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친구는 웃었다. "새니까 노래하게 놔둬. 새니까 뭐라고 하게 내버려둬."
그는 유명한 발라드 한 구절을 인용했다.
페이지 : 71page
 
   

자신의 영혼을 거룩하게 만들기 위해 온갖 세속적 욕망을 부정하며 살아온 '나'는
여행길에서 조르바라는 이름의 자유로운 노인을 만나게 된다.
'나'와는 달리 계집도 수백명 품어보고, 살인도 여러 번 해보고,
아무튼 안 해본 것이 없는 이 늙은이는
'나'가 그토록 추구하는 거룩한 영혼을 부정한다.
조르바는 말한다.
"이 세상에 얼마나 즐길 게 많아? 이것저것 재지 말고 그냥 즐겨!"

   
  일을 어정쩡하게 하면 끝장나는 겁니다.
말도 어정쩡하게 하고 선행도 어정쩡하게 하는 것,
세상이 이 모양 이 꼴이 된 건 다 그 어정쩡한 것 때문입니다.
할 때는 화끈하게 하는 겁니다.
페이지 : 356page
 
   

조르바는 일할 땐 확실하게 일하고, 놀 땐 확실히 놀고,
사랑할 땐 진실로 사랑하는 '집중할 줄 아는' 사람이다.
한편 '나'는 세상만사를 경험해본 드라마틱한 조르바의 인생을 동경하지만,
그런 짓을 하면 자신의 영혼이 더럽혀진다고 생각하여
좀처럼 욕망에 솔직해질 수 없는 책벌레이다.

   
  "여자란 무엇인가요? 왜 이렇게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지요? 말해 보시오.
나는 저 여자란 것의 의미가 뭔지 묻고 있는 거요."
그는 남자나 꽃 핀 나무, 냉수 한 컵을 보고도 똑같이 놀라며 자신에게 묻는다.
조르바는 모든 사물을 매일 처음 보는 듯이 대하는 것이다.
페이지 : 81page 
 
   

조르바를 보고 있자면, 소극적인 나 자신이 부끄러워진다.
그놈의 체면과 자존심 때문에 하고 싶은 일도 맘껏 못 하고,
좋아하는 걸 좋아한다고 말하지 못하는 나.
생각해보면 생은 짧은데, 또 남들의 말에 일일이 신경쓰고 행동하기엔,  
남들이란 단지 내 인생에서 '스쳐지나가는' 사람들일 뿐인데.
왜 난 좀처럼 용기를 내지 못하는 걸까.

   
  "<아니, 할아버지 편도나무를 심고 계시잖아요?>
그랬더니 허리가 꼬부라진 이 할아버지가 고개를 돌리며,
<오냐, 나는 죽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이란다.>
내가 대꾸했죠. <저는 제가 금방이라도 죽을 것처럼 살고 있군요.>
자, 누가 맞을까요?"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 듯이 사는 거나, 금방 죽을 것 같은 기분으로 사는 것은  
어쩌면 똑같은 것인지도 모른다고 나는 생각해왔다.
페이지 : 55page
 
   

내일이 없을 것처럼 도전하고, 내일이 있을 것처럼 노력하라.
앞으로 삶에 소극적인 나 자신을 발견할 때마다, 조르바를 떠올려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