫이다. 
돈보다 고매한 정신을 추구하는 남자 이민수, 현실보다 꿈을 추구하는 남자 이민수를 
당당하게 ‘승자가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처음부터 끝까지 독자들에게 의문을 갖게 하는 <퀴즈쇼>의 플롯을 만든 작가 김영하는, 
독자들이 이민수처럼 정답보다 의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기를 바라고 있는 게 아닐까? 
퀴즈의 연속 같은 인생길에서, 의문도 없이 남들과 같은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보다
자발적으로 자신의 생에 의문을 제기하는 민수 같은 젊은이들이
진정한 승자라고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