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축왕 정세권 - 집을 지어 나라를 지킨 조선 최초의 디벨로퍼
김경민 지음 / 와이즈맵 / 2025년 10월
평점 :
[출판사의 도서 지원을 받아 직접 읽고 작성했습니다.]
건축왕 정세권을 읽으며 부동산 개발의 역사적 측면을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었고, 우리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을 알게 되어 매우 유익했다. 무엇보다 평소 친숙하게 여겼던 북촌과 익선동의 진짜 역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 의미 깊은 독서였다.
정세권은 북촌과 익선동 한옥마을을 만든 조선 최초의 디벨로퍼이자, 조선물산장려운동을 주도한 애국지사, 조선어학회 큰사전 완성에 힘쓴 민족운동가다. KBS 다큐멘터리 경성의 건축왕, 정세권으로도 방영된 적이 있다고 하는데, 나는 이번 책을 통해 그를 처음 알게 되었다.
대학 시절 북촌 일대를 수없이 드나들며 건물들의 노후도와 층수를 조사하고 도시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그때는 북촌에 담긴 역사적 의미를 전혀 모르고 있었다. 이 책을 통해 비로소 그 이면의 이야기를 알게 되었다.
청계천을 기준으로 남측을 남촌, 북측을 북촌이라 불렀는데, 일본인들은 남촌에 많이 거주하며 북촌까지 차지하기 위해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 이때 정세권이 나타나 건양사를 통해 북촌 땅을 매입했다. 그는 큰 필지를 작은 필지로 분할하고, 부유한 일본인이 아닌 우리나라 사람들이 매달 조금씩 돈을 갚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했다. 창신동은 원래 부자들이 살던 곳이었으나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로 가득 차 가난한 동네가 되었고, 남촌은 일본인들이 차지했으며, 서측으로는 확장성이 없었기에 그는 북촌을 선택했다.
익선동을 거닐다 보면 외국인들이 이런 곳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평가한다며 주민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정세권은 영화로 만들어져도 마땅할 만큼 대단한 인물인데, 우리는 왜 그를 몰랐을까. 그의 자서전을 쓰려던 사람이 북한으로 납치되는 등 여러 사연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이라도 이러한 역사를 알게 되어 다행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