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적 지식인의 과거와 현재

유기적 지식인이란
“지식인은 자립적이고도 독립적인 사회집단인가, 아니면 모든 사회집단이 그 자신의 특수한 전문화된 지식인 범주를 지니는가?” 이탈리아의 사상가 안토니오 그람시는 자신의 『옥중수고』의 첫 페이지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그가 옥중에서 책을 집필하기 시작한 1929년은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전체가 세계대공황(1929~33)과 전체주의 등장이라는 암흑기에 접어들던 때였습니다. 그람시는 ‘지식인’이라는 비판이론가들이 당대 자본주의하에서 새롭게 등장한 부류임을 일찌감치 간파하고, 지식인이란 누구이며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를 밝히고자 했고 결국 유명한 ‘유기적 지식인’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렇다면 유기적 지식인은 누구를 가리키는 말일까요? 이번에도 그람시의 말을 빌려보겠습니다. “호모 파베르는 호모 사피엔스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결국 모든 사람은 그의 직업적 활동 이외의 부분에서도 어떠한 형태로든지 지적인 활동을 한다. 즉 그는 ‘철학자’이며 예술가이고 멋을 아는 사람이며 (…) 새로운 사고방식을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그람시의 옥중수고 2』, 이상훈 옮김, 거름출판사 2007 中)

현대의 유기적 지식인에 대한 고찰
토머스 맥러플린의 『거리의 지혜와 비판이론』은 “현대의 그람시가 쓴 현대의 유기적 지식인론”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습니다. 맥러플린의 주장은, 한마디로 학술이론가가 토착이론가(생활 속에서 지혜를 터득한 사람)에게서 배울 점이 많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유기적 지식인은 학술이론가일 수도 있고, 토착이론가일 수도 있으면 둘 다일 수도 있고 둘 다 아닐 수도 있습니다.)
토착이론은 ‘생활 속의 지혜’ ‘몸에 밴 지식’ ‘현장의 목소리’ 등으로 개념지을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단지 학계의 지식인들만 각종 문화 현상과 이념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TV 시트콤 시청자, 아이돌그룹의 팬들, 노동운동가, 교사 등 일반인들도 이미 그렇게 해왔다는 뜻입니다.
맥러플린은 토착이론에 대한 여러 허위─토착이론은 몽상이며 비현실적이라는 통념─들을 예민하게 감지해서 선보입니다. 그는 미국 남부 개신교의 반(反)포르노그래피 운동, 동호회 잡지의 비평, 뉴에이지의 서사, 광고업계의 기술, 총체적 언어교육(whole-language movement) 등에 주목하고 특히 학교교육에서도 토착이론의 다양한 사례들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고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2013년 한국사회의 토착이론은 무엇인가
일반시민 즉, 토착이론가는 매일매일 직장, 가정, 대중문화의 여러 현상들을 그저 받아들이기보다 그 이면의 본질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사람입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 주변에서 토착이론가들을 찾아볼 필요도 있겠네요. 제가 보기에 프로컨슈머(똑똑한 소비자)라고 불리는 파워블로거들도 여기에 해당될 수 있겠고요. ‘힐링’ ‘멘토’를 주제로 삼아 열심히 자신을 되돌아보려는 사람들도, 대안교육 등을 통해 현재 교육체제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도 이에 속할 것 같습니다. 또 누가 있을까요?
중요한 건 토착이론가들이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어떤 유기적 역할을 해낼 수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똑똑한 한 사람이 진정 사회에 공헌하려면 그 자신이 단순히 윤똑똑이로서 자신을 돋보이게끔 드러내는 것만이 능사가 아닐 것입니다. 이는 다시 안토니오 그람시의 유기적 지식인론으로 연결됩니다. 그람시의 말처럼, 유기적 지식인은 곧 국가 등의 억압적 헤게모니에 대항하는 데에서 존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