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농아들은 들을 수도 없고 말할 수도 없다.
안개를 뚫는 유일한 것이 소리라지만, 소리조차 낼 수도 없고 들을 수도 없다.
농아가 아니라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지켜야 될 것이 있는 모든 이들은 불의 앞에서 쉽게 소리를 낼 수 없다.
아니, 그 모든 것을 포기하고 소리를 낸다고 해도,
자신의 아주 사소한 불의가 밝혀지는 순간 정의의 사도를 연기하는 것도 머뭇거려진다.
강인호가 아이들을 지켜주려 했다가, 자신의 과거가 까발려지고
자신이 했던 행위가 연애인지 성폭행인지도 애매모호해지는 것처럼.
정작 성폭행범들은 아무런 심한 벌도 받지 않고 멀쩡히 사는데
착한 일을 하려던 강인호는 아주 조그만 잘못으로 인해 성폭행범으로 몰려 욕을 먹는다.

재판에선 이기지 못했지만, 아이들의 상황은 어떻게든 개선이 된 것 같아 안도했다.
결국 법정은 나라의 이익을 대변하므로,
부자들 손을 들어줄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 씁쓸하긴 하지만.
주인공인 강인호 역시 자신이 믿는 정의를 끝까지 추구하지는 못했다.
그에게는 지켜야 할 가족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긴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세상에선 이기는 이가 돈많은 이, 힘있는 이인 경우가 많다.
또한 나쁜 사람이 세상의 기준으로는 ’이긴’ 사람이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니 그런 것에 너무 연연해서는 안 될 것 같다. (슬프지만...)
착한 이가 이기지는 못해도, 행복해지기만 한다면 그것 또한 해피엔딩이 아닐까.
왜냐하면 피해자, 가해자 이외에는 다 사건이 지나가면 흥미를 잃어버릴 남들 뿐이기 때문이다.
남들에게 보여주는 용도의 승리라면 필요없다.
다만 이 소설은 중요한 것-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양심,
진실을 관철하는 용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이 소설을 읽는 독자들에 의해 그 정신은 이어질 것이고,
이것이 바로 이 소설의 존재 의미이다.

당한 이들, 착한 이들이 승리하는 모습을 보여준 건 아니다.
하지만 그런 이들이 승리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게 이 소설이다.
작가가 독자들에게 보여줘야 하는 건 착한 이들이 승리하는 이야기가 아닌지도 모른다.
독자로 하여금 착한 이들이 승리해야 한다고 생각하게끔 하는,
자신이 착한 사람이 되고 싶게 만드는 그런 소설을 써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소설은 성공적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