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이 무엇을 하든 아이들 역시 따르게 돼 있다.

쓰레기를 내다 버리는 것처럼 간단한 일이든 혹은 책 작업을 위해 유카탄에 동행하는 것처럼 복잡한 일이든

아이를 어른의 일에 끼워주는 건

그 아이가 자신보다 큰 뭔가의 일부임을 체험하게 해주는 것이다.

아이들은 ‘우리’의 일부로 가족 구성원과 연결돼 있다.

따라서 아이들의 행동이 도움이 될 수도,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다.


반면, 우리가 아이들을 위해 그들만을 위한 활동을 선택한다면
앞에서 말한 회원권을 서서히 빼앗아 가는 것이나 다름없다.

아이들은 다른 가족 구성원과 엄연히 다르며,
가족의 일이나 어른들의 활동에서 배제된 일종의 VIP라고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로지를 이런 식으로 대했다. 우리 집에서 로지의 역할은 레고를 갖고 놀고 교육용 동영상을 시청하며 잘 차려진 식사(소스를 뺀 파스타와 버터 바른 토스트 등)를 먹는 것뿐이라고 가르쳤다.

이에 비해 내 역할은 로지를 위해 청소, 요리와 빨래를 도맡고, 데리고 다니면서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니 내가 아침에 신발을 신으란다고 해서 로지가 그 말에 따를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내가 요리한 브로콜리 따위 먹지 않고, 우리 둘 다 진이 빠졌더라도 잠자리에 들지 않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

여러 가지 면에서 로지는 회사의 CEO요 나는 로지의 이벤트 매니저 같았다. 로지가 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하루하루의 계획을 세우는 매니저 말이다.


하지만 테레사의 아침 일상을 목격하고 아이 위주 활동에 대해 수잔과 이야기 나눈 뒤 고민을 거듭한 나는 이런 결론에 도달했다.

이제 다시는 유아로 북적이는 스낵바에서 치즈 피자 한 조각을 10달러나 주고 사서 결국 내가 먹어 치우는 상황은 만들지 않으리라.

다시는 로지가 유튜브 동영상을 보는 동안 빨래를 해치우지 않으리라.

다시는 아이 저녁 식사로 특별 요리를 해주지 않으리라.

나는 로지의 이벤트 매니저 노릇을 그만두고 아이를 내 세계에 받아들이기로 결심했다.

또, 로지를 즐겁게 해주는 건 그만두고 그저 아이와 함께하는 법을 배우기로 했다.

그래서 챈 카아잘 마을에서 돌아온 뒤 세 개의 거대한 혁신을 단행했다.


★ 로지의 스케줄을 완전히 뜯어고쳤다.

주말은 물론, 어린이집이 끝난 뒤의 시간도 로지에게는 가족 회원권을 획득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우리 가족이 집안일을 할 때 곁에 머물면서 어른의 세계에 흡수될 수 있는 기회 말이다.

그래서 나는 아이 위주의 활동은 대부분 취소했다.
어린이 박물관, 동물원이나 놀이센터 같은 데는 더 이상 가지 않았다.

...
로지를 데려다주기만 해서 아이가 다른 가족과 시간을 보내게 했다. 이를 통해 나는

로지가 엄마 아빠로부터 떨어져 있는 시간을 상당히 좋아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아무런 일정도 없을 때는
로지가 태어나기 전, 매트와 즐겨 하던 활동처럼

모든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이벤트를 선택했다.

로지 위주로 로지만을 위해 하는 활동과는 달랐다.
엄연히 어른의 활동이었고 로지는 참가자였다.

로지가 잠들 때까지 기다렸다 집안일을 하는 대신

이제 깨서 곁에 있을 때만 가사 활동을 했다.

토요일 아침마다 우리는 온 가족이 다 같이 아침 식사로 뭔가 재밌는 걸 만들고 청소를 한다.
일요일 아침에도 다 같이 빨래를 하고 오후에는 장을 보러 간다.


그럼 로지가 잠들었을 때는 뭘 하냐고?

그야 당연히 휴식이다.

책도 읽고 산책도 하고 넷플릭스도 보고 남편과 어느 누구의 방해도 없이 긴 대화를 나누기도 한다. 어떤 때는 아주 오랫동안 목욕을 하거나 낮잠을 자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야인 부모들은 빽빽한 스케줄은커녕 인위적 스케줄을 만들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한다.

