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버 가족의 재회 빨간우체통 2
패트릭 왓슨 지음, 트레이시 톰슨 그림, 윤희순 옮김 / 박물관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TV나 인터넷에서 자연에 대한 다큐멘터리나 기사를 읽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모든 정보는 '환경파괴'라는 문제를 다룬 것이 대부분이다. 저자도 이러한 정보를 우리에게 보여주는 일인으로써 '환경문제'에대해 좀더 쉽게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우화를 썻다. 

  행복하게 살던 비버 아흐맥의 집에 불행이 닥쳐오게 된다. 댐을 보수하기 위하여 나갔던 엄마도 돌아오지 않는다. 설상가상으로 드디어 아흐맥의 집에도 어둠의 그림자 즉 사람이 들어서게 되고 비버가족은 부득이하게 뿔뿔히 흩어지게 된다. 

  자신만의 힘으로 세상을 헤쳐가야하는 아흐맥은 고난 속으로 내몰린다. 허나 그를 위협하는 존재는 유일하다. 바로 인간.  

  그는 여행을 하면서 무리에서 배척당한 은빛 비버와 친구가 없는 사향쥐를 만나게 되고 새로운 가족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또다시 옛가족을 찾기위해 새로 꾸린 가족들과 여행을 시작하게된다. 

  비버 아흐맥의 삶을 보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역시 근본적으로 이책에서 다루는 것은 환경파괴이다. 실제로 동물의 세계에선 인간의 사회와 같이 가족파괴와 집을 잃는 등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을 그렇게 만든것은 다름아닌 우리 인간이다. 물론 환경을 사랑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그들의 힘으로 거대한 문명과 인간의 욕구를 막기엔 너무나 역부족이다.  

  그들을 도울 수 있는건 환경학자건 아니건 인간 모두가 환경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내 생각은 단순한 수치와 그래프보다 우리가 하나하나 몸서 체험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먹고 싶어도 먹지못하고 날고 싶어도 기름에 젖은 날개로는 날지 못하는 그들의 감정 말이다. 사회적 굴욕이아니라 근본적인 의식주의 굴욕이다. 아직 우리는 살아있고, 날수도있고, 그들을 도울 수 있다. 

  나는 '네셔널 지오그래픽'이라는 세계적인 환경과 문화를 다루는 잡지를 매일 읽는다. 죽어가는 동물들과 사라지는 인간본연의 모습들을 보면서 슬픔과 분노를 느낄때도 있고, 무력감과 허무함에 휩싸이기도한다. 지구 종말론이 대두하고 있는가운데 경제발달보다 우리의 아들 그리고 후손들을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