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 몸의 구조 - 베살리우스 해부도 ㅣ 클래식그림씨리즈 1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 지음, 엄창섭 해설 / 그림씨 / 2018년 1월
평점 :
몸에서 발견한 이야기들

해부학.
나에게 이 단어는 나와 함께 살았던 룸메이트들을 떠올리게 하는 단어다. 해부학을 전공으로 배웠던 친구들과 함께 살았던 난, 친구들의 쪽지시험 준비를 돕곤 했다. 때론 피부에 숨겨진 내 뼈들을 집으며 뼈 이름을 말하고, 난생처음 듣는 근육 이름을 듣기도 했다. 때로는 다 못 외웠다며, 어디가 시험에 나올지 찍어보라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또 과제라며 하얀 종이 위에 뼈 그림을 그대로 옮겨 그리고, 근육을 색칠하는 친구를 보며 존경했던 기억도 난다. 난 해부학을 직접적으로 접할 일은 없었지만, 해부학은 내 주변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 신입생 때 기억이 겹쳐진 것이 나에게 해부학이었다. 그런 해부학이 나에게 어떻게 다가올 수 있을까. 그 과정을 《사람 몸의 구조》로 열어보았다.

해부도에 담긴 이야기 하나, 과거의 학문적 담론에 대한 도전
《사람 몸의 구조》는 베살리우스의 해부도를 엮은 책이다. 근대 해부학의 아버지라는 호가 붙는다. 사실 해부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은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다. 내가 해부학 책을 보기 전에 떠오른 그림은 그가 그린 습작들에 남아 있는 흔적들이었다. 하지만 인체를 최초로 해부한 사람은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 (1514~1564)라는 걸 이 책을 통해 처음 알았다. 그의 해부도가 의미 있는 건, 약 1000년 이상 동안 잘못된 정보를 올바르게 바로잡는데 기여한데 있다. 원래 서양 의학의 근본엔 갈레노스가 세운 이론이 공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그의 이론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그 권위에 도전하지 않았고, 그 도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베살리우스는 달랐다. 그는 해부학적 오류를 지적했고, 이를 토론을 통해 수정해나갔다. 아마 그의 태도가 그 이후 수많은 학자들이 해부도보다 더 높이 평가받는 이유가 아닐까.

해부도에 담긴 이야기 둘, 당대 통념에 대한 도전
그의 해부도는 단지 관찰 일지가 아니다. 그의 그림은 신체를 해부하고 난 뒤에 그 모든 걸 기록한 것이자 동시에 자신의 후임에게 그 모든 걸 알려주기 위한 강의 교안이었다. 인체를 해부한다는 건 지금도 내키지 않는 일이다. 그 옛날에는 더더욱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었다. 그리고 해부한 지식이 간절히 필요했지만, 그 일을 하지 않았던 당대 교수들과 달리 베살리우스는 시신을 직접 해부했고 그 해부를 세밀화로 기록했다. 그는 당대의 통념과 마주 섰고 그 마주 섬이 근대 의학 발전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지금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게 하는 생각들의 시작이었다.
그런데 그의 그림을 보면 단지 기록과 교안이라고 보기에 너무 아름답다. 그의 시선에 인간 존재의 외형을 보여주는 과학적 탐구의 대상만 담겨 있었던 건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사실적으로 그린 그림이지만, 그 비율과 모든 게 아름답게 그려져 있다. 그가 해부한 시신이 아름다웠을 수도 있지만, 그가 해부를 하며 바라본 시각이 인체를 도구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완전한 존재로 바라보았기 때문이 아닐까.

해부도가 아닌 그 옆의 글귀에 담긴 이야기, 때론 무거움 보다 유쾌함
해부학 그림에 이렇게 가벼운 문장을 더해도 될까 싶었다. 그림을 보고 떠오른 생각을 옮겨 넣었다고 한다. "시신이나 뼈대라면 응당 느껴져야 할 두려움 대신, 마치 친구가 서 있는 듯한 친숙함"이 든다며. 이런 문장을 거침없이 쓴 저자의 생각을 따라가다 보면 해부학이 마냥 의학의 영역만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사실 해부학이 밝혀낸 세계는 과학계, 의료계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왔다. 하지만 단지 과학계에만 한정되어 있는 건 아니었다. 이후 예술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학문을 구분하고 있지만, 학문이 이루어지는 실제에선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듯이 말이다. 과학과 예술을 구분하는 게 당연하게 여기지만 베살리우스의 그림에는 그 두 가지 간의 구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의 그림은 의학적으로 기념비적인 기록임과 동시에 예술성을 가진 그림이 될 수도 있다.
해부학에 대한 내 기억이 층층이 쌓여 있는 것처럼, 두 영역은 겹쳐지기도 하고, 벗겨지기도 하는 것이다. 겹쳐질 수도 있지만, 때로는 분리될 수도 있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 방식이 진중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유쾌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