대신 현대 서구의 아이들은 갖지 못하는 풍요로운 경험을 아이들에게 선사한다.

바로 현실의 삶이다.

마야인 부모들은 아이들을 기꺼이 어른의 세계로 초대해 자신들의 일을 포함한 일상을 똑같이 체험해 볼 수 있게 해준다.

어른이 청소, 요리, 가축 먹이 주기, 바느질, 집짓기, 자전거나 자동차 수리하기, 아이 돌보기 등의 일상적 업무를 처리할 때 아이들은 곁에서 놀면서 모든 활동을 지켜본다.

현실 세계의 모든 이벤트가 ‘풍요로운 활동’으로서 아이들에겐 즐거움의 원천이요, 신체적, 감성적 학습과 성장을 촉진하는 도구다.

아이들은 필요할 때 언제든지 달려가 일손을 보탤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이 흐를수록 자기 스스로 해먹을 짜깁고 칠면조를 키우며 지하 오븐에서 타말레를 굽고 자전거도 고칠 줄 알게 된다.

- < 아, 육아란 원래 이런 거구나!, 마이클렌 다우클레프 저/이정민 역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릴 때부터 사소하고 쉬운 일을 맡기기 시작하면

아이는 자연스레 자신의 역할에 대해 배우게 된다.

- < 아, 육아란 원래 이런 거구나!, 마이클렌 다우클레프 저/이정민 역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기와 그레이스는 칭찬이 비판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경우, 즉, 부모가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부족한 점은 무시하고 그냥 지나칠 경우

오히려 장기적으로 부모의 삶이 더 힘들어질 거라고 우려한다.

그럴수록 아이는 자기중심적 성향이 강해지고 어른의 칭찬과 관심을 받기 위해 형제 간에도 경쟁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 환경에서 성장하는 아이들은 갈수록 우울증과 불안감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

내 경험을 봐도 로지는 칭찬해 줄수록 더 힘들게 굴었고 점점 더 골칫거리가 됐다. 뭘 하든 반응해 주길 바라면서 졸졸 쫓아다녔다 (“엄마, 이것 좀 봐!”) 게다가 로지의 자존감을 지속적으로 높여주는 일은 나를 지치게 만들었다.

페기와 그레이스가 지적했듯 칭찬 세례를 위해선 부모들이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를 들여 아이들의 행동을 관찰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른 문화권을 살피고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봐도 우리 같은 육아 방식(즉, 칭찬 세례, 전무하다시피 한 비판, 그리고 아이에게 끊임없이 맞춰주기)을 취하는 곳은 찾아볼 수 없다.
상당수 문화권에서 부모들은 칭찬을 거의, 혹은 전혀 하지 않는다. 그래도 아이들은 배려심이 뛰어날 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건강하기만 하다.
심지어 우리가 방문한 여러 문화권을 보면 칭찬이라고는 거의 받지 않고 자란 아이들이 칭찬의 홍수 속에서 자란 미국 아이들보다 자신감이나 정신이 훨씬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 < 아, 육아란 원래 이런 거구나!, 마이클렌 다우클레프 저/이정민 역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글쓰기는 타이핑에 지나지 않는다. 당신이 오랜 시간 궁리하고 고민해왔다면, 그것에 대해 툭 건드리기만 해도 튀어나올 만큼 생각의 덩어리를 키웠다면, 이제 할 일은 타자수가 되어 열심히 자판을 누르는 게 작가의 남은 본분이다. 생각의 속도를 손가락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가 되면 당신은 잘하고 있는 것이다.




인경은 연기하듯 대사를 발음하며 동시에 타이핑을 했다. 그녀의 왼손과 오른손이 서로 대화를 나누는 듯했다. 그녀는 그동안 봉인됐던 필력이 풀린 듯 쉼 없이 이야기를 써내려갔다. 저녁에 시작된 작업은 어느덧 자정을 넘겼고, 겨울 밤하늘의 어둠이 짙어질수록 그녀의 글도 밀도를 더해갔다.

그 새벽, 동네에 유일하게 불이 켜진 곳은 독고 씨의 편의점과 그녀의 작업실뿐이었다. - < 불편한 편의점, 김호연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