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indness (Paperback, International Edition)
주제 사라마구 지음, Pontiero, Giovanni 옮김 / Harcourt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눈이 먼다는 것은 무엇일까? 세상물정에 눈이멀다, 눈을 뜨지 못한다 등 무엇인가에 못미친다는 위미도 있고 육체적인 눈이 먼다는 것도 있다. 

  사람이 눈이 멀게되면 무엇이 먼저 그들이 덮칠까? 일단 두려움이 먼저 그들을 덮친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세상에 분노와 광적인 행동을 보이게 된다. 책안의 사람들은 한명씩 눈이 멀때마다 눈이먼다는 것을 전염병이라 단정 짓고, 소위 환자들을 따로 격리하기 시작한다. 수용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책의 중심 이야기다. 

  모든 사람이 눈이 멀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그도시의 안과의사의 아내는 유일하게 눈이 멀지 않는다. 허나 안과의사인 남편이 눈이 멀자 의사 아내는 남편을 따라 수용소에 가게 된다. 

  이 책의 이야기는 무시무시하고 한편으로는 사실적이기도 하다. 극단적으로 인간들의 악함을 보여주고 회복을 보여준다. 수용소 안에는 항상 식량을 향한 인간들의 욕심과 아노미 상태의 범죄와 성폭력 그리고 갈취가 나타난다. 육체적인 눈과 사상과 개념의 눈도 상실한 인간은 매우 실망적이다. 의사아내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눈이 멀었을때 의사아내는 그녀의 동료들과 함께 수용소를 탈출한다.  

  절망적인 상황속에서 그들은 다시금 서로를 보살피고 사람의 외모를 보지않고 상대의 내면과 참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진정한 사랑과 우정을 알아간다. 그리고 그들은 다시 눈을 뜨게 된다. 

  우리는 모두 눈먼자들이라 할 수있다. 세상의 오물과 쓰레기를 못본척하고 가던 길을 가는 현대인들은 이 책의 모든 도시에 사람들을 나타내는 것일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읽는 동안 이야기가 최현실적이거나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단정 짓지 않았다. 익는 내내 다시금 나의 내면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눈이 뜨여져 있는 의사아내는 이 이야기에서 인간의 선한 면을 나타낸다. 그녀는 자신의 동료를 위해 위험을 무릎쓰고 식량을 구하고 수용소의 깡패 집단에게 자신의 몸을 내놓는다. 이 여자의 희생정신을 보며 인간은 어디까지 선할 수 있으며 악할 수도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이 책이 이 시대를 비추어 쓴 글이라면 지금 우리는 심각한 상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안에는 의사아내의 희생과 사랑이 있고, 내면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면  '눈'이란것은 아무런 가치가 우리에게 없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랜다 2010-04-06 1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골마을님
반가워요!
놀라운 발전에 큰 박수를 보내요^_^
항상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