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국내에서는 이명박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신자유주의체제로 급격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 늘 의문이었습니다. 신자유주의가 능사인가? 보호무역을 지향하는 중국이 있지 않은가?

그러던 중에 이 책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세계화는 '사다리 걷어차기'다.(후진국가가 선진국으로 올라갈 수 있는 방법을 없앤다는 뜻)

자유무역이 능사는 아니다.
외국인 투자는 군사력보다 더 위험할 수도 있다.
공기업을 반드시 민영화를 해야만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적당한 인플레이션과 국가재정 적자는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

위와같이 이 책은 현재 주류 이론들에 대해 반박하고 있습니다.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 책은 철저히 과거에 있었던 '사실'을 기반으로 자신의 주장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저는 상당히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제가 늘 의문을 가졌던 내용이 담겨져있던 책이고,공교롭게도 현 정권이 제시하는 방향에 대해 완전히 반박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한국의 경제발전이 저자가 주장하느 이론의 예시로서 책 전반에 걸쳐서 나옵니다.

사회나 경제이론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미래를 알수 없는 불확실한 사회에서 가능하면 미래를 더욱 정확하고 세밀하게 볼수 있게 하기 위해 수많은 학자들이 자신의 이론을 세우고 그에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학설을 제시하는 것일 뿐입니다.

장준하 교수또한 그러한 학자중의 한명으로 무조건적으로 비판하기 보다는 한번쯤 관심을 가지고 상대방의 논리에도 귀를 기울여 줄수 있는 아량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쪽 분야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한번쯤 읽어봐도 후회하지 않을 책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