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인드, 친절한 것이 살아남는다 - 기업과 인간관계에서 협업, 몰입, 혁신을 끌어내는 친절의 힘
그레이엄 올컷 지음, 엄성수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5년 9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친절은 미덕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저자는 친절을 타고난 성격이 아니라 훈련 가능한 기술로 본다. 시작은 타인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다. 자기 대화의 톤을 점검하고 불완전한 자신을 수용하며 기력을 회복하는 돌봄을 일상화하는 것이 출발이다. 이는 자기연민이 아니라 타인에게 다가가기 위한 준비다. 연구는 친절이 돕는 사람에게도 옥시토신과 도파민을 분비하게 하고, 수혜자와 목격자, 나아가 주변까지 긍정적 전염을 확산시킨다고 말한다. 구글을 비롯한 조직의 사례는 친절이 팀의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고 생산성을 장기간 유지하는 핵심임을 증명한다. 친절은 선언이 아니라 행동이다. 해결책을 서둘러 제시하기보다 이해하려는 수고를 택하는 순간 발생한다. 저자는 착함과 친절을 구분한다. 착함은 내가 옳다고 믿는 방식대로 대하는 것이고, 친절은 상대가 원하는 방식을 존중하는 것이다. “사람이 먼저, 일이 다음”이라는 문장은 도덕적 구호가 아니라 실제 운영 원칙이 된다. 리더십은 요구와 기대를 명확히 하고, 경청하고, 겸손을 실천할 때 강화된다. 친절은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관계를 보존하고 시간을 절약하는 기술이다. 많은 사람들이 친절을 호구와 혼동하지만 이는 오해다. 친절은 결코 약점이 아니라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이끄는 강력한 무기다. 결국 친절은 끝까지 남아 우리를 살아남게 한다. 우리 모두가 조금 더 친절하고 따듯한 말 한마디를 할 줄 아는 사람이 되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