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의 것들 이판사판
고이케 마리코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는 (1) 역사와 전통의 ‘미스터리 베스트 10’에 대항해 만들어진 문학상으로 (2) 기성보다 신인들의 작품을 우선 눈여겨보며 (3) 추리뿐만 아니라 에스에프나 호러 장르의 소설도 두루 선발했는데 (4) 파격적이게도 여성작가와 남성작가의 작품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당시만 해도 미스터리계에서 여성작가는 말랑말랑한 작품만 쓰면 된다’는 분위기가 있었고 작가들도 그런 주박에 씌워져 있었습니다. 그때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가 등장한 거예요. 이 상은 바깥쪽에서부터 ‘젠더의 벽 따위 이제 낡은 이야기지’ 하고 무너뜨려버렸다고 할까. 여성작가를 젠더에서 해방시켰다는 점에서 대단한 역할을 한 문학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남성작가-순문학이 주류였던 일본 문학계의 판도가 점차 바뀌기 시작했는데 그 무렵, 여류작가라는 단어를 사어로 만들며 일약 중심 조류를 형성해 나갔던 여성작가들 (이를테면 기리노 나쓰오, 미야베 미유키, 오가와 요코) 중에 한 명이 고이케 마리코입니다.


대학에 다니며 작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구체적으로 했던 고이케 마리코의 첫 직장은 출판사였습니다. 소설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일하는 편이 좋겠다 싶어 입사했지만 만든 책은 『눈이 좋아지는 방법』 같은 실용서뿐. 결국 1년 반 만에 그만두고 프리랜서 편집자로 본인이 만든 기획서를 들고 출판사를 전전합니다.


“그중 하나가 출판사에 근무하던 시절 여성작가들에게 의뢰하여 앤솔로지 형식으로 만들고 싶었던 에세이였어요. 그런데 의뢰를 부탁하기도 전에 출판사를 그만두게 되었지요. 이후 그 기획서를 출판사에 들고 갔더니 사장이 저보고 직접 써보라더군요. 작가로서 좋은 스타트가 될 수도 있겠다면서.”


그 말을 듣고 생각을 바꾼 고이케 마리코는 불과 2개월 만에 원고를 완성하여 『지적인 악녀의 권유』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출간합니다. 내용은, 여자는 이래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 따위 무시하고 원하는 대로 살아라, 결혼 따위 필요 없다, 남자에게 휘둘리지 말자 등등. 1978년에 이런 내용의 책이 나왔다니 분위기가 어땠을지 조금쯤 짐작이 되시나요.


당시 언론은 무명 저자의 ‘당돌한’ 데뷔작을 크게 보도했는데 선정적인 제목의 기사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책은 경이적인 판매고를 기록했지만 왜 아니겠냐는 듯 ‘유명해지고 싶어서 안달 난 젊은 작가의 악녀 코스프레’ 같은 식의 비난이 따라붙었지요.


“온갖 TV 프로그램에서 출연 요청이 쇄도하더군요. 인터뷰며 강연 요청도 줄을 이었습니다. 한마디로 탤런트가 되어 버린 것이지요. 도저히 견딜 수 없어서 TV 출연도 강연도 인터뷰도 전부 그만두었습니다. 그래도 악녀 고이케 마리코라는 허상은 몇 년 동안 끊임없이 저를 괴롭혔어요.”


원래 자신이 가고 싶었던 길로 돌아가는 데는 7년 가까운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그 사이에 여러 나라의 번역소설을 다양하게 읽었고 특히 프랑스의 추리소설 작가인 카트린 아를레와 영국 미스터리 소설계의 거장인 루스 렌들의 작품에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등장인물들 마음의 미세한 움직임을 포착하여 점차 불안하고 긴장된 상태가 고조되도록 만드는 데 능한 서스펜스 연출의 대가들이 쓴 소설을 읽으며 ‘이런 장르의 소설이라면 나도 쓸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합니다.


아마도 『지적인 악녀의 권유』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반향’을 일으켰으니 순문학 쪽으로는 인정받기가 어려울 거라고 판단하여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장르문학을 선택한 게 아닌가 싶어요.


그리하여 소설가로 데뷔한 건 1985년. 이후 여러 편의 미스터리와 호러소설을 발표하고 1989년에는 한국에도 번역된 바 있는 『아내의 여자친구』로 일본 추리작가 협회상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지만 고이케 마리코의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평가는 그다지 좋지 않았던 모양이에요. 아니, 평가가 나빴다기보다 작가 스스로 만족하지 못했다고 표현하는 게 더 정확하겠죠.


“미스터리 팬들에게는 ‘깜짝 놀랄 만한 반전도 없고 너무 순문학적인 거 아니야’라는 얘기를 듣고, 순문학 독자들에게는 ‘그저그런 추리소설이잖아’라는 평가를 받다 보니 어느 쪽으로도 독자의 마음을 얻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고 할까요. 고민이 깊었습니다. 그래서 또 전부 그만두고(웃음) 내가 쓰고 싶은 걸 쓰자고 생각했지요.”


그때 쓴 소설의 제목이 『사랑』, 연애 소설의 신경지를 열었다고 평가받은 이 작품으로 고이케 마리코는 일본 최고의 대중문학상인 나오키 상(1995년)을 수상합니다.


“내 스스로 자유로워지기 위해서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마음을 비운 채로 썼습니다. 그 전까지는 소설을 쓰는 동안 괴로웠어요. 손으로 모래를 퍼올리면 손가락 사이로 모래가 흘러내리잖아요. 나는 흘러내리는 모래에 대해 쓰고 싶은데 사람들에게 보이는 것은 손바닥 위에 남은 모래뿐이었다고 할까, 비유하자면 그런 느낌이었거든요. 하지만 『사랑』을 썼을 때는, 이것으로 죽어도 좋다고 생각했을 만큼 만족스러웠습니다. 뜻하지 않게 나오키 상까지 받았으니 이제부터 내가 좋아하는 작풍으로 뭐든 마음껏 쓸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기더군요.”


실제로 고이케 마리코는 『사랑』을 발표한 이후로 픽션과 논픽션, 순문학과 장르문학, 미스터리와 로맨스를 가리지 않고 다채로운 작품을 썼고 대부분이 영상화되었으며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상, 시마세 연애문학상을 비롯하여 수많은 상도 받았지요.


그중에서도 독보적인 경지에 이르렀다고 평가받는 분야는 호러, 그녀에게는 언젠가부터 ‘호러소설의 명수’라는 레테르가 붙기 시작했는데 문예평론가인 이케가미 후유키의 표현이 인상적입니다. “무섭지만 따스한 한편으로 그리움을 불러일으킨다. 되풀이하지만 이 세상의 것이 아닌 존재에 대해 쓸 때는 고이케 마리코를 당할 자가 없다고 생각한다.”


부지불식간에 공포를 예감케 하는 정교한 풍경 묘사, 풍부한 수사를 동반한 시적인 문체의 사용, 유미주의적 작풍, 단편에서 잘 드러나는 기교 너머의 섬세함은 여타의 호러소설들과 구분되는 고이케 마리코만의 특징이니까 이 부분을 눈여겨보며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이 세상의 것이 아닌 존재에 대해 쓴 고이케 마리코의 소설은 『이형의 것들』 외에도 여럿 있지요. 부디 『이형의 것들』이 잘 팔려서 그의 소설들이 좀 더 활발히 한국에 소개되길. 아니, 북스피어에서 낼 테니까 모쪼록 잘 부탁드려요.



마포 김 사장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