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의 움직이는 찻집
레베카 레이즌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시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 디저트, 캠핑카..첫장부터 힐링되는 책입니다. 이 책을 읽다보면 복잡한 현실을 잠시나마 잊게 되는 것같습니다. 그리고 나면 현실의 문제가 좀 더 가볍게 느껴집니다. 디저트와 차를 마시고 싶어지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의 질문력 - 대화에 서툴고 서로가 어색한 아빠와 아들의 생활밀착형 카운슬링
조영탁.조예준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은,


요즘 애들과 대화만 했다하면 서로 툭탁대며 나에게로 와서 서로 이르는 남편에게


내가 먼저 읽고 중요 부분에 포스트잇을 쫙쫙 붙여서


주려고 손에 들었다.


그런데, 내가 더 소중하게 읽고 학교에서 학생들과 대화에도 사용하고


5년 후 쯤 우리 아이가 청소년기쯤 접어들면 그 때 남편과 공유해야겠다.


아니 아니,


남편과 먼저 이 책을 주제로 대화를 해봐야겠다.


남편과 이런 이야기를 해봤던 적이 있었던가



제목처럼,


이 책은 끊임없이 질문들이 쏟아진다.


삶을 살면서 참 중요한 질문들인데,


어른인 나 역시 쉽게 답할 수 없는 것들이다.


너는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니?

지금 당장은 실현 불가능한 꿈이 있니?

마음 속에서 긍정으로 바꿔야 할 부정을 찾아볼까?

노력과 끈기, 과연 재능일까?

어른이 되면 더 공부할 필요가 없을까?

친구는 왜 필요할까?

나는 어떤 친구가 되면 좋을까?

이루고 싶은 그 일, 작게 쪼개서 매일 하면 어떨까?



몇년 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 10명 중 4명이 아버지와의 대화 시간이 하루 30분 미만이라고 한다.

아버지와 자신의 미래와 꿈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

상상만 해도 멋지다.

아버지와 따뜻한 차를 사이에 두고,

혹은 등산을 하며 이런 대화를 하는 아이가 엇나갈 수 있을까?


아버지 뿐 아니라 어머니, 선생님. 그 어떤 어른이라도

주변의 아이들과 이런 이야기를 한다면

그 아이는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가꿔나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질문'은 아이들 스스로 답을 찾고 자신의 입을 통해 답을 정리하도록 하기 때문에 더 효과적이다.

그리고,

아이들과 이런 대화를 하려면 우선

나 자신과 대화부터 해야겠지.

아이를 양육하는 일은 어쩌면, 나를 키우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출판사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의 질문력 - 대화에 서툴고 서로가 어색한 아빠와 아들의 생활밀착형 카운슬링
조영탁.조예준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에 대한 근본적이고 다양한 질문으로 아이 스스로 삶에 대한 태도를 깨달아 가도록 만든다. 어른들이라면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어 수업 이야기 - 20년 차 한국어 교원이 바라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창용 지음 / 프시케의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신 업무에 꼭 필요한 것들만 찾기 쉽게 직관적으로 모아놨네요..

업무에 꼭 필요한 자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근사한 파티 옷 없을까? 국민서관 그림동화 250
캣 패트릭 지음, 헤일리 웰스 그림, 김영선 옮김 / 국민서관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째인 아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을 빨강색이고,

둘째인 딸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은 파랑색이다.

'양성평등'을 부르짖지 않아도 세상은 점차 변하고 있고

우리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여성성', '남성성' 구분없이 자연스럽게 교육받고 있다.

오랜 육아휴직 후에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만나고 가장 먼저 느낀 점이,

그 전과 다르게 아이들이 주변의 시선을 많이 의식한다는 점이었다.

'튀는 행동'을 해서 다른 친구들 입에 오르 내릴까봐 두려워하고,

무난하게 지내고 싶어서 수업시간에 발표하거나 질문을 하지 않았다.

질문을 하거나 손을 들면 '나대는 아이'로 찍힌다고 했다.

또래집단 문화가 중요한 아이들 사이에서 튀는 행동으로 '왕따'가 되는 두려움은 이해가 되지만,

이런 현상이 자기표현을 막고

몰개성으로까지 나타나니 상황이 심각했다.

자신의 개성을 건강하게 표현하고,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 안전한 관계에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어려서부터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기가 디자인한 옷을 입은 프랭키는

사람들이 혹시 비웃을까봐 걱정한다.

하지만, 가족들은 멋지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우리가 지금 우리 아이들에게 해야할 일은 이런 응원이 아닐까?

일곱 살인 우리 둘째 역시 옷차림, 외모, 행동에 주변의 시선을 많이 의식한다.

기본적인 예의는 갖춰야겠지만

사람들의 평가나 판단까지 의식하는 아이로 자라지는 않았으면 좋겠는데

이것 또한 엄마의 주관을 주입하는 걸까.

아이를 키우는 건 정말 쉽지 않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