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운동은 지적 우울을 몰아내는 특효약이다.
실험이나 발상에 몰두하다 보면 일의 진척은 분명히 빠르다. 하지만 감정적으로 기복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기란 여간 힘든 게 아니다. 성공은 고마운 일이고 실패는 그렇지 않다. 하지만 실패 역시작업의 필수요소이다. 실험이 사시사철 잘만 되거나 좋은 발상이끝도 없이 쏟아진다면, 당신은 추구할 가치가 없는 너무 쉬운 목표를 좇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과학 같은 분야에 종사하다 보면 자 연스레 겪게 되는 신경전달물질 농도의 기복을 적절히 상쇄하려면,
규칙적으로 육체적 운동을 해서 머리를 식힐 필요가 있다. 나는 막스 델브뤼크처럼 하루에도 여러 번 모래톱까지 뛰어갔다 오곤 했다. 그렇지만 내가 제일 좋아한 취미는 테니스였다. 특히 뛰어난 선수와 시합을 해서 제법 격렬하게 몸을 쓰게 될 때가 좋았다. 그러면 경기에 져도 기분이 좋았다. 격렬한 운동이 긴장을 풀어주는 까닭은 육체적 스트레스를 겪을 때 분비되는 베타엔도르핀 때문이다.
엔도르핀은 아편과 성분이 비슷한 인체 분자로, 인간의 행복감을위해 진화가 빚어낸 산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루한 사람과 어울리지 마라 - 과학에서 배우는 삶의 교훈
제임스 듀이 왓슨 지음, 김명남 옮김 / 이레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3* 새로운 발상을 하려면 새로운 사실이 필요하다.
사실보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끌어낸 결론이 훨씬 만족스러운 게당연하지만, 그렇다고 사실의 중요성을 부인할 수는 없다. 다윈이성경에서 말하는 생명의 기원을 부정하게 된 것은 박물학자로서비글 호를 타고 여행하며 수집한 관찰들 때문이었다. 3년의 여행동안 남아메리카 서부 해안의 누구도 밟지 않은 미지의 땅을 지도화할 때, 다윈은 매번 뭍에 올라 그곳의 식물상, 동물상, 화석을 관찰하고 수집하는 데 많은 시간을 썼다. 다윈은 무엇보다 남아메리카 온대 산악 지역의 종들이 다른 대륙의 온대 종들보다는 같은남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종들과 비슷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화석도 그랬다. 남아메리카의 화석들은 가령 유럽의 화석들보다는 남아메리카 대륙의 현생종들과 가까워 보였다. 다윈이 자연선택에 의한종의 기원설을 구축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은 갈라파고스제도 여행이었다. 제도의 각 섬에는 저마다 독특한 종의 방울새가살았다. 다른 섬의 새들과 교배할 수 없는 사실상 고립된 환경이었기 때문에, 각 종은 저마다 독특한 깃털 색과 부리 모양을 진화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만 받아들여라연장자의 말을 잘 들어야겠다는 생각은 자라면서 한 번도 해본적이 없다. 뉴딜 정책 때문에 미국이 파산할 거라는 둥, 히틀러가영국을 점령한 뒤에는 정복 전쟁을 멈출 거라는 둥, 사춘기가 안된 내가 듣기에도 허튼 소리들을 친지들이 하는 걸 듣고서, 나는어른이 아이보다 합리적이라는 환상을 버렸다. 부모님은 왜 이런식으로 생각해야 하는지, 왜 이런 일을 해야 하는지 합리적으로 설명해주려 애쓰는 편이었다. 그래서 나는 가죽 구두 밑창을 망가뜨리지 않으려면 비 오는 날에는 고무장화를 신어야 한다는 어머니의 말에는 승복했지만, 발이 젖으면 감기에 걸리기 쉽다는 말은 인정하지 않았다.
이 서 서명을 경멸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에는 회전을 먹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인들은 과학이 별의 아름다움과 거리가 멀다고 말을 한다. 별을단지 가스원자 덩어리로 본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 역시 밤의 사막에서 별을 볼 수 있고, 또 느낄 수 있다. 나라고 해서 뭔가를 덜 보거나 더보겠는가? 하늘의 광대함은 나의 상상력을 확장시킨다. 회전목마 위에앉아서 이 작은 눈으로 백만 년이나 된 별빛을 본다. 별이 만들어내는저 방대한 무늬, 나는 그 일부가 된다. 저 무늬는 무엇인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왜 저렇게 보이는가? 별들에 대해 과학적 지식이 있다 한들 그것은 저 신비로움을 조금도 손상시키지 않는다. 진리야말로과거의 어떤 예술가들이 상상한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경이롭기 때문이다. 왜 오늘날의 시인들은 그런 것들을 말하지 않는가? 목성이 마치 인간인 것처럼 말하는 시인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인가? 그게 메탄과 암모니아로 이루어진 거대한 자전체라면 그들은 침묵해야 